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올해 수산직불금 사업대상지역이 지난해(281개)보다 42개 증가한 323개 도서로 결정됐다.해양수산부는 어업생산성이 낮고 생활여건이 열악한 낙도지역 어업인에 지원하는 2015년도 조건불리지역 수산직접지불금 지원 대상지역을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올해 수산직불금 사업대상지역은 육지로부터 8㎞ 이상 떨어진 섬이거나 하루 정기 여객선 운항 횟수가 3회 이하이고 연륙교가 없는 섬이다.대상지역을 선정한 결과 전년도 281개보다 42개가 증가한 323개 도서가 선정됐다. 이는 전체 유인도서수 470개(2009년 통계청 조사)의 68.7%, 도서개발촉진법에 따라 지정된 372개(2007년 행자부 고시)의 86.8%에 해당한다.수산직불금 신청 자격은 선정된 대상도서에 거주하면서, 수산업법상 어업 면허·허가·신고를 하고 어업을 경영하며, 수산물 연간 판매액이 120만원 이상이거나 또는 1년 중 60일 이상 어업에 종사한 실적을 가진 어업인이 어가 단위로 신청이 가능하다.다만 어가를 대표해 수산직불금을 신청한 자가 직장인, 농업 조건불리 직불금을 50만원 이상 수령 받은 자 또는 고소득·고액자산가인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된다.수산직불금을 받으려면 오는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올 상반기 중 타결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글로벌 섬유산업에 빅뱅이 올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원사기준' 등 원산지 규정 채택 여부에 따라 세계 섬유업계 생산 전략이 개편될 것이라는 관측이다.KOTRA는 5일 발간한 'TPP 협상이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TPP가 타결되면 글로벌 섬유업계의 판도가 바뀔 수 있다"며 "우리 섬유·의류 기업 행보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특히 원사기준, 즉 '무관세 혜택을 받기 위해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 내에서 원사를 생산하고 완제품으로 수출할 때까지 모든 공정을 역내에서 수행해야 한다'는 원산지 규정 채택 여부에 따라 향후 생산 전략이 크게 갈릴 것으로 내다봤다.섬유 업계에선 대체로 원사기준을 지지하고 있다. 중국산 섬유의 대거 유입을 막고자 하는 취지다. 이에 반해 의류업계는 원사기준 보다 유연한 원산지 규정 채택을 요구하고 있다.섬유·의류 최대 수입국인 미국에선 원산지 규정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미국은 시장경쟁에 대비해 원가절감 및 물류망 구축 등 전략을 짜는데 집중하고 있는 분위기다.미국한인의류협회 관계자는 "최근 베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최근 30년 새 창업해 상장에 성공한 창업자 3명 중 1명은 삼성·LG·현대·SK 등 범4대 그룹 출신인 것으로 조사됐다.4대 그룹 내에서도 삼성전자, LG전자 등 IT와 전기·전자 업체들이 '창업 사관학교' 역할을 해왔다.4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1985년 이후 30년 간 국내에서 기업을 창업해 코스피·코스닥에 상장시킨 728개사 창업자 중 출신이력이 공개된 548명을 조사한 결과 범 4대 그룹 출신이 3명 중 1명 꼴인 176명(32.1%)에 달했다.30년 사이에 창업해 상장한 728개 기업은 전체 상장사(1천828개, 2월25일 기준)의 39.8% 수준이다.범삼성 계열사 출신이 89명(16.2%)으로 가장 많았고, 범LG 53명(9.7%), 범현대 27명(4.9%), SK 7명(1.3%) 순이었다.이들 4대 그룹 출신 창업자들은 대부분 IT전기전자 업종에서 경력을 쌓았고, 특히 삼성전자가 47명(26.7%)으로 두드러졌다.삼성전자 출신으로는 골프존 김영찬 회장과 얼굴·지문 등 바이오인식기술 전문 업체인 슈프리마 이재원 사장 등이 대표적이다.삼성전자에 이어 2~4위도 LG전자(17명, 9.7%), 현대전자·삼성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연말정산 추가 납부세액이 발생한 경우 분납 할 수 있도록 하는 소득세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연말정산 환급금이 부족한 회사가 늘고 있다.국세청은 근로자에게 지급할 환급금이 부족한 원천징수의무자(회사)가 관할 세무서에 환급을 신청하는 경우 3월말까지 환급금을 조기 지급하겠다고 4일 밝혔다.대부분 회사는 연말정산 환급금을 원천징수한 추가 납부세액에서 조달하고 있다. 하지만 납부세액 분납으로 일부 환급금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곳이 발생하고 있다.원천징수의무자가 10일까지 국세청에 환급금 신청을 하면 국세청은 적정한 경우 환급금을 계좌로 송금하고, 원천징수의무자는 송금 받은 환급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게 된다.