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엔야, 아일랜드 요정의 밤하늘 섬 'Dark Sky Island'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몽환적인 목소리와 신비로운 사운드로 인기를 누려온 아일랜드 싱어송라이터 엔야(54)가 7년 만에 새 앨범 '다크 스카이 아일랜드'를 워너뮤직을 통해 국내 발매했다.

세계에서 8000만장의 앨범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뉴 에이지 앨범'을 4차례나 수상하는 등 30년 동안 정상에 군림해오고 있다.

'천상의 목소리'라는 수식어도 달고 다닌다. 팝과 뉴에이지, 클래식을 아우르는 서정적인 사운드로 스타덤에 올랐다.

아일랜드 고유의 켈틱 사운드를 바탕으로 음악을 만들어내는 엔야는 27세인 1988년 '워터마크'로 워너뮤직과 계약한 후 메이저 신에 데뷔했다.

엔야를 상징하는 곡 '오리노코 플로(Orinoco Flow)'가 수록된 '워터마크'는 1100만장이 팔렸다. 다음 앨범 '셰퍼드 문스(Shepherd Moons)'의 수록곡들도 영화 '파 앤드 어웨이' '토이즈' '그린카드' 등에 잇따라 삽입되며 인기를 끌었다.

2001년에는 영화 '반지의 제왕' 시리즈 1편인 '반지 원정대'의 주제가 '메이 잇 비(May It Be)'를 불러 아카데미 시상식과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최우수 주제가' 상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다.

2008년 겨울음악을 모은 스페셜 앨범 '앤드 윈터 케임…(And Winter Came…) 이후 오랜 휴식기를 보낸 엔야는 그녀의 오랜 음악적 동지 프로듀서 니키 라이언, 그의 부인이자 작사가 로마 라이언 부부와 함께 2012년부터 이번 앨범을 준비해왔다.

영국령인 사크 섬에서 영감을 받은 앨범이다. 국제밤하늘협회가 섬 중 최초로 국제밤하늘보호섬(Dark Sky Island)으로 지정한 곳이다.

워너뮤직은 "인공의 빛이 하나도 없는 이 작은 섬의 밤하늘은 오로지 별빛이 뿜어내는 원시 그대로의 찬란한 아름다움만이 존재한다고 한다"며 "그래서인지 이번 앨범에는 어두운 밤 하늘의 쏟아지는 별빛 속을 유영하는 듯한 신비로운 음악들이 가득하다"고 소개했다.

'오리노코 플로'가 연상되는 익숙한 사운드로 팬들의 기대를 고조시킨 선공개 싱글 '에코스 인 더 레인(Echoes In The Rain)'을 비롯해 아일랜드 밴드 '도즈 너버스 애니멀스(Those Nervous Animals)'의 에디 리가 참여해 더블 베이스 연주를 들려주는 '이븐 인 더 섀도스(Even In The Shadows)' 등 총 14곡이 실렸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