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승안의 풍수의 세계

[풍수] ‘부유함’보다 ‘교육을 통한 즐거움’이 더욱 귀한 것

URL복사

하늘-땅-사람의 조화를 중시하고 하늘로부터의 명령에 주목해야

[시사뉴스 정승안 교수] 자연의 생겨남은 산과 물 그리고 바람의 조화에 기인한다. 우주의 변화를 음양으로 설명하면 천지의 순환으로 춘하추동의 사계절과 24절기의 변화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이를 동서남북의 네 방위에 배속하고 사이의 방위들을 합하면 팔방위(八方)가 된다. 천지인으로 나누면 24방위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 음양의 상생상극(相生相剋)과 간지(干支)를 배속하여 설명하는 것이 풍수이기론의 핵심원리다.



'왕 회장'도 이루지 못했던 대학생의 꿈
“젊은 시절, 어느 학교 공사장에서 돌을 지고 나르면서 바라본 대학생들은 나에게는 한없는 부러움과 동경의 대상이었다.” 작고한 현대그룹 창업자인 정주영 회장이 남긴 말이다. 정주영 회장의 최종학력은 소학교(현재의 초등학교)다. 정 회장은 막노동으로 출발해 한국 최대의 재벌이 되었지만 평생의 한(恨)이 ‘공부’였으며 자신처럼 가난으로 배우지 못해 설움을 겪는 이들에게 희망이 되고자 울산대학교를 설립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공부와 돈 버는 재주는 전혀 다른 길일까?



하늘-땅-사람의 어우러짐을 읽어내고자 하는 풍수의 세계에서는 산과 물, 바람의 작용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결과를 크게 세 가지의 뚜렷한 이념형 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본다. 일반적으 로 모든 음택이나 양택에서의 방향은 나침반을 기준으로 12띠와 24방위를 삼재로 나눌 수 있는데, 세 개의 묶음에 따라 길흉의 내용과 지향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하늘의 뜻을 이어받은 자오묘유(子午卯酉)에서는 ‘귀함(貴)’이, 땅의 후덕함을 이어받은 진술축미(辰戌丑未)에서는 ‘부유함(富)’, 그리고 자손의 풍성함을 통해 나타나는 인신사해(寅辛巳亥)에서는 ‘후손(孫)’의 번성함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물론 이는 우주만물과 인간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이념형적인 표현이다. 수많은 삶의 다양성과 변수들로 인해 그럴 수도 아닐 수도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러나 인간의 환경적 요소와의 상호 작용을 통한 주체의 노력이나 방향들과 함께 구조적 여건의 영향에 주목하는 것이 풍수의 핵심논리임에는 분명하다. 그렇다고 마치 타고난 사주팔자가 정해져 있듯이 풍수의 효과도 비가역적이라는 어쩔 수 없다는 숙명적인 논리로 받아들 여야만 하는 것만은 아니다. 옛 선인들이 운명(運命)은 타고난 하늘로부터의 ‘목숨 (命)’을 하필 ‘운전(運)’한다고 표현한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이것이 술수의 세계, 강호의 학문이 지니는 오묘함이자 재미이다.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운명은 정해져 있다지만 어떻게 운전해나갈 것인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운명(運命),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목숨(命)’을 어떻게 ‘운전(運)’할 것인가?
‘왕 회장’이라는 칭호가 더 어울렸던 정주영 회장은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 라며 1992년 과감하게 대통령 출마에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검찰조사와 맞물리며 결국 낙마하고 말았다. 아무리 큰 부자 (富)라도 위세 등등한 권력(貴) 앞에서는 머리를 숙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최고의 재벌이었지만 부자의 기운만큼이나 귀함은 겸비하지 못했던 때문으로 보인다. 수많은 재벌기업들이 등장했다가 사라지는 과정에서 부자가 권력을 추구하다 실패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부자삼대(富者三代)’를 넘기기 힘들다는 옛말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명(命)을 알아야 오래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듯하다. 부·귀·손을 모두 갖추고 태어나기는 매우 어렵다. 풍수에서는 ‘제왕지지’라야 이 정도에 부합할 것이다. 초한지에서 항우가 했던 ‘왕후장상에 씨가 따로 있느냐?’는 뼈아픈 지적은 산과 물, 바람의 변화와 작용의 원리를 알면 귀신(神)의 정상도 이해할 수 있다는 이기론이나 풍수의 핵심원리와도 연계된다. 이는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자신의 본래 모습을 알고 어떻게 만들어가고 운전해 나갈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도 500여년을 이어오는 명문가들 중에는 부자로서의 덕목을 지녔으면서도 지역사회에서의 존경을 받아온 집안들이 많았다. 그 중에서도 경주 교동에 있는 최부자 집은 12대 만석꾼 집안으로 유명하다. 무명옷으로 헤진 옷을 꿰매어 입으면서도 ‘사방백리에 밥 굶는 사람이 없도록 하라’는 가훈을 실천하며 한국적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모범이 되었지만 그 첫 번째 가훈은 ‘과거를 보되 진사이상을 하지 말라’는 것이었다. 12대 만석꾼이라는 당대 최고의 부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정계에는 진출하지 말라는 언급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의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만석 이상의 재산은 쌓지 말고 사회에 환원하라’는 말이나 ‘흉년기에는 남의 논을 사지 말라’ 는 가훈을 통해 읽어볼 수 있듯이 하늘이 부자를 만들어 준 것은 널리 사람들을 배부르게 하라는 말을 실천해 왔을 때에야 가능한 일이었다는 것을 오늘날의 재벌들이 곱씹어 봐야 할 지점이다.


