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6℃
  • 맑음강릉 9.4℃
  • 맑음서울 5.7℃
  • 안개대전 5.2℃
  • 박무대구 5.6℃
  • 구름조금울산 7.6℃
  • 박무광주 7.9℃
  • 구름조금부산 12.0℃
  • 맑음고창 4.5℃
  • 구름조금제주 15.0℃
  • 맑음강화 3.7℃
  • 맑음보은 1.5℃
  • 맑음금산 4.7℃
  • 맑음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4.3℃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사람들

이덕구 “불안한 청춘을 위로하는 가수가 꿈”

URL복사

타이틀곡 ‘이덕구의 이덕구’...“내가 바로 MZ세대 청년과 삶을 담았다”

 

[시사뉴스 김정기 기자] 이덕구 씨의 직업은 경호원이다. 어려서부터 운동을 해왔고 현재 하는 일에서 나름대로 인정도 받아 모 기업에서 경영진을 근접거리에서 에스코트한다.

 

덕구 씨의 직업은 가수다. 그것도 벌써 4개의 앨범을 발표했다. 대학에서 실용음악을 전공했고 싱어송라이터로 자신이 직접 프로듀싱까지 겸하는 만능 재주꾼이다. 자신이 직접 작사작곡해 부른 ‘해피엔딩’은 518이라는 시대의 아픔을 담아 ‘518유족회’에 저작권을 기부하기도 했다.

 

경호원으로 받는 월급 전부를 쏟아 ‘가수로써 활동’하는 덕구 씨의 이야기를 정리했다.

 

- 덕구 씨는 어떤 가수인가?

 

늘 불안한 청춘을 노래하는 가수가 되고 싶다. 어디가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싶어도 들어줄 사람 하나 없는 친구들을 위해 노래하고 싶다.

 

이번에 발표한 ‘이덕구의 이덕구’는 내가 살아온 이야기다. 나 스스로가 30대 초반으로 요즘 화제가 되는 MZ세대다. 내 솔직한 ‘삶의 길’을 노래에 담고 싶었다. 내 친구들의 이야기를 노래하고 싶었다.

 

그리고, 관객들이 내 노래를 들으며 나와 대화하길 원했다. 앞으로도 친구들과 함께하는 ‘청춘을 노래하는 이덕구’가 되고 싶다.

 

- 데뷔는 언제했나?

 

노래하게 된 건 중학교 때다. 학교에서 소문난 꼴통이었는데 내가 짝사랑하던 친구가 전교 1등이었다. 그 친구에게 관심받고 싶어 노래를 시작했다.

 

불순한(?) 동기에서 시작한 음악에 빠져버렸다. 18살에 고향 부산을 떠나 서울로 올라왔다. 대학에서 실용음악을 전공하고 정식을 데뷔한 건 2020년 2월이다.

 

 

- 직장생활을 한다고 들었다.

 

음악활동 ‘만’ 하기에는 아직 생활 여건이 안된다. 낮에는 직장에서 일해 생활비와 앨범 제작비 등을 충당하고 있다. 어려서부터 태권도를 한 덕에 경호원으로 일하고 있다.

 

- 회사에서도 가수로 활동 중인걸 알고 있나?

 

하하. 회사 일에 지장 줄 정도로 활동하는 게 아니다 보니 아직 알리지 않았다, 마음속으로는 혹시 직장 동료 누군가가 “덕구 씨 가수 아니세요?”하고 내 활동을 알게 되면 사직하겠다 마음먹었다.

 

지금의 생활도 나쁘지 않다. 꿈을 위해 한발씩 성장하는 내 모습에서 성취감을 느낀다.

 

- 대중음악활동을 하기 위해 이름을 알리는 것도 중요할 텐데?

 

발표한 곡 중에 ‘루즈러브’라는 곡이 ‘2020년도 헤어질때 듣는 감성터지는 곡’ 등으로 선정되는 영광이 있었다. (웃음) 인스타그램 팔로워도 그때 3천여 명으로 늘었다. SNS 활동으로 나를 알리고 꾸준한 유튜브 업데이트를 하고 있다.

 

‘기획사가 있으면 좋겠다’ 생각하다가도 ‘스타트업을 시작한 친구들처럼’ 나 자신에 투자하며 팬들과 만나고자 한다. 젊으니까 나에게 더 기회가 있을거라 생각한다.

 

지금은 한곡한곡 내 삶을 닮아 ‘불안한 청춘을 노래하는 이덕구’로 남고 싶다.

 

덕구 씨의 신곡 ‘이덕구’는 자신의 노래이며 ‘세월을 담담히 노래한다’. SNS를 통해 멋진 요리와 명품을 자랑하는 시대. 덕구 씨는 그 이면에 숨겨있는 자신을 솔직하게 내보이며 ‘사람들과 친해지기 위해 다가서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 밀반입 한 5명 적발
(사진=인천본부세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본부세관은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해 밀반입한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붙잡아 검찰에 송치했다. 인천본부세관은 4일 A(50대)씨 등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세관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1~12월 중국에서 건조된 마늘 173톤과 양파 33톤 등 시가 17억 원 상당의 농산물 총 206톤을 국내로 밀수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에 부과되는 고율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냉동 농산물로 위장하는 방식으로 밀수를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행 건조 마늘과 양파에는 각각 360%, 135%의 관세율이 적용되지만 냉동 농산물로 분류되면 27%로 낮아진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을 실은 컨테이너 적재 칸의 윗부분에는 냉동 농산물 상자를 넣어 현품 검사를 피하려고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에 적발된 보세창고 보세사는 현품 검사를 할 때 사전에 확인한 냉동 농산물만 샘플로 제시하는 등 범행에 깊숙이 가담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세관은 냉동 보세창고 외부에만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어 내부 감시가 어려운 점이 악용된 것으로 보고 앞으로 창고 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