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주군, 군립병원 설립 잰걸음

URL복사

이순걸 울주군수, 23일 정선군립병원·속초의료원·울진군의료원 현장방문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 울주군이 이순걸 군수의 제1호 공약인 ‘울주 군립병원 설립’ 추진을 위해 분주한 발걸음을 이어가고 있다.

 

이순걸 울주군수는 23일 강원도 속초의료원과 정선군립병원, 경북 울진군의료원 등 타지역 공공의료시설 3곳을 잇달아 방문해 시설을 견학하고, 현장 벤치마킹을 진행했다.

 

이날 현장방문에는 이 군수를 비롯해 공진혁 시의원과 관계 공무원 등이 참석해 병원 운영상황, 의료진 수급 현황, 운영상 애로사항 등 공공의료시설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확인했다.

 

각 의료시설 규모는 ▲속초의료원 193병상 ▲울진군의료원 148병상 ▲정선군립병원 30병상 등 규모로, 모두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군은 이번 벤치마킹을 통해 30병상 일반병원과 100병상 또는 200병상 이상 종합병원 등 군립병원의 병상규모를 검토한다. 또 기존 병원 또는 건물 매입, 부지 선정 후 신축 등 설립방식과 민간의료법인 위탁, 의료법인 설립 운영, 직영 등 운영방식을 놓고 최적의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군립병원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번 벤치마킹을 비롯해 오는 11월까지 진행하는 추진방안 연구용역과 각 분야 전문가·의회·주민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오는 12월 확정하게 된다.

 

아울러 군은 오는 30일 온양읍 행정복지센터에서 남부권 군민 100여명을 대상으로 검토 내용을 공유하고, 주민의견을 수렴하는 등 군립병원 설립을 위한 행보를 이어갈 예정이다.

 

이순걸 군수는 “군민과 약속한 공약 1호 사업 ‘울주 군립병원 설립’을 통해 울주군 남부권 일원에 응급의료시설 부재에 따른 의료공백을 최소화하고, 병원 설립을 조속히 추진해 군민의 건강권 보장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순걸 군수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남부권 군립병원 설립추진 TF 구성·운영계획’을 1호 결재로 진행하며, 군립병원 조속 건립에 대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앞서 울주군 남부권 일대는 2019년 지역 내 유일한 종합병원이 요양병원으로 전환된 이후 의료공백에 따른 불편을 호소해왔으며, 지난 15일에는 남울주 발전협의회 산하 울주 군립병원 유치 추진위원회가 울주군에 병원 설립을 촉구하는 건의서와 주민 8천명의 서명부를 제출하기도 했다.

 


Ulju-gun, Ulsan-si, is continuing its busy steps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Ulju County Hospital, the first pledge of Governor Lee Soon-gul.

 

On the 23rd, Ulju-gun County Governor Lee Soon-gul visited three public medical facilities in other regions, including Sokcho Medical Center in Gangwon-do, Jeongseon County Hospital, and Uljin County Medical Center in Gyeongsangbuk-do, and conducted on-site benchmarking.

 

The on-site visit was attended by Governor Lee, city councilor Gong Jin-hyuk and related officials to check the overall operation of public medical facilities, including hospital operations, medical staff supply and demand, and operational difficulties.

 

Each medical facility has 193 beds at ▲ Sokcho Medical Center ▲ 148 beds at Uljin-gun Medical Center ▲ 30 beds at Jeongseon-gun Hospital, all of which provide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rough this benchmarking, the county reviews the size of beds in county hospitals, such as general hospitals with 30 beds and general hospitals with 100 or 200 beds or more than 200 beds. It also plans to derive optimal measures for establishment methods such as purchase of existing hospitals or buildings, new construction after site selection, consignment of private medical corporations,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edical corporations, and direct management.

 

Details of the establishment of county hospitals will be finalized in December, reflecting comprehensively the benchmarking, research services on the implementation plan until November, and the opinions of experts, councils, and residents in each field.

 

In addition, the county plans to continue its steps to establish a county hospital by sharing reviews with about 100 southern residents at the Onyang-eup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on the 30th and collecting opinions from residents.

 

Governor Lee Soon-gul said, "We will do our best to guarantee the health rights of the county residents by minimizing medical gaps due to the absence of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n the southern part of Ulju-gun through the first pledge with the county residents."

 

Meanwhile, since the launch of the 8th popular election, Governor Lee Soon-geol has proceeded with the "TF Composition and Operation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Hospitals in the Southern Region" with the first approval, expressing his willingness to build military hospitals as soon as possible.

 

Earlier, the southern region of Ulju-gun has complained of inconvenience due to medical gaps since the only general hospital in the region was converted to a nursing hospital in 2019, and on the 15th, the Ulju County Hospital Attraction Committee under the Namul-ju Development Council submitted a proposal and a signature book to Ulju-gun.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여야 대표에 "국정에 국민 모든 목소리 공평히 반영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갖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만나 "대통령은 국민을 통합하는 게 가장 큰 책무인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국정에 모든 국민의 목소리가 공평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서 "우리 국민이 하나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을 모으면 참 좋겠다. 대외 협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선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일종의 통과의례 같은 것인데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해서 하는 과정이고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공개석상에서 '나라의 힘을 좀 길러야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이유가 있다"며 "우리가 다투고 경쟁은 하되 국민 또는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것들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했다. 또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인천 한 반도체 제조공장서 가스 누출 22명 병원
사고가 발생한 반도체 제조공장 (사진=인천소방본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 한 공장에서 화학약품 작업 중 염산 탱크에 염소산을 잘못 주입하면서 화학 반응과 함께 가스가 누출돼 작업자 20여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9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35분경 미추홀구 도화동 한 반도체 제조공장에서 가스가 누출 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이 사고로 22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으며 이중 작업자 4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으며 다른 18명은 자력으로 병원으로 이동해 치료를 받았으며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현장에 도착했을 당시 탱크로리에서 화학반응이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하고 중화제를 뿌려 진화 했다. 사고 직후 공장 인근 근로자 등 120명은 자력으로 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신고가 접수되자 인력 47명과 장비 29대를 동원해 진화에 나섰다. 관할 구청은 재난문자를 통해 "도화동 일대에서 가스 누출 사고 발생을 알리며 인근 주민들은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물러 달라"고 요청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염산

문화

더보기
이앤아이앙상블, 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앤아이앙상블이 오는 9월 27일(토) 오후 7시 30분 문아트그라운드 실버스크린홀에서 세 번째 정기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를 개최한다. 이앤아이앙상블은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 공연에서 500석 규모 객석을 전석 매진시키면서 주목받았으며, 올해는 한정된 50석 규모의 공간에서 더욱 밀도 높은 무대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소리’를 주제로 음악, 마임, 영상이 결합된 다층적 무대 형식으로 진행된다. 관객은 연주자들의 호흡과 움직임, 무언의 퍼포먼스, 대형 스크린의 영상미를 가까이에서 경험하며 공연의 완성에 직접 참여하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이앤아이앙상블은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시에 자신들이 직접 작곡한 음악으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자작곡은 매 공연마다 높은 호응을 얻으며 ‘이앤아이앙상블만의 색깔’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전통과 현대를 잇는 창작 작업을 통해 모던 팝 클래식이라는 독창적 장르를 개척하며, 대중성과 예술성을 함께 아우르는 무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번 무대에서는 이앤아이앙상블 바이올린 박진희, 기타 김도윤, 첼로 김혜영, 건반 이유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