환급신청은 원천징수의무자가 관할 세무서를 직접 방문하거나 인터넷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www.hometax.go.kr)를 통해 가능하다.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LG전자가 G3의 후속모델인 'G4'를 올해 2분기 내 출시한다.조준호 LG전자 사장(MC사업본부장)은 3일(현지시간) 'MWC 2015(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5)'가 열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프리미엄 전략에 대해서는 일전부터 G, G2, G3까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후속모델인 G4는 올해 2분기 내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와 별개로 새로운 프리미엄 스마트폰도 올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준비 중이다. 조 사장은 "조만간 한 단계 위에 있는 프리미엄 폰을 출시할 계획"이라면서 "올해 하반기가 되겠지만, 구체적인 시점은 적절한 기회에 밝히겠다"고 했다.LG전자는 신규 프리미엄 스마트폰으로 다음달 출시를 앞둔 삼성전자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의 독주를 막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조 사장은 "(갤럭시S6)나도 가서 보고 왔는데 확실히 훌륭한 제품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우리도 그에 못지않은 훌륭한 제품이 탄생했다고 믿고 있다"며 "기대를 가지고 야심 차게 준비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조 사장은 "G시리즈가 처음 나왔을 때 처음만 반짝하다가 오래 버티지는 못했다"면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내년도 대서양 참다랑어 어획쿼터가 올해(95t)보다 71% 늘어난 163t으로 결정됐다.4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27일까지 스페인에서 열린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ICCAT)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잡을 수 있는 참다랑어 어획량이 2016년 163t, 2017년 181t으로 최종 결정됐다. 올해 우리나라의 대서양 참다랑어 쿼터는 약 95t 규모이다.ICCAT의 어획쿼터 증가 결정은 최근 대서양에서 참다랑어 자원이 회복됐기 때문으로 보인다.참다랑어는 전 세계 참치 어획량 약 450만t 중 1% 미만을 차지하고 있는 최고급 횟감 어종이다. 대서양 북방참다랑어(올해 쿼터 95t), 태평양 북방참다랑어(717t) 및 남방참다랑어(1140t) 등 크게 3가지 어종으로 나뉘며 우리나라는 총 2000여t의 참다랑어 쿼터를 보유하고 있다.특히 전 세계 참다랑어 어획량의 약 90% 이상이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대부분의 횟감용 참치를 일본에 수출하는 등 대일 무역에 있어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해수부는 내년부터 대서양에 조업했던 선망어선(그물을 이용해 잡는 어법)을 대체해 최소 2~3척의 연승어선(낚시 어법)을 투입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중국이 지난해 5월 살균방식을 문제 삼아 한국 흰우유(살균유)의 수입을 전면 금지시켰지만 한·중 FTA 체결 등으로 인해 분위기가 우호적으로 바뀌면서 조만간 우유 수출이 재개될 것으로 전망된다.다만 중국 내에서도 원유가 남아 재고 처리 곤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자국의 유제품산업을 보호를 위해 수출 재개가 미뤄질 수도 있지만 상반기 내에는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4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인증인가감독관리위원회 1명과 수출입검험검역국 4명 등 총 5명으로 구성된 중국 실사단은 지난 달 우유 수출 재개를 요청한 7개 업체의 공장 실사를 마친 뒤 관련 보고서를 작성 중이다.실사 대상은 서울우유 거창공장, 매일유업 상하공장, 삼양식품 원주공장, 데어리젠 원주공장, 연세 아산공장, 동원FB 등이다. 남양유업은 이번에 흰우유 중국 수출 신청을 포기해 실사는 이뤄지지 않았다.앞서 중국은 지난해 5월 흰우유(살균유)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중국이 내세운 흰 우유 수입 조건은 '70도 살균처리에 최소 15일 유통 가능한 제품'이다. 그러나 한국 제품은 130도 이상에서 1∼2초간 초고온 살균법을 택해 유통기한이 10일 정도에 그친다.이에 중국 측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한국 의약품이 브라질 정부조달 시장에 진출할 전망이다.KOTRA는 지난 3일 서울 서초구 사옥에서 브라질 제2의 제약기업 비탈브라질(Vital Brazil) 관계자를 초청, 국산 의약품을 브라질 정부조달 시장에 진출시키기 위한 상담회를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비탈브라질은 브라질 보건부에 의약품을 조달하는 국영기업이다. 