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e-biz

실속 챙긴 소형 전원주택 관심…‘에덴이동식주택’ 친환경 이동식목조주택 눈길

URL복사


[시사뉴스 윤호영 기자] 주택시장에서 소형화, 고급화가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넓이 6평(약 19.8㎡) 안팎의 농막과 미니 전원주택이 세컨드 하우스로 각광받고 있다. 부유한 계층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전원주택에도 소형화, 실속화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이다.

기존 농막은 농사일을 하다 잠시 쉴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었기에 저렴한 컨테이너를 갖다놓고 쓰는 게 보통이었다. 그러나 농막을 단순히 농사 후 쉬기만 하는 공간이 아닌 힐링과 여유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모양과 인테리어까지 예쁜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농막의 개념도 변화하고 있다.

농막은 면적이 20㎡만 넘지 않으면 간단한 신고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전원생활을 체험해 보려는 이들에게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미니 목조주택은 주말주택이나 별장용 주택을 찾는 이들에게 적합하다. 작은 평수임에도 주방, 화장실 등 갖출 건 다 갖춰 실제 거주하기에도 아무 문제가 없는 주택이다. 최근에는 오픈마켓 앱을 통해 집을 팔거나 공장에서 제작해 배달하는 모듈형 목조주택도 많아져 선택 폭이 넓어졌다.

에덴이동식주택 관계자는 “닷새는 도시에서, 이틀은 시골에서 보내는 ‘5도2촌’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저비용 고효율로 가성비를 잡은 이동식 주택이 인기를 끌고 있다”면서 “특히 목재를 사용한 목조주택은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내구성, 단열이 높고 화재에 강해 주거용으로 적합하다”고 말했다.

‘에덴이동식주택’은 직영공장 운영과 숙련된 전문가의 수작업으로 퀄리티 높은 목조주택을 선보이고 있는 30년 전통 이동식 목조주택 전문 업체로 직영생산을 통해 가격거품을 뺀 합리적 가격대의 모델을 출시해 실수요자의 만족도가 높다는 평이다. 

대표 상품으로 5.5평형 모델과 5.5평형에 복층을 추가한 모델 5.5평형에 복층과 테라스 2평을 추가한 특가모델이 있으며 3가지 상품 모두 싱크대와 화장실, 전기판넬, 온수기가 풀세트로 구성된다.

이동식목조주택 특가 모델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에덴이동식주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삼성, 제6회 푸른코끼리 학교∙사이버폭력예방 공모전 시상식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제6회 푸른코끼리와 함께하는 학교·사이버폭력예방 공모전' 시상식을 지난 1일 국회의사당 국회박물관 2층에서 개최했다. 이 행사는 삼성전기가 주관하며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SDS, 삼성 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함께 참여하고 있는 푸른코끼리 공모전은 청소년들의 평화롭고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2020년부터 시작된 행사로, 올해 6회째를 맞았다. 푸른코끼리 사업은 청소년들의 친사회적 역량을 길러주고, 사이버 폭력 피해 학생의 치유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푸른코끼리 시상식은 작품 심사 및 수상자 소감, 공모전 시상 순서로 진행됐으며, 포스터, 웹툰, 에세이 3개 분야에서 전문 심사위원들의 평가를 받아 총 32개 수상 작품이 선정됐다. 올해 공모전에는 안전한 사이버 세상을 만들기 위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며 전년 485명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1087명이 참가했다. 단순히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경찰·상담사 등 학교폭력 예방 현장의 목소리를 담는 점이 특징이다. 올해는 포스터·웹툰·에세이 등 3개 부문에서 32개 작품이 선정됐다. 심사위원단은 “폭력 예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했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