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8 (토)

  • 구름많음동두천 9.6℃
  • 흐림강릉 13.2℃
  • 구름많음서울 12.4℃
  • 맑음대전 10.3℃
  • 박무대구 8.2℃
  • 구름조금울산 15.1℃
  • 맑음광주 12.0℃
  • 구름조금부산 16.7℃
  • 구름많음고창 10.0℃
  • 구름조금제주 17.3℃
  • 흐림강화 10.2℃
  • 맑음보은 6.3℃
  • 맑음금산 6.5℃
  • 구름조금강진군 9.9℃
  • 구름조금경주시 6.9℃
  • 구름많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시, 1조 원대 이차전지 소재산업 신‧증설 투자유치

URL복사

4일, 울산시 - 고려아연㈜ 투자양해각서 체결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가 제련산업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고려아연㈜으로부터 1조 원대 규모의 ‘이차전지 소재 생산 공장 신‧증설 투자’를 이끌어냈다.

 

투자유치로 미래의 핵심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첨단 이차전지 소재산업의 생산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는 한편, 자동차 산업을 비롯한 기존 주력산업의 고도화와 첨단화를 이룰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울산시와 고려아연㈜은 11월 4일 오전 10시 40분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김두겸 울산시장과 박기원 고려아연㈜온산제련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차전지 소재 생산공장 신‧증설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한다.

 

투자양해각서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울산시의 미래 핵심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이차전지 소재 생산 공장 신‧증설에 1조 원 이상을 투자한다.

  

특히 공장 신‧증설 투자와 향후 공장 운영에 필요한 인력 채용 시 울산시민을 최우선으로 고용한다. 울산시는 700여 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예상하고 있다.

 

울산시도 이번 공장 신‧증설 투자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사측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신속한 인‧허가 등 행정적으로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이번 신·증설 투자는 고려아연(주)의 자회사 ‘케이잼(주)’과 고려아연(주)의 계열사 ‘켐코’에서 설립한 ‘한국전구체(주)’를 통해 이뤄진다.

 

케이잼(주)은 원료의 전량을 재활용으로 조달하여 이차전지 음극재의 집전재로 사용되는 ‘전해동박 생산공장’을 올해 8월에 준공하고 시험 가동 후 내년부터 연간 1만 3,000톤 규모로 생산에 들어갈 계획이었다.

 

그러나,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이차전지 소재분야의 향후 시장 수요에 대비하여 사업비 7,356억 원을 추가 투자하여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부지에 오는 2025년까지 연간 생산 3만 톤 규모로 1차 증설 공사를 완료한다.

 

이어 오는 2027년까지 연간 생산 1만 7,000톤 규모의 2차 증설 공사를 완료하여, 최종 연간 생산 6만 톤 규모로 생산능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한국전구체㈜는 사업비 2,600억 원을 투자해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내에 올해부터 오는 2024년까지 연간 생산 2만 톤 규모의 전구체 공장을 신설하고, 시장 수요에 따라 증설을 통해 생산 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한국전구체(주)는 켐코로부터 원료인 황산니켈을 공급받아 배터리 양극재의 전 단계 물질인 전구체 엔시엠(NCM - 니켈, 코발트, 망간)을 생산할 계획이다.

  

박기원 고려아연 온산제련소장은 “고려아연은 지난 반세기 동안 모든 자원의 재활용을 극대화하고 원료의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면서 “탈 탄소시대로의 전환기를 맞아 고려아연이 가지고 있는 독보적 비철금속 제련기술을 기반으로 제련업의 제한된 성장성을 극복하고 울산시의 순환경제적 가치창출에 기여하고자 다양한 투자를 검토 중에 있다.”라고 밝혔다.

  

박 소장은 또 “이차전지 소재산업 분야에서도 고려아연의 근간인 제련사업의 기술과 자산을 활용해 글로벌 1위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다.”며“ 폐배터리 재활용(리사이클링) 사업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울산시의 이차전지 공급망(밸류체인) 구축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에 더해 비철금속을 포함하는 4대 주력산업이 이끌고 있다.”면서 “앞으로 울산을 아연, 동, 알루미늄을 아우르는 세계 최대 비철금속 생산기지로 육성시키겠다.”라고 밝혔다.

