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8.8℃
  • 맑음강릉 15.3℃
  • 맑음서울 11.3℃
  • 맑음대전 11.8℃
  • 맑음대구 12.4℃
  • 구름조금울산 12.1℃
  • 구름조금광주 13.8℃
  • 구름많음부산 15.2℃
  • 맑음고창 10.4℃
  • 구름많음제주 16.7℃
  • 맑음강화 7.3℃
  • 맑음보은 8.9℃
  • 맑음금산 10.5℃
  • 구름많음강진군 13.8℃
  • 맑음경주시 10.7℃
  • 구름많음거제 12.5℃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교육청, 치유·성장 중심의 교원 힐링 프로그램 운영

URL복사

- 체험·실습 등 19개 프로그램 107회 운영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은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 지원을 강화하고자 치유·성장 중심의 전문적인 교원 힐링 프로그램을 5일부터 20일까지 운영한다.

 

울산교육청은 유·초·중등·특수·각종학교 1,871명을 대상으로 교원들이 심리적·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체험·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프로그램은 도자기, 요리, 바리스타, 비건 음식 만들기 등의 체험·실습 관련 기본형 프로그램 11개, 미술심리치료, 집단상담치료, 동물매개치료 등의 심화형 프로그램 3개, 뮤지컬, 연극, 콘서트 등 관람형 프로그램 5개이며, 총 19개 프로그램을 회차를 달리하여 107회 운영한다.

 

현재 울산교육청에서는 교육활동 운영에 따른 신체적·심리적 소진 교원에 대한 회복적 프로그램으로 교원 힐링 동아리를 상반기 40팀, 하반기 108팀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동아리 운영은 교원들의 교육 회복 지원을 위해 특별히 예산을 추가 확보하여 지난해보다 운영 학교를 대폭 확대한 것이다.

 

울산교육청은 향후 교원 힐링 프로그램 및 힐링 동아리 운영 종료 후 참여 교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원들이 희망하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발굴하여 지원하는 방법으로 운영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원 힐링 프로그램 운영으로 교육활동 의욕 고양과 안정적인 교육활동 복귀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학생·학부모·교사가 상호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고, 피해 교원의 치유와 지원체계도 더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Noh Ok-hee) will run a professional teacher healing program centered on healing and growth from the 5th to the 20th to strengthen support for the protection of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operates experience and practice programs for 1,871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special, and various schools to help teachers relieve psychological and mental stress and concentrate on educational activities.

 

The programs include 11 basic programs related to experience and practice such as pottery, cooking, barista, and vegan food making, three in-depth programs such as art psychotherapy, group counseling therapy, and animal medication, and five viewing programs such as musicals, plays, and concerts.

 

Currently,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operates 40 teacher healing clubs in the first half and 108 in the second half as a restorative program for teachers who are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exhausted due to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This club operation has significantly expanded the number of operating schools from last year by securing additional budgets to support the educational recovery of teachers.

 

In the future,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will conduct a survey of participating teachers after the operation of teacher healing programs and healing clubs to improve the operation by discovering and supporting customized programs desired by teachers.

 

"We will not only support the motivation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return to stable educational activities by operating a teacher healing program, but also support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to create a culture of mutual respect, and further strengthen the healing and support system for affected teachers," a city education office official said.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 밀반입 한 5명 적발
(사진=인천본부세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본부세관은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해 밀반입한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붙잡아 검찰에 송치했다. 인천본부세관은 4일 A(50대)씨 등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세관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1~12월 중국에서 건조된 마늘 173톤과 양파 33톤 등 시가 17억 원 상당의 농산물 총 206톤을 국내로 밀수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에 부과되는 고율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냉동 농산물로 위장하는 방식으로 밀수를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행 건조 마늘과 양파에는 각각 360%, 135%의 관세율이 적용되지만 냉동 농산물로 분류되면 27%로 낮아진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을 실은 컨테이너 적재 칸의 윗부분에는 냉동 농산물 상자를 넣어 현품 검사를 피하려고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에 적발된 보세창고 보세사는 현품 검사를 할 때 사전에 확인한 냉동 농산물만 샘플로 제시하는 등 범행에 깊숙이 가담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세관은 냉동 보세창고 외부에만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어 내부 감시가 어려운 점이 악용된 것으로 보고 앞으로 창고 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