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교육청, 중학교-고교학점제 전환기 이음자료 개발·보급

URL복사

2022 개정 교육과정 도입 대비 및 전환기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 지원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이 ‘중학교-고교학점제 전환기 이음자료 6종’을 개발해 관내 중학교에 보급했다.

 

상급 학교로의 전환을 앞둔 시기를 일컫는 ‘전환기’는 개인의 진로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특히 중학교의 경우 안정적인 학교급 전환 및 고교학점제 준비 등을 위한 교과 학습과 진로연계 교육과정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전환기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현행의 자유학년제를 1학년 자유학기와 3학년 진로연계교육으로 개선하며 학생 성장의 연속성 상에서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울산교육청은 지난 3월부터 전환기 이음자료 개발을 위해 중·고등학교 교사 23명을 집필진으로 구성하여 여러 번 협의를 거쳐 발간하게 됐다.

 

주요 내용으로 국어, 영어, 수학, 사회/도덕, 과학 등 교과과목 5종은 중학교 3년간의 교과 내용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되는 중학교 필수 개념들을 안내하고 있다. 현재 중학교 3학년은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을 입학과 동시에 경험한 만큼 교과 위주로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교과 수업과 자기주도적 학생에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진로 1종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운영 방식과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공통 교육과정 위주로 진행되는 중학교에서 선택 교육과정 위주의 고교학점제 및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총 6종으로 이루어진 전환기 이음자료는 관내 전 중학교에 인쇄본과 파일로 보급될 예정이며, 운영과 활용에 관한 연수도 진행 중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전환기 이음자료는 고등학교 진학을 앞둔 학생들에게 중학교의 교육 내용을 되새겨 보며, 그 내용들이 고등학교의 교육과정과 어떻게 연결되지 미리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상급학교로의 성공적인 안착을 돕고자 한다”며, “전환기 이음자료가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내실있는 전환기 교육과정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Noh Ok-hee) developed and distributed "six types of joint materials for the middle school-high school credit system transition period" to middle schools in the jurisdiction.

 

The "transition period," which refers to the period ahead of the transition to a higher school, i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and in particular, middle schools should operate curriculum-learning and career-linked curriculum for stable school-level transition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preparation.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the transition curriculum,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lso improves the current free school year system to first-grade free semester and third-grade career-linked education, emphasizing the connection of the curriculum in terms of continuity of student growth.

 

Since March,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has formed 23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s writers to develop data for the transition period and published them after consultation several times.

 

As the main content, five subjects, including Korean, English, mathematics, social/moral, and science, guide the essential concepts of middle school linked to the high school curriculum among the three-year middle school curriculum. Currently,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was organized so that remote classes caused by COVID-19 could be supplemented mainly by subjects as they experienced them at the same time as entering the school, and developed so that they could be used for both subject classes and self-directed students.

 

Career Type 1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middle schools, which focus on the common curriculum, it helps to underst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high school curriculum centered on the selective curriculum.

 

A total of six types of transition period joint data will be distributed as printed copies and files to all middle schools in the jurisdiction, and training on operation and utilization is also underway.

 

An official from the City Office of Education said, "We want to help students who are about to enter high school reflect on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and see how they will be connected to the high school curriculum in advance."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등... '서귀포국가유산야행'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주마을문화진흥원은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이 개막했다고 14일 밝혔다. 서귀포항 일대에서 개막 예정인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주최 기관 제주마을문화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2주간 사전 신청을 받은 결과 유람선을 탑승해 문화유산을 둘러보는 ‘해상 문화유산 투어’ 500명과 기간 동안 매일 저녁 열리는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에서 회차별 30명을 넘기는 신청이 접수됐다. 특히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은 사전 신청을 하지 못한 분들도 관객의 자격으로 진행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제주의 신화를 기반으로 유려한 자연경관과 역사 체험을 위해 기획된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은 사전 신청을 받은 프로그램 외에도 야경, 야로, 야설, 야사, 야화, 야시, 야식, 야숙 등 ‘8야’를 주제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신용구 작가가 구현한 ‘서천꽃밭’과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그리고 홀로그램을 통해 구현한 영등할망의 방문은 밤바다와 신화가 어우러지는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버스킹 무대와 어우러진 먹거리 장터도 열려 눈과 귀 그리고 미각까지 만족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