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교육청, 학부모 대상 고교학점제 정책 공감 토크 콘서트 열어

URL복사

-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나 고교학점제에 대한 정책 공감의 시간
- 울산시교육감, 교육공동체와 소통하며 고교학점제 빈틈없이 준비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이 8일 롯데호텔(크리스탈 볼룸)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부모 250여 명을 대상으로 ‘내 삶의 주인이 되는 첫걸음, 울산 고교학점제 정책 공감 토크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고교학점제 정책 공감 토크 콘서트는 교육부 주최, 울산교육청 주관으로 1부와 2부로 나눠서 진행했다.

 

1부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 고교학점제연구센터 김주아 소장이 ‘미래 사회 변화와 고교학점제’라는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고, 2부에서는 ▲울산 교육 정책 이야기 ▲학생, 학부모, 교사, 입학사정관의 현장 발언대 ▲교육감, 학생, 학부모, 교사, 입학사정관이 함께하는 토크 콘서트를 진행했다.

 

교육감과 함께하는 토크 콘서트에서는 고교학점제를 먼저 경험한 학생, 학부모, 교사, 입학사정관의 시각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나누었고, 교육감이 현장 질문에 답하며 학부모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졌다. 오는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앞두고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학부모님의 높은 관심을 엿볼 수 있었다.

 

본 행사는 온, 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되어 230여 명의 학부모들이 울산광역시교육청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을 시청하였다.

 

한편, 울산교육청은 토크 콘서트에 참석하지 못한 학부모들을 위해 울산 고교학점제지원센터 누리집에 해당 영상을 탑재할 예정이다.

 

노옥희 교육감은 “학생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와 적성을 찾고, 미래사회 역량을 키우기 위해 교육공동체와 소통하며 울산형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빈틈없이 준비하겠다”말했다.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Noh Ok-hee) held a "First Step to Become the Owner of My Life, Ulsan High School Credit Policy Sympathy Talk Concert" at Lotte Hotel (Crystal Ballroom) on the 8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empathy talk concert was ho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organized by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parts.

 

In the first part, Kim Joo-ah, director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High School Credit Center, gave a special lecture on the theme of "Future Social Change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in the second part, a talk concert was held with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admissions officers.

 

At the talk concert with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admissions officers who experienc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irst talked abou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superintendent answered on-site questions to solve parents' questions. Ahead of the full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parents' high interest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was seen.

 

The event was held simultaneously online and offline, and more than 230 parents watched the broadcast in real time through the YouTube channel of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eanwhile,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will upload the video on the website of the Ulsan High School Credit Support Center for parents who could not attend the talk concert.

 

Superintendent Roh Ok-hee said, "Students will communicate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 to find their career paths and aptitudes on their own, develop their future social capabilities, and prepare thoroughly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Ulsan-type high school credit syste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등... '서귀포국가유산야행'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주마을문화진흥원은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이 개막했다고 14일 밝혔다. 서귀포항 일대에서 개막 예정인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주최 기관 제주마을문화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2주간 사전 신청을 받은 결과 유람선을 탑승해 문화유산을 둘러보는 ‘해상 문화유산 투어’ 500명과 기간 동안 매일 저녁 열리는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에서 회차별 30명을 넘기는 신청이 접수됐다. 특히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은 사전 신청을 하지 못한 분들도 관객의 자격으로 진행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제주의 신화를 기반으로 유려한 자연경관과 역사 체험을 위해 기획된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은 사전 신청을 받은 프로그램 외에도 야경, 야로, 야설, 야사, 야화, 야시, 야식, 야숙 등 ‘8야’를 주제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신용구 작가가 구현한 ‘서천꽃밭’과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그리고 홀로그램을 통해 구현한 영등할망의 방문은 밤바다와 신화가 어우러지는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버스킹 무대와 어우러진 먹거리 장터도 열려 눈과 귀 그리고 미각까지 만족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