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6℃
  • 맑음강릉 9.4℃
  • 맑음서울 5.7℃
  • 안개대전 5.2℃
  • 박무대구 5.6℃
  • 구름조금울산 7.6℃
  • 박무광주 7.9℃
  • 구름조금부산 12.0℃
  • 맑음고창 4.5℃
  • 구름조금제주 15.0℃
  • 맑음강화 3.7℃
  • 맑음보은 1.5℃
  • 맑음금산 4.7℃
  • 맑음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4.3℃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e-biz

젝시믹스 ‘소도구로 집에서 홈트 즐기세요’

URL복사


[시사뉴스 윤호영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고 있는 요즘, 헬스장 대신 집에서 운동을 하는 홈트레이닝족이 늘면서 관련 용품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내 레깅스 회사인 젝시믹스도 홈트족을 위한 기구를 제안했다고 전했다.


젝시믹스가 홈트족을 위해 선보인 아사나링은 견고한 내구성을 지닌 하드타입으로 제작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소도구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굴곡으로 밀착되어 근육의 깊은 곳까지 이완시켜주며 부위별로 다양하게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즐길 수 있다.


하루 종일 앉아있거나 서있을 때 온몸이 붓고 피곤이 쌓이는 몸에 피로를 풀어줄 수 있는 아사나링은 홈트족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파파야, 네온핑크, 페일오키드, 플라밍고핑크, 써니라임, 블리치드아쿠아, 블랙 등 7개 컬러로 출시돼 선택의 폭을 넓힌 것도 특징이라고 한다.


스텝업 루프밴드도 인기다. 공간의 제약 없이 밴드 하나로 스트레칭부터 웨이트 트레이닝까지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소근육을 강화시키는데 적합한 소도구로 균형 잡힌 탄탄한 바디라인을 만들려고 하는 홈트족에게 적합하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스텝업 루프밴드는 탄성이 우수한 천연 라텍스 소재로 제작되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탄성 강도에 따라 입문용-초급용-중급용-중상급용-상급용 등 5단계로 컬러를 다르게 적용해 원하는 용도와 강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스텝업 루프밴드를 구매하면 여러 종류의 밴드를 함께 보관할 수 있는 파우치도 증정한다.


이 외에도 100% PER 재질로 제작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요가 폼매트와 운동 시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요가 매트타올도 홈트족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한다.


젝시믹스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집에서 운동을 하는 홈트레이닝족이 늘면서 관련 용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라며 “홈트레이닝족에게 필요한 제품을 빠르게 공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 밀반입 한 5명 적발
(사진=인천본부세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본부세관은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해 밀반입한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붙잡아 검찰에 송치했다. 인천본부세관은 4일 A(50대)씨 등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세관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1~12월 중국에서 건조된 마늘 173톤과 양파 33톤 등 시가 17억 원 상당의 농산물 총 206톤을 국내로 밀수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에 부과되는 고율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냉동 농산물로 위장하는 방식으로 밀수를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행 건조 마늘과 양파에는 각각 360%, 135%의 관세율이 적용되지만 냉동 농산물로 분류되면 27%로 낮아진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을 실은 컨테이너 적재 칸의 윗부분에는 냉동 농산물 상자를 넣어 현품 검사를 피하려고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에 적발된 보세창고 보세사는 현품 검사를 할 때 사전에 확인한 냉동 농산물만 샘플로 제시하는 등 범행에 깊숙이 가담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세관은 냉동 보세창고 외부에만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어 내부 감시가 어려운 점이 악용된 것으로 보고 앞으로 창고 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