 

김 시장은 또 “울산은 국내 최대 전기차 생산시설을 갖춘 현대차와 세계적인 이차전지 제조기업인 삼성에스디아이(SDI)가 소재하고 있고,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테크노파크 이차전지실증화센터 등 연구 개발을 위한 우수한 산·학·연 파트너십을 구축해 놓고 있다.”면서 “앞으로 고려아연 투자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지원뿐만 아니라, 울산의 미래 핵심 산업인 이차전지 산업 육성에도 지원을 강화해서 울산이 명실상부한 이차전지 산업의 중심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Ulsan City has attracted KRW 1 trillion worth of "new and expanded investment in secondary battery material production plants" from Korea Zinc Co., Ltd., which has world-class technology in the smelting industry.

 

By attracting investment, it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growing into a production base for the high-tech secondary battery material industry, which is emerging as a key industry in the future, while upgrading and cutting-edge existing major industries, including the automobile industry.

 

Ulsan City and Korea Zinc Co., Ltd. will sign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investment in new and expanded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plants at 10:40 a.m. on Nov. 4 in the situation room on the 7th floor of the main building of the city hall.

 

According to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investment, Korea Zinc will invest more than 1 trillion won in the new and expansion of secondary battery material production plants, which are emerging as a key future industry in Ulsan.

  

In particular, Ulsan citizens will be hired first when investing in new and expanded factories and hiring personnel necessary for future plant operations. Ulsan City expects to create more than 700 new jobs.

 

Ulsan City also plans to continue to cooperate with the management and actively support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rapid approval and permission for the successful promotion and stable settlement of the plant's new and expanded investment project.

  

The new and expanded investment will be made through Korea Precursor Co., Ltd., which was established by KJAM Co., Ltd., a subsidiary of Korea Zinc Co., Ltd., and Kemco, an affiliate of Korea Zinc Co., Ltd.

 

KJAM Co., Ltd. planned to complete the "electrolytic copper foil production plant" in August this year, which will be used as a current collector for secondary battery cathode materials, and start production on an annual scale of 13,000 tons from next year.

 

However, in preparation for future market demand in the rapidly growing secondary battery material sector, an additional KRW 735.6 billion will be invested to complete the first expansion of 30,000 tons of annual production by 2025 at the Korea Zinc Onsan smelter site.

 

It plans to complete the second expansion of 17,000 tons of annual production by 2027 and expand its production capacity to 60,000 tons of final annual production.

 

Korea Precursor Co., Ltd. plans to invest 260 billion won in the project to establish a precursor plant with an annual production capacity of 20,000 tons from this year to 2024 in the Korea Zinc Onsan Smelter, and expand its production capacity according to market demand.

 

In particular, Korea Precursor Co., Ltd. plans to produce precursor NCM (NCM-nickel, cobalt, manganese), a pre-stage material of the battery cathode material, by receiving nickel sulfate as a raw material from Kemco.

  

Park Ki-won, head of the Korea Zinc Onsan Smelting Center, said, "For the past half century, Korea Zinc has been striving to maximize recycling of all resources and reduce the use of raw materials. "We are considering various investments to overcome the limited growth of the smelting industry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circular economic value in Ulsan based on Korea Zinc's unique non-ferrous metal smelting technology," he said.

  

"We will become the world's No. 1 company in the secondary battery material industry by utilizing the technology and assets of Korea Zinc's smelting business," Park said. "We will take the lead in building a secondary battery supply chain (value chain) in Ulsan by expanding the waste battery recycling business."

 

Ulsan Mayor Kim Doo-kyum said, "Ulsan is led by four major industries, including nonferrous metals, in addition to automobiles, shipbuilding, and petrochemicals."In the future, we will foster Ulsan as the world's largest nonferrous metal production base that encompasses zinc, copper, and aluminum," he said.

