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이연숙 기자] 전국의 의과대학 교수들이 집단 휴진 중인 전공의(인턴, 레지던트)·전임의(펠로)들이 형사 고발되자 본격적으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대학병원 교수들은 전공의와 전임의들이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 정부의 4대 의료정책 철회를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자 병원에 남아 이들의 빈자리를 메우고 있었다.
그러나 정부가 지난 26일 수도권 전공의와 전임의를 대상으로 업무개시 명령을 내리고 급기야 28일 이에 불응한 10명의 전공의와 전임의를 경찰에 고발하자 잇따라 성명서를 내는 등 반발 조짐을 보이고 있다.
29일 대한의사협회(의협)에 따르면 현재까지 서울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고려대 의대 등 전국의 20여개 대학병원과 의과대학 소속 교수들이 잇따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도 28일 성명을 내고 "의대생과 전공의 및 전임의가 이번 사태로 인해 불이익을 받는다면 우리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는 4대 의료정책을 철회하고 원점부터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대하 의협 대변인은 "의대 교수의 지지와 동참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의 강경책이 학자들까지 분노하게 만들고 있다"며 "정부는 투쟁의 핵심인 젊은 의사들만 제압하면 된다고 판단한 듯 하나 이는 오판"이라고 말했다.
의료계에 따르면 일부 대학병원에서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파업 동참 여부 등을 묻는 설문조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의료 현장에 남아 진료 공백을 막고 있는 교수들까지 파업에 동참할 경우 그 파장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박지현 대한전공의협의회장은 지난 27일 "내부에서도 전공의와 전임의, 개원가와 교수들까지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전임의는 "정부가 고발 조치를 한 만큼 다음번에는 교수들이 나서줄 수 밖에 없다"며 "다음 주부터는 교수들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