이번 방한은 브라질 정부가 최근 바이오시밀러(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조달 계획을 밝힌 것에 대한 후속 조치로 이뤄졌다.행사에는 동아ST, 대웅제약 등 국내 제약기업 6개사가 참가해 ▲공동개발 ▲기술협력 ▲합작투자 ▲인·허가 등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했다.비탈브라질은 상담회에서 공동개발과 합작투자에 대해 적극적인 협력을 제안했다.비탈브라질은 합작투자를 통해 현지에서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할 계획이다. 특히 브라질 제약사와 해외 제약기업이 합작투자를 통해 현지에서 제품을 생산할 경우 정부가 일정 물량을 의무적으로 구매토록 한 'PDP(Production Development Partnership) 제도'를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비탈브라질 관계자는 "올 4월 브라질 보건부에서 바이오시밀러 조달 계획을 추가 발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앞으로 수산물도 축산물과 마찬가지로 생산지에서 최종 판매점까지 유통과정이 종합 관리된다.지난 2013년 12월 발의한 '수산물 유통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 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이 법안에 따라 해양수산부 장관은 5년마다 수산물 유통 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수산물의 유통기능 및 유통시설을 종합적으로 지원해야 한다.산지시장의 법적인 개념이 도입되며 위판장에서 수산물을 매수하거나 도매하는 '산지중도매인'의 법적 근거도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산물의 품질 및 위생 확보를 위해 수산물 이력추적관리 제도와 수입수산물의 유통이력관리 제도 도입도 예상된다.그동안 수산물은 유통 과정을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법률이 없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특히 산지 시장은 물론 관련 종사자들의 법적 근거와 지위가 없어 수산물 유통관리 지원 정책으로부터 소외된 측면도 있었다.이번 법안 통과로 수산물의 유통 과정을 관리·개선하고 유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됐다.이 법안을 대표발의한 김춘진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수산물은 특성상 유통 과정에서 상품 관리가 어려워 생산지 시장의 기능과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법안 통과로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지난해 유럽연합(EU)에 대한 무역수지가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한 것은 수출이 늘었음에도 수입이 더 많이 증가해 적자폭이 커졌기 때문이다.3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EU에 대한 무역수지는 2012년부터 적자로 전환된 데 이어 지난해 사상 최고치인 107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EU에 대한 무역수지는 1998년 이래 지속적으로 흑자를 기록했지만 2007년 정점을 찍은 뒤 점차 축소되기 시작했다. 이어 2012년부터 수출이 정체된 반면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적자로 반전했다. 또 원자재 적자폭이 커지고 흑자를 냈던 자본재와 소비재까지 최근 적자로 돌아서면서 무역수지가 악화됐다.무역업계에선 EU에 대한 무역수지가 악화된 것은 수출이 수입을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수입 급증은 원유 분야가 주도했다.2012년 이란 제재의 영향으로 이란산 원유 수입이 감소하면서 영국산 브렌트유 수입이 대폭 늘었다. 2006~2010년 수입 실적이 없었는데 2012년에는 수입이 전년 대비 726.5% 증가한 28억 달러를 기록했다.한·EU 자유무역협정(FTA)의 영향도 컸다.2011년 7월1일 발효된 이후 EU 제품이 일본산 소재·부품을 대체한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가 지난 2007년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오염사고' 피해지역에 114억원을 추가 지원키로 했다.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최근 유류오염사고 조정위원회 심의·의결에서 해당 피해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총 22개 사업에 114억원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결정했다.