 

Mayor Kim said, "Ulsan is home to Hyundai Motor, which has the largest electric vehicle production facility in Korea, and Samsung SDI, a global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r, and we are building excellent industrial, academic, and research partnership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2025 서울건축박람회’ 개막...건축주·인테리어 수요자 참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건축·인테리어·전원주택 전문 전시회 ‘2025 서울건축박람회’가 6일부터 오는 9일까지 학여울역 세텍(SETEC)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된다. ‘서울경향하우징페어’는 올해부터 ‘서울건축박람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인테리어 수요자와 건축주 모두를 위한 전시로 새롭게 개편됐다. 특히 이번 박람회에는 국내 유수의 인테리어 브랜드와 관련 업체가 대거 참가해, 주거 및 상업공간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참관객들의 높은 기대에 열렸다. 서울건축박람회는 전원주택과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한 실수요자 맞춤형 건축전시회로서 주거 공간을 직접 설계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전시회이다. 특히, 옥외전시장을 활용한 계절별 기획 전시를 선보이며, 실내외를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전시회로 한층 진화됐고, 단열, 난방, 에너지 절감 등 현장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이 소개됐다. 전시 품목으로는 내외장재/구조재/단열재, 난방/보일러/펌핑/환기설비재, 도장/방수재, 조경/공공시설재, 조명/전기설비재, 체류형쉼터/이동식주택, 주택설계시공, 창호/하드웨어, 건축공구/관련기기, 홈네트워크시스템 등 건축과 인테리어 전반을

정치

더보기
북한, 미국 제재에 상응 조치 예고 하루 만에 탄도미사일 발사..일본 “EEZ 밖에 낙하 추정”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북한이 미국의 제재 조치에 대해 상응 조치를 예고한 지 하루 만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7일 “오늘 낮 12시 35분경 북한 평안북도 대관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한 발을 포착했다”며 “미사일은 약 700km 비행했으며 정확한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이다”라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동향을 사전에 포착해 감시해 왔으며 발사 즉시 탐지 후 추적했다. 미국·일본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며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하에 북한의 다양한 동향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방위성도 이날 보도자료를 발표해 “북한은 오늘 12시 34분경 북한 서해안에서 1발의 탄도미사일을 동방향을 향해 발사했다”며 “자세한 내용은 현재 한미일에서 긴밀하게 연계해 분석 중이지만 발사된 탄도미사일은 최고 고도 약 50km 정도로 약 450km를 넘어 비상해 낙하한 곳은 한반도 동쪽의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Exclusive Economic Zo


사회

더보기
김민전 의원, 학교 먹는 물 수질 검사·결과 공개 의무화 법률안 대표발의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학교 먹는 물 수질 검사와 그 결과 공개를 의무화하는 법률안이 발의됐다.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비례대표, 교육위원회, 초선, 사진)은 7일 ‘학교보건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 학교보건법 제4조(학교의 환경위생 및 식품위생)제1항은 “학교의 장은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학교시설[교사대지(校舍垈地)ㆍ체육장, 교사ㆍ체육관ㆍ기숙사 및 급식시설, 교사대지 또는 체육장 안에 설치되는 강당 등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서의 환기ㆍ채광ㆍ조명ㆍ온도ㆍ습도의 조절과 유해중금속 등 유해물질의 예방 및 관리, 상하수도ㆍ화장실의 설치 및 관리, 오염공기ㆍ석면ㆍ폐기물ㆍ소음ㆍ휘발성유기화합물ㆍ세균ㆍ먼지 등의 예방 및 처리 등 환경위생과 식기ㆍ식품ㆍ먹는 물의 관리 등 식품위생을 적절히 유지ㆍ관리하여야 한다”고, 제2항은 “학교의 장은 제1항에 따라 학교시설에서의 환경위생 및 식품위생을 적절히 유지ㆍ관리하기 위하여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연 2회 이상 점검하고, 그 결과를 기록ㆍ보존 및 보고하여야 한다. 이 경우 환경위생 점검을 위한 공기 질 점검 시 학교운영위원회 위원 또는 학부모가 참관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이를 허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하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