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日 엔화 환율, 美 장기금리 하락 멈춤에 1달러=145엔대 전반 급락 출발

URL복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일본 엔화 환율은 6일 미국 장기금리가 하락을 멈추면서 미일 금리차 축소 일단락으로 엔 매도, 달러 매수 선행에 1달러=145엔 전반으로 크게 내려 시작했다.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화 환율은 이날 오전 8시30분 시점에 1달러=145.23~145.27엔으로 전일오후 5시 대비 1.76엔 떨어졌다.

일시 1달러=145.55엔까지 급속히 낙폭을 확대했다. 이에 전날 폭락한 닛케이 평균주가가 크게 반등해 투자 리스크 회피 심리를 완화하는 것도 엔 매도를 부추기고 있다.

5일 나온 미국 ISM 7월 비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PMI)는 51.4로 전월보다 상승했고 시장 예상을 웃돌았다.

경기확대와 경기축소를 가름하는 50 역시 상회했다. 체감경기 개선으로 미국 경기를 둘러싼 과도한 비관론이 완화했다.

미국 장기금리는 일시 3.66%로 2023년 6월 이래 1년2개월 만에 저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이후 미국채 매도로 주말과 같은 3.79%로 마쳤다. 미일 금리차가 축소로 향한다는 관측이 일단 진정되고 있다.

엔화 환율은 오전 9시36분 시점에는 2.14엔, 1.49% 내려간 1달러=145.61~145.65엔으로 거래됐다.

호주 시드니 외환시장에서 엔화 환율은 해외시장 흐름을 이어받아 지난 2일에 비해 5.40엔 급등한 1달러=143.75엔~143.85엔으로 출발했다.

앞서 5일(현지시각) 뉴욕 외환시장에서 엔화 환율은 5거래일째 크게 올라 2일 대비 2.30엔 오른 1달러=144.15~144.25엔으로 폐장했다.

미국 경제와 고용 감속에 대한 경계, 세계적인 주가 하락이 엔 매수, 달러 매도를 불렀다.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적극적인 금융완화에 나선다는 전망으로 미국 장기금리가 대폭 저하하자 미일 금리차 축소를 의식한 엔 매수, 달러 매도를 부추겼다.

7월 미국 고용통계에선 고용자 수가 시장 예상만큼 늘지 않았고 실업률도 상승했다. 5일은 일본과 유럽, 미국 등 주요증시가 폭락했다.

미국 장기금리가 하락해 장중 3.66%로 2023년 6월 이래 낮은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리스크 회피 심리가 강해짐에 따라 저리스크 통화인 엔에 매수가 유입했다.

시장에선 코로나19 충격 같은 위기 수준은 아니지만 세계적인 경기침체 우려에서 격렬한 기세로 엔에 매수가 몰렸다고 지적했다.

도쿄 외환시장에서 6일 엔화는 유로에 대해 대폭 하락하고 있다. 오전 9시32분 시점에 1유로=159.49~159.48엔으로 전일보다 2.37엔, 1.50% 떨어졌다.

유로는 달러에 대해서 소폭 오르고 있다. 오전 9시32분 시점에 1유로=1.0951~1.0952달러로 전일에 비해 0.0003달러, 0.02% 상승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李 대통령 "정치, 사회 양극화와 격차 문제 최소한으로 완화"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민생·경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국민 패널 100여명과 함께하는 디지털 토크 라이브를 열고 "정치가 사회 양극화와 격차 문제를 최소한으로 완화해야 한다"며 "실현 가능한 현실적 정책들을 함께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열린 '디지털 토크 라이브 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 에서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평균적으로 나쁘지 않은데, 압도적 다수의 사람들은 불평등 때문에 매우 힘들어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의 본질은 국민이 지금보다 더 나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국민의 삶에서 제일 중요한 게 경제 문제다. 먹고사는 게 힘들면 정말 피곤하다"고 했다. 지역균형 발전 방안을 두고는 "수도권 집값 때문에 시끄러운데, 사실 제일 근본적인 문제는 수도권 집중에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우리가 취업이 쉽지 않다 보니 전세계적으로 자영업 비율이 엄청 높은데, 최저임금도 못 버는 경우가 태반"이라고 했다. 또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은 요새 빚 때문에 더 난리인데, 금융 문제에 있어서는 지금보다 좀 개혁적으로 접근했으면 좋겠다"며 "선진국은 못 갚은 빚을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