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오염사고 발생 이후 피해지역 지원을 위해 해수부는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총 75개 사업(1조4876억원)을 선정한 바 있다. 지난해까지 52개 사업에 총 8314억원을 지원, 이 중 32개 사업을 완료했다.올해는 총 1138억원을 투입해 36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배·보상의 장기화로 피해지역 주민들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지역주민들이 오랫동안 요청해 온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큰 22개 사업(114억원)을 추가로 선정해 지원하기로 결정한 것이다.내년부터 지원되는 22개 사업에는 ▲대형 어구어망 적치수선장 조성 ▲해삼가공시설사업 ▲어패류 세척 저수조 설치 ▲패류어장 자원조성 ▲위판장·판매장·저온저장시설 건립 등 주민이 직접 지원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이 대거 포함된다.해수부 관계자는 "이번에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가 경제활성화와 구조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세제와 세정 역량을 집중한다.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49회 납세자의 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통해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노동 등 4대 핵심분야의 구조개혁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도록 세제·세정 측면에서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최 부총리는 "기업구조개혁을 뒷받침하고 경제활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세제를 운용하겠다"고 말했다.그는 "가계소득 및 일자리를 늘리고 기업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지난해 도입한 세제상 인센티브 제도 등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하고, 기업혁신역량 강화와 선제적 구조조정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MA 관련 세제는 개선하겠다"고 밝혔다.최 부총리는 "투자·고용 확대를 위해 중소·중견기업을 육성하고 투자와 소비, 창업의 기회가 확대되도록 세제상 지원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중산·서민층 생활안정 등 민생지원도 약속했다.최 부총리는 "올해부터 영세자영업자에 대한 근로장려금 지원과 저소득층 주거안정을 위해 월세 세액공제 대상과 금액이 확대된다"며 "중산·서민층의 생활안정을 위해 세제상 지원을 아끼지 않는 한편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장동현 SK텔레콤 사장은 oneM2M(사물인터넷 글로벌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표준화기구) 표준 기반의 개방형 IoT(사물인터넷) 플랫폼인 '모비우스'(Mobius)를 5월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장 사장은 'MWC 2015'(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5)가 진행 중인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2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올해 초 SK텔레콤의 신임 사장으로 취임한 장 사장이 공식적인 자리에서 취재진을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장 사장은 "고객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려고 가장 치열하게 고민하는 곳이 스타트업 기업"이라며 "처음에는 SK텔레콤도 많이 부족하겠지만 우리와 제휴 관계에 있는 사업자와 교감하면서 완성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또 그는 "우리 것만을 주장하기보다는 고객을 중심에 놓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업체들과 함께 플랫폼을 만들어나가면 꽤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싶다"며 "SK텔레콤의 기본 역할은 스타트업이 제대로 갈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모비우스' 플랫폼은 향후 IoT 기기가 증가하더라도 플랫폼에 등록된 수많은 기기 중 필요한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