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와 재계가 창조경제 전진 기지인 창조경제혁신센터 전국망 구축을 계기로 한 자리에 모여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하지만 정부와 대기업들이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이 얼마나 내실있게 지속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장담할 수 없다는 시각이 많다. 대내외 경영환경 악화 속에서 정부 정책에 호응해 실속을 챙기고 다음달 광복 70주년 특별사면을 감안한 화합 무드를 조성하는 자리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이끄는 대기업들은 24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기업총수 간담회에서 창조경제 성과 창출에 힘써달라는 박 대통령의 주문에 창조경제 성과 창출에 이바지하겠다고 화답했다.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은 "우수 벤처기업을 폭넓게 지원해 더 좋은 청년 일자리를 만들고 전용 펀드를 조성하고 판로 개척을 도와 중소·벤처기업에 큰 힘이 돼 주겠다"고 말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최근 대구·경북센터를 방문했는데 사람들이 창업을 절실히 필요로 한다는 것을 느꼈다"며 "국민·기업인의 한명으로서 사명감을 갖고 창조경제 성공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했다.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K 뷰티, 바이오, 친환경에너지 분야 등의 창업과 지역 기업 성장을 위해 전사적인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포항센터를 만들지 않았다면 유망 기술들이 연구소 책상에서 없어졌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다"며 "강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글로벌스타벤처' 프로그램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문제는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 취지가 얼마나 살아날 수 있느냐다. 창조경제혁신센터라는 배가 출항 준비를 마치고 축제 분위기에 들떠 있지만 배가 항구를 떠나 순항할 수 있느냐는 얘기다.
이달 22일 인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마지막으로 창조경제 전진 기지를 모두 완성했지만 추진 동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유인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박근혜 정부 임기가 절반 이상 흘러간 상황에서 '대기업 옥죄기'식 정책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정부는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고육지책(苦肉之策)'이라며 대기업들을 끌어들여 창조경제 성과 극대화에 골몰해왔다"며 "하지만 다음 정권에서도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에 힘이 실릴 수 있을진 의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박근혜 정부 임기가 후반부에 접어들면서 미래를 내다보는 장기적인 창조경제 창출 방안을 고민하기 보다는 당장 이번 정권의 성과 알리기에만 급급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청와대는 다음달 말 '창조경제 혁신 페스티벌'을 열고 연말 창조경제 성과를 집대성한 '창조경제 박람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주체인 대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려면 '당근과 채찍' 전략을 동시에 구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재계 관계자는 "정부가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을 통해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내려면 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인센티브 정책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규제, 기업총수 구속 등으로 경영상 부담을 느끼는 대기업들이 정부의 눈치를 살피며 정책에 발 맞추곤 있지만 채찍 만으론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