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성덕 기자] 향과 맛이 뛰어난 맥주를 만드는 토종 효모가 발견됐다.
대부분 수입되는 맥주 양조용 효모를 대체할 수 있는 국산 효모가 국립생물자원관에 의해 발견돼 최근 특허가 출원됐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우리나라 자생 누룩에서 풍미가 향상된 맥주를 만들 수 있는 토종 효모를 지난해 11월 발견하고 이에 대한 특허를 최근 출원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견한 토종 효모는 맥주 양조용 수입 효모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맥주는 우리나라 전체 주류 소비량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국내 맥주 제조에 이용되고 있는 효모는 대부분 수입되고 있다.
효모는 맥아, 물 등 다른 맥주 원료와 더불어 맥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해 김계원 한경대 교수, 박천석 경희대 교수 등과 공동연구를 통해 전통 누룩에서 23주의 효모 균주들을 분리하고, 양조특성이 우수한 효모 균주 중에서 향미가 뛰어난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효모 균주를 발견했다.
이 효모는 맥주 양조 시 많이 이용되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으로, 강원도 삼척시에서 수집한 양조용 전통 누룩에서 분리했다.
연구진이 유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기존의 상업용 맥주효모들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에 속하는 종(種)이나 일부 유전자구조가 다른 새로운 균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 효모가 발효 과정에서 바나나, 사과, 포도 등의 과일향과 캐러멜향을 비롯해 장미향 등을 내는 화합물질을 기존의 효모보다 최대 859%까지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 효모를 이용하면 풍미가 뛰어난 맥주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