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8 (토)

  • 맑음동두천 9.8℃
  • 흐림강릉 14.5℃
  • 맑음서울 13.1℃
  • 맑음대전 13.8℃
  • 맑음대구 10.7℃
  • 맑음울산 15.1℃
  • 박무광주 13.2℃
  • 구름조금부산 15.8℃
  • 맑음고창 11.4℃
  • 맑음제주 17.3℃
  • 맑음강화 10.8℃
  • 맑음보은 8.7℃
  • 맑음금산 8.4℃
  • 맑음강진군 10.7℃
  • 맑음경주시 7.8℃
  • 구름조금거제 14.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교육청, 생태환경급식 배우고! 맛보고! 즐기고!

URL복사

- 학교급식과 함께 우리 아이들 건강도 지키고 환경도 보호하고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이 19일 울산대공원 남문광장 일대에서 학생, 학부모 , 지역과 함께하는 ‘생태환경급식 축제’를 개최했다.

 

이번 축제는 ‘생태환경급식 배우고! 맛보고! 즐기고!’를 주제로 울산광역시교육청이 주관하고 울산학교급식영양교사회 ․ 영양사회 ․ 조리사회 후원으로 열렸다.

 

‘배우고’부분에서는 ▲음식들의 탄소발자국 알아보기 ▲채소와 친해지기 ▲학생교육활동 결과물 전시 ▲지구사랑 요리교실 ▲친환경 과일주스․새활용 화분 만들기 등을 운영했다.

 

‘맛보고’부분에서는 학교급식 레시피 공모전 당선작인 플렌트버거, 두부스크램블쌈밥, 가지비건불고기볶음, 건강한 비건마라탕 시식 체험이 진행되었다.

 

‘즐기고’부분에서는 학생․학부모 30팀이 참여하여 물물교환 장터를 운영하였고, 울주군과 협업하여 지역농산물 및 학교에 납품하는 급식재료를 홍보했다.

 

이번 행사는 학교급식을 단순히 학교 안에서의 활동으로 한정 짓지 않고, 학부모와 지역주민, 지역농가까지로 확대하여 모두가 함께 학생들의 건강도 지키고 환경보호에 대해서도 배우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이 돋보였다.

 

현장에 초등학생 자녀와 함께 참여한 학부모는 “학교급식이 단순히 한 끼 먹을 것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는 게 아니라, 학생들 스스로 생활습관으로 만들어 낼 수 있도록 교육의 영역까지 확대하고, 그것을 만들기 위해 많은 분들이 많은 분야에서 노력하고 있는 것에 놀랐다”며, “학교급식이 기후변화에 동참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에 나도 집에 가서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고 말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급식의 여러 가지 활동들이 이번 기회에 학생, 학부모, 시민들에게 알려지고 소통하고 칭찬받게 되어, 현장에서 묵묵히 최선을 다하시는 선생님들에게 힘이 되는 기회가 되었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학교급식 관계자들과 함께 진정한 학생들을 위한 울산 학교급식의 내일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Noh Ok-hee) held an "eco-environmental meal festival" with students, parents and regions around the Nammun Square of Ulsan Grand Park on the 19th.

 

The festival was organized by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under the theme of "Learning Ecological Environment Lunch! Taste! Enjoy!" and sponsored by the Ulsan School Meal Nutrition Teachers' Association, Nutrition Society, and Cooking Society.

 

In the "Learning" section, ▲ Finding carbon footprints of foods ▲ Getting close to vegetables ▲ Exhibiting student education activities ▲ Earth Love Cooking Class ▲ Making eco-friendly fruit juice and potted plants.

 

In the "Taste Report" section, the winning works of the school meal recipe contest, Flentburger, tofu scramble ssambap, stir-fried eggplant vegan bulgogi, and healthy vegan malatang were held.

 

In the "Enjoy" section, 30 teams of students and parents participated to run a barter marketplace, and collaborated with Ulju-gun to promote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school meal materials.

 

The event was not limited to simply activities within the school, but expanded to parents, local residents, and local farmers so that everyone could learn about the health of student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ogether.

Parents who participated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said, "I was surprised that school meals are not just providing a meal, but expanding the scope of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make their own lifestyle, and I should go home and practice them."

