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유통ㆍ생활경제

루에브르 20FW 'Balance It All' 캠페인 공개

URL복사

디자이너 브랜드 루에브르, 알렉산더 칼더의 ‘모빌(Mobile)’에서 영감을 받은 20FW 컬렉션 공개
균형 잡힌 삶의 가치를 전하는 “Balance It All” 캠페인 전개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디자이너 브랜드 루에브르(LOEUVRE)가 'Balance It all' 캠페인을 공개했다. 20FW 시즌 루에브르는 움직이는 미술인 '키네틱 아트(Kinetic Art)'의 선구자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의 작품 중 움직이는 조각인 ‘모빌(mobile)’에서 영감을 받은 컬렉션을 전개한다.

 

루에브르는 연결선과 오브제간의 균형의 원리에 따라 매 순간 다른 모습을 띠는 모빌처럼 다양한 요소가 조화롭고 아름다운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집중했다. 모빌의 조형미를 담은 구조적인 쉐입에 미니멀한 하드웨어와 새로운 소재의 활용을 통해 특유의 독창적인 컬렉션으로 표현했다.

 

‘Balance It all’ 캠페인은 주체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삶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세지를 담았다. 이질적인 요소의 충돌과 결합, 오브제 사이의 상호 균형, 긴장과 이완 등의 컨셉을 아티스틱한 비쥬얼로 표현하며, 다양한 감정과 상황 속에서 적절한 균형을 찾음으로써 스스로 삶을 개척하고 주체적인 삶을 찾아가자는 의미를 반영했다.

 

이번에 출시된 루에브르 20FW 컬렉션은 최상급의 소재와 디테일이 더해졌다. '오솔길'을 뜻하는 '삭 드 쌍뜨(Sac De Sente)'는 볼륨감을 있는 면들이 만나 구조적인 실루엣을 완성하고, 크링클 글로시 레더와 미니멀한 골드바 디테일이 트렌디하다. 함께 선보이는 '삭 드 바토(Sac De Bateau)'는 보트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은 백으로, 오브제를 선으로 이어 표현하는 모빌과 같이 곡선 형태의 핸들 장식이 좌우 대칭을 이루며 새로운 공간감을 보여주는 디자인이 돋보인다. 여기에, 반달 쉐입의 간결하게 떨어지는 디자인에 빈티지한 크로커 소재가 매칭된 '삭 드 쎄끌레(Sad De Cercle)'가 함께 출시된다.

 

지난 시즌 베스트 아이템이었던 '삭 드 트롬펫(Sac de Trompette)'은 가을의 무드를 담은 '꼬냑'컬러가 새롭게 출시되며, 루에브르 시그니처 아이템인 '삭 드 루미에르(Sac de Lumiere)'의 새로운 컬러도 20FW 컬렉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루에브르는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현재 홍콩 고급 백화점인 ‘하비니콜스(Harvey Nichols)’와 이탈리아의 럭셔리 부티크인 ‘티지아나 파우스티(TIZIANA FAUSTI)’에 입점했으며, 최근 일본 편집숍 ‘빔즈(Beams)’와 익스클루시브 제품을 출시했다. 이어 프랑스 파리의 유명 백화점인 쁘렝땅(Printemps)에 입점 예정이다.

 

루에브르 20FW 컬렉션은 공식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美 ICE 구금된 한국인들, 10일 오전 석방·오후 전세기 출발할 듯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미국 이민당국의 대규모 단속으로 구금돼 있는 한국인들이 10일(현지시간) 오후 현지에서 출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미 조지아주 포크스턴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 구금된 한국인들은 현지시간으로 10일 오후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전세기로 오를 예정이다. 이륙시간은 현지시간 오후 2시반 전후가 검토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시각으로는 11일 오후 전세기가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금 시설에서 공항까지는 약 428㎞로, 차로 약 4시간 30분을 이동해야 한다. 구금된 한국인들의 귀국을 위한 대한항공 전세기는 한국시간으로 10일 출국한다. 정부 신속대응팀 소속 조기중 주미대사관 총영사는 9일 미 조지아주 포크스턴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을 방문한 뒤 취재진에 "행정적, 기술적인 사안들을 계속 미국 협조를 받아 준비 중에 있다"며 "우리 국민들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귀국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한국인들이 현지에서 사법처리되지 않는 조건 하에 석방 직후 자진출국하는 형식의 세부 협의를 진행 중으로 알려졌다. 앞서 ICE는 지난 4일 조지아주 엘러벨 현대차-LG에너지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인천 한 반도체 제조공장서 가스 누출 22명 병원
사고가 발생한 반도체 제조공장 (사진=인천소방본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 한 공장에서 화학약품 작업 중 염산 탱크에 염소산을 잘못 주입하면서 화학 반응과 함께 가스가 누출돼 작업자 20여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9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35분경 미추홀구 도화동 한 반도체 제조공장에서 가스가 누출 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이 사고로 22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으며 이중 작업자 4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으며 다른 18명은 자력으로 병원으로 이동해 치료를 받았으며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현장에 도착했을 당시 탱크로리에서 화학반응이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하고 중화제를 뿌려 진화 했다. 사고 직후 공장 인근 근로자 등 120명은 자력으로 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신고가 접수되자 인력 47명과 장비 29대를 동원해 진화에 나섰다. 관할 구청은 재난문자를 통해 "도화동 일대에서 가스 누출 사고 발생을 알리며 인근 주민들은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물러 달라"고 요청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염산

문화

더보기
이앤아이앙상블, 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앤아이앙상블이 오는 9월 27일(토) 오후 7시 30분 문아트그라운드 실버스크린홀에서 세 번째 정기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를 개최한다. 이앤아이앙상블은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 공연에서 500석 규모 객석을 전석 매진시키면서 주목받았으며, 올해는 한정된 50석 규모의 공간에서 더욱 밀도 높은 무대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소리’를 주제로 음악, 마임, 영상이 결합된 다층적 무대 형식으로 진행된다. 관객은 연주자들의 호흡과 움직임, 무언의 퍼포먼스, 대형 스크린의 영상미를 가까이에서 경험하며 공연의 완성에 직접 참여하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이앤아이앙상블은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시에 자신들이 직접 작곡한 음악으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자작곡은 매 공연마다 높은 호응을 얻으며 ‘이앤아이앙상블만의 색깔’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전통과 현대를 잇는 창작 작업을 통해 모던 팝 클래식이라는 독창적 장르를 개척하며, 대중성과 예술성을 함께 아우르는 무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번 무대에서는 이앤아이앙상블 바이올린 박진희, 기타 김도윤, 첼로 김혜영, 건반 이유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