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카이스트 등 과학기술원 4곳 정시 경쟁률 '100대 1'…반도체 계약학과 신설 원인?

URL복사

작년比 3,031명 더 지원…카이스트·유니스트 3배
2024 유니스트, 디지스트, 지스트에 삼성전자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이 주 원인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과학기술원 4곳의 정시 평균 경쟁률이 크게 치솟아 100대 1을 넘겼다.

반도체 대기업 취업이 보장된 계약학과가 신설된 것이 원인 중 하나라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의과대학 합격자가 발표될 경우 이탈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10일 종로학원이 카이스트, 유니스트, 디지스트, 지스트 4개 과기원의 2024학년도 정시 원서접수 결과를 분석한 결과, 평균 경쟁률은 103.74대 1로 집계됐다.

 

정시에서 4개교를 다 합해 단 65명을 선발하는데 6743명이 원서를 냈다. 지난해 지원자 수(3712명)보다 1.8배, 평균 경쟁률(61.87대 1)은 1.6배 높아졌다.

과기원별로 살피면 유니스트가 112대 1을 기록해 경쟁이 가장 치열했다. 단 15명을 뽑는 데 1680명이 지원해 지난해(541명)와 견줘 3배 이상 늘어났다.

카이스트도 107.35대 1을 기록해 지난해보다 경쟁률과 지원자 수 모두 3배 가까이 상승했다. 20명 선발에 2147명이 몰려 지난해(741명)을 크게 웃돌았다.

디지스트도 97.47대 1을 보였다. 지난해 59.6대 1보다 경쟁이 크게 치열해진 것이다. 디지스트는 15명을 뽑는데 1462명이 지원해 지난해(1192명)보다 늘어났다.

지스트는 경쟁률이 지난해(123.8대 1)보다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인 96.93대 1을 보였다. 지원자 수는 216명(17.4%) 증가했다.

별도로 한국에너지공과대학(한전공대·KENTECH)은 401명이 지원해 40대 1이었다. 지난해보다 지원자 수(-202명)와 경쟁률(60.3대 1) 모두 줄었다.

일반대학에 지원하는 수험생들은 정시에서 군별로 1개씩 총 3번의 지원 기회가 있지만 별도의 법률에 따라 설치된 이들 이공계 특성화대학 5개교는 예외다. 3곳을 지원하고 이들 대학에 추가로 지원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입학정원을 수시에 해당하는 시기에 서류나 면접으로 선발하기 때문에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으로 뽑는 정시 경쟁률은 예년에도 매우 높았다.

업계는 과기원에 수능 성적으로 지원하는 수험생은 주로 최상위권이라 의과대학 등 타 대학에 함께 원서를 낸다고 전한다. 동시 합격한 수험생 다수가 과기원 대신 의대 등을 택해 이탈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럼에도 과기원 4곳의 경쟁률이 1년 만에 크게 상승한 데에는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이 이유로 꼽힌다.

카이스트는 지난해부터, 다른 3개 과기원은 올해 입시부터 삼성전자 취업이 보장된 계약학과가 신설돼 신입생을 모집한다. 4개 과기원 모두 5명씩 뽑는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과기원의 경우 삼성전자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로 지원자가 몰렸다"며 "카이스트는 의대 중복합격에 따른 이동 현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고, 나머지 대학에서도 약대 등으로 중복합격 시 빠져 나가는 인원이 지난해보다 많을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정치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먼저 걸어본 사람이 들려주는, 진짜 개척의 이야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을 펴냈다. 이 책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척교회를 시작한 저자가 지난 8년간 경험한 목회의 현실을 생생하게 담아낸 실전형 간증서이자 사역 매뉴얼이다. ‘절대 개척은 하지 말자’는 다짐으로 신학을 시작했지만, 결국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해 ‘맨땅에 헤딩’하듯 개척의 길을 택한 저자는 장소 선정부터 재정 운영, 팬데믹의 충격, 사람과의 갈등까지 개척 현장에서 마주하는 모든 과정을 솔직하게 풀어놓는다. 단순한 성공담이 아니라 실패하지 않기 위한 전략과 끝까지 버티는 용기를 나누는 데 중점을 뒀다는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교회는 성도를 내보내야 한다”는 저자의 철학은 교회 공동체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하며, 개척교회를 ‘성장’보다 ‘존재의 의미’로 바라보게 한다. 이 책은 지금도 교회 개척을 고민하는 많은 목회자들에게 실질적인 조언과 공감, 그리고 동역자의 위로가 되어줄 것이다.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은 신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개척의 현실을 공유하며, 이제 막 첫발을 내딛는 이들에게 든든한 나침반이 돼준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먼저 걸어본 사람이기에 들려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