 

An official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said, "We hope that various activities of school meals will be known, communicated, and praised by students, parents, and citizens, which will be a helpful opportunity for teachers who do their best on the spot, and we will do our best to create a tomorrow of Ulsan school meals for true student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2025 서울건축박람회’ 개막...건축주·인테리어 수요자 참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건축·인테리어·전원주택 전문 전시회 ‘2025 서울건축박람회’가 6일부터 오는 9일까지 학여울역 세텍(SETEC)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된다. ‘서울경향하우징페어’는 올해부터 ‘서울건축박람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인테리어 수요자와 건축주 모두를 위한 전시로 새롭게 개편됐다. 특히 이번 박람회에는 국내 유수의 인테리어 브랜드와 관련 업체가 대거 참가해, 주거 및 상업공간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참관객들의 높은 기대에 열렸다. 서울건축박람회는 전원주택과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한 실수요자 맞춤형 건축전시회로서 주거 공간을 직접 설계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정보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전시회이다. 특히, 옥외전시장을 활용한 계절별 기획 전시를 선보이며, 실내외를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전시회로 한층 진화됐고, 단열, 난방, 에너지 절감 등 현장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이 소개됐다. 전시 품목으로는 내외장재/구조재/단열재, 난방/보일러/펌핑/환기설비재, 도장/방수재, 조경/공공시설재, 조명/전기설비재, 체류형쉼터/이동식주택, 주택설계시공, 창호/하드웨어, 건축공구/관련기기, 홈네트워크시스템 등 건축과 인테리어 전반을

정치

더보기
북한, 미국 제재에 상응 조치 예고 하루 만에 탄도미사일 발사..일본 “EEZ 밖에 낙하 추정”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북한이 미국의 제재 조치에 대해 상응 조치를 예고한 지 하루 만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7일 “오늘 낮 12시 35분경 북한 평안북도 대관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한 발을 포착했다”며 “미사일은 약 700km 비행했으며 정확한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분석 중이다”라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는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동향을 사전에 포착해 감시해 왔으며 발사 즉시 탐지 후 추적했다. 미국·일본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며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하에 북한의 다양한 동향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방위성도 이날 보도자료를 발표해 “북한은 오늘 12시 34분경 북한 서해안에서 1발의 탄도미사일을 동방향을 향해 발사했다”며 “자세한 내용은 현재 한미일에서 긴밀하게 연계해 분석 중이지만 발사된 탄도미사일은 최고 고도 약 50km 정도로 약 450km를 넘어 비상해 낙하한 곳은 한반도 동쪽의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Exclusive Economic Zo


사회

더보기
김민전 의원, 학교 먹는 물 수질 검사·결과 공개 의무화 법률안 대표발의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학교 먹는 물 수질 검사와 그 결과 공개를 의무화하는 법률안이 발의됐다.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비례대표, 교육위원회, 초선, 사진)은 7일 ‘학교보건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 학교보건법 제4조(학교의 환경위생 및 식품위생)제1항은 “학교의 장은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학교시설[교사대지(校舍垈地)ㆍ체육장, 교사ㆍ체육관ㆍ기숙사 및 급식시설, 교사대지 또는 체육장 안에 설치되는 강당 등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서의 환기ㆍ채광ㆍ조명ㆍ온도ㆍ습도의 조절과 유해중금속 등 유해물질의 예방 및 관리, 상하수도ㆍ화장실의 설치 및 관리, 오염공기ㆍ석면ㆍ폐기물ㆍ소음ㆍ휘발성유기화합물ㆍ세균ㆍ먼지 등의 예방 및 처리 등 환경위생과 식기ㆍ식품ㆍ먹는 물의 관리 등 식품위생을 적절히 유지ㆍ관리하여야 한다”고, 제2항은 “학교의 장은 제1항에 따라 학교시설에서의 환경위생 및 식품위생을 적절히 유지ㆍ관리하기 위하여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연 2회 이상 점검하고, 그 결과를 기록ㆍ보존 및 보고하여야 한다. 이 경우 환경위생 점검을 위한 공기 질 점검 시 학교운영위원회 위원 또는 학부모가 참관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이를 허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하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