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시네마 돋보기

【시네마돋보기】 도시괴담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설정과 긴장감 넘치는 구성의 미스터리 호러 <웨폰>

URL복사

마을의 아이들이 사라졌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어느날 갑자기 마을의 아동들이 집단으로 실종된다. 강렬한 데뷔작 <바바리안>을 통해 호러 신성으로 떠오른 잭 크레거 감독의 신작이다.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미드나잇 패션’ 섹션 부문에 공식 초청됐다.

 

기이함에 기이함, 반전에 반전

 

평범한 마을 ‘메이브룩’ 평범한 수요일, 학교의 같은 반 학생 17명이 등교하지 않는다. 그날 새벽 2시 17분, 잠에서 깬 아이들이 어둠속으로 달려가 돌아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일하게 남은 아이는 입을 다물고, 사라진 아이들을 찾으려는 이들은 악몽 같은 현실을 마주하게 된다.

 

이 작품은 잭 크레거 감독이 직접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했다. <그것>, <컨저링> 시리즈 제작진들이 참여했고, <시카리오> 시리즈의 ‘맷 그레이버’ 역과 <어벤져스> 시리즈의 ‘타노스’ 역으로 국내 관객에게도 잘 알려진 조슈 브롤린,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에서 빌런인 ‘실버 서퍼’, <카니발: 피의 만찬>, <울프맨> 등에서 호러퀸의 면모를 보여주었던 줄리아 가너 등이 출연했다.

 

어느 마을에서 벌어진 기이한 아동 집단 실종 사건을 배경으로 마치 실제로 존재하는 도시괴담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설정과 긴장감 넘치는 구성으로 참신한 미스터리 호러를 탄생시켰다.

 

강렬한 데뷔작 <바바리안>을 통해 호러 신성으로 떠오른 잭 크레거 감독은 <웨폰>을 통해 대담한 시나리오, 기이하고도 매혹적인 분위기, 악몽 같은 초현실적 상황과 대비되는 일상적 보편적 감정, 유머와 통찰이라는 특유의 연출 색깔을 보여주며 차세대 호러 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기이함으로 이어지면서도 반전에 반전이 있어 묘한 흡인력이 있으며 장르적 쾌감과 감성적 자극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일상에 갑자기 찾아온 상실

 

잭 크레거 감독은 <웨폰>을 집필하게 된 계기에 대해 “내 가장 친한 친구 중 한 명이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난 일이 있었다.

 

당시에 나는 매우 고통스러운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결과가 어떻게 될 것이라는 생각은 없이 순수하게 필요해서 글을 썼다”라고 설명하며, “영화가 첫머리에 던지는 핵심 질문은 이것이다.

 

‘왜?’ 왜 같은 반에 있는 모든 아이들이 같은 날 새벽 2시 17분에 자다가 깨어나, 1층으로 내려가, 현관문을 열고 어둠 속으로 뛰쳐나가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는가?

 

그 반에서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왜 다른 3학년 학급이 아니라 하필 그 반일까? 아이들끼리 짠 걸까? 외계인이 아이들을 조종하기라도 한 걸까? 정부의 소행일까? 아니면 단순한 장난일까? 도대체 무슨 일인 걸까?”라는 영화의 설정과 핵심을 소개했다.

 

평범한 일상에 갑자기 찾아온 이해할 수 없는 상실, 그 상실을 소화하려는 고통과 노력의 시간이 영화 속 ‘아처’(조슈 브롤린)를 비롯한 실종된 아이들의 부모들, 담임 선생님인 ‘저스틴’(줄리아 가너), 교장 선생님 ‘마커스’(베네딕트 웡)를 비롯한 마을 어른들, 그리고 홀로 교실에 남게 된 유일한 한 아이 ‘알렉스’(캐리 크리스토퍼)에게 찾아온다.

 

이는 가까운 이의 죽음이라는 이해할 수 없는 상실이자 일생일대의 충격적 사건과 마주한 인간 보편의 공감과도 닿아 있다.

 

사라진 아이의 아버지 ‘아처’ 역을 맡았을 뿐 아니라 이 영화의 투자총괄이기도 한 배우 조슈 브롤린은 감독과의 만남을 회상하며 “각각의 등장인물들이 모두 가까운 친구의 죽음을 대하는 자신을 의미한다는 말이 나를 사로잡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