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6세 미만 소아, 건강보험 진료비 2조 4천억원 지출

URL복사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2010~20112년간 6세 미만 소아의 의료이용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환자수는 20102684천명에서 20112721천명으로 약 1.4%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성별로는 남아가 20101386천명에서 20111402천명으로 약 1.2%가 증가하였고, 여아는 20101298천명에서 20111318천명으로 1.5%가 증가했다.

진료비는 201023,715억원에서 201124,239억원(전체 진료비의 5.24% 수준)으로 약 2.2%가 증가하였고, 1인당 진료비는 2010884천원에서 2011891천원으로 0.8%가 증가했다.

6세 미만 소아의 진료형태별 의료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입원 환자는 201079만명에서 2011816천명으로 3.4%가 증가하였으며, 외래 환자는 20102644천명에서 2011268만명으로 연평균 1.4%가 증가했다.

입원 진료비는 20106,483억원에서 20116,709억원으로 연평균 3.5%가 증가하였고, 외래 진료비는 20101661억원에서 20111837억원으로 연평균 1.6%가 증가하였다. 약국의 약품비 및 조제비는 20106,571억원에서 20116,751억원으로 연평균 2.7%가 증가했다..

20111인당 진료비는 입원이 822만원, 외래가 404만원, 약국이 256만원으로 분석됐다.

20116세 미만 소아의 지역별 1인당 진료비 현황을 분석한 결과 1인당 진료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으로 1년간 1004천원을 지출하였으며, 다음으로 광주 994천원, 경남 96만원, 부산 956천원 ()으로 높았다.

1인당 진료비가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으로 1년간 817천원을 지출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서울 825천원, 경기 865천원, 인천 878천원 ()이었다.

질병현황(대분류별)을 분석한 결과, 전체 소아의 65.3%호흡계통의 질병으로 의료이용을 하는 것을 분석되었다.‘호흡계통의 질병의 진료비도 15,075억원으로 6세 미만 소아의 전체 진료비의 6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6세 미만 소아의 1인당 진료비가 가장 높은 질병군은 신생물()’이며, 1인당 진료비는 7936천원이었다. 다음으로는 신경계통 질환6368천원, ‘선천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3289천원 순으로 1인당 진료비가 높았다.

20116세 미만 소아의 다빈도 상병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2011년에 6세 미만 소아의 진료환자는 20.6%561천명은 급성기관지염(J20)’으로 의료이용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급성 상기도 감염(J06)’으로 전체 소아 환자 중 5.9%(161천명), ‘급성 코인두염(J00)’으로 전체 소아 환자 중 5.2%(141천명)가 의료이용을 했다.

입원 소아환자의 다빈도 상병은 상세불명의 폐렴(J18)’, ‘급성 세기관지염(J21)’,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폐렴(J15)’ ()으로 나타났으며, 외래의 다빈도 상병은 급성기관지염(J20)’, ‘급성 상기도 감염(J06)’, ‘급성 코인두염(J00)’으로 나타났다.

2010년과 20112년간 6세 미만 소아의 진료비 구간별 의료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진료비 100만원 이하 환자 수는 20101943천명에서 20111964천명으로 1.1%가 증가하였으며, 진료비 1,000만원 이상 1억원 이하 환자는 20108059명에서 20115448명으로 연평균 4.8%가 증가하였다.

특히 연간 진료비 1억원 이상 초고액 환자는 201065명에서 201199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여야 대표에 "국정에 국민 모든 목소리 공평히 반영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갖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만나 "대통령은 국민을 통합하는 게 가장 큰 책무인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국정에 모든 국민의 목소리가 공평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서 "우리 국민이 하나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을 모으면 참 좋겠다. 대외 협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선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일종의 통과의례 같은 것인데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해서 하는 과정이고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공개석상에서 '나라의 힘을 좀 길러야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이유가 있다"며 "우리가 다투고 경쟁은 하되 국민 또는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것들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했다. 또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인천 한 반도체 제조공장서 가스 누출 22명 병원
사고가 발생한 반도체 제조공장 (사진=인천소방본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 한 공장에서 화학약품 작업 중 염산 탱크에 염소산을 잘못 주입하면서 화학 반응과 함께 가스가 누출돼 작업자 20여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9일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35분경 미추홀구 도화동 한 반도체 제조공장에서 가스가 누출 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이 사고로 22명이 병원 치료를 받았으며 이중 작업자 4명이 호흡곤란 등 증세를 보여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으며 다른 18명은 자력으로 병원으로 이동해 치료를 받았으며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현장에 도착했을 당시 탱크로리에서 화학반응이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하고 중화제를 뿌려 진화 했다. 사고 직후 공장 인근 근로자 등 120명은 자력으로 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신고가 접수되자 인력 47명과 장비 29대를 동원해 진화에 나섰다. 관할 구청은 재난문자를 통해 "도화동 일대에서 가스 누출 사고 발생을 알리며 인근 주민들은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물러 달라"고 요청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염산

문화

더보기
이앤아이앙상블, 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앤아이앙상블이 오는 9월 27일(토) 오후 7시 30분 문아트그라운드 실버스크린홀에서 세 번째 정기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를 개최한다. 이앤아이앙상블은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 공연에서 500석 규모 객석을 전석 매진시키면서 주목받았으며, 올해는 한정된 50석 규모의 공간에서 더욱 밀도 높은 무대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소리’를 주제로 음악, 마임, 영상이 결합된 다층적 무대 형식으로 진행된다. 관객은 연주자들의 호흡과 움직임, 무언의 퍼포먼스, 대형 스크린의 영상미를 가까이에서 경험하며 공연의 완성에 직접 참여하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이앤아이앙상블은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시에 자신들이 직접 작곡한 음악으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자작곡은 매 공연마다 높은 호응을 얻으며 ‘이앤아이앙상블만의 색깔’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전통과 현대를 잇는 창작 작업을 통해 모던 팝 클래식이라는 독창적 장르를 개척하며, 대중성과 예술성을 함께 아우르는 무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번 무대에서는 이앤아이앙상블 바이올린 박진희, 기타 김도윤, 첼로 김혜영, 건반 이유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