그러므로 경주답사를 하면 꼭 들러봐야 하는 풍수답사 일번지가 바로 경주 교동에 있는 최부자 집이다. 최부자는 1947년에 모든 재산을 대학 설립에 기부하였다. 오늘날 영남대학교 의 전신인 대구문리과대학이 그것이었다. 지금은 정수장학회로 소유주가 바뀌었지만 경주 최부자가 인촌 김성수의 고려대보다 나은 우리나라 최고의 대학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하며 만들어졌던 본래 취지와 정신을 고려한다면 아쉬움이 많이 남는 지점이다.


‘부자삼대(富者三代)’의 비밀은 교육에 있다
공자께서는 논어의 첫머리에서 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배우고 때로 익히면 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不亦說乎)’, ‘멀리서부터 벗이 찾아오면 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 ‘남들이 나를 알아주지 않더라도 섭섭하지 아니하면 이는 군자가 아니겠는가?(人 不知而不慍不亦君子乎)’이다. 그러나 몇 백 년 뒤의 맹자는 이를 더욱 구체화하여 설명한다. 군자에게 세 가지의 즐거움이 있으니, ‘부모가 모두 살아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요(父母俱存兄弟無故一樂也)’, ‘우러러 하늘에 부끄러움이 없고 사람에 구부려 살펴봐도 부끄러움이 없는 것(仰不愧 於天俯不怍於人二樂也)’과, ‘천하의 영재들을 얻어 교육하는 것(得天下英才敎 育之三樂也)’이 세 번째의 즐거움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찾아봐도 천하의 왕이 되어 군림하고자 하거나 천하의 부자가 되고 싶다는 것을 군자의 덕목이나 중요한 순위에 올리지는 않고 있다. 오히려 귀(貴)함에 대한 가치를 교육의 덕목을 통해서 추구하고자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귀와 공명을 최고로 치는 현대 자본주의적 관점에서의 풍수지리의 활용과는 다소 거리가 있겠지만 동아시아적 전통에서는 예로부터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부유함’보다는 ‘교육을 통한 즐거움’을 더욱 귀하게 여겨 왔다. 그리하여 하늘땅-사람의 조화를 중시하고 하늘로부터의 명령에 주목(天命)하는 사상이 고대로부터 전해오는 고유한 동아시아인들의 정신문화의 기준이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한미 정상회담] 이 대통령 “두터운 신뢰…굳건한 한미동맹 확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국 워싱턴DC에서 첫 정상회담을 열었다. 회담 전 미국의 거센 압박 속에서도 돌발변수 없이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마감돼 양 정상 간 신뢰를 구축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15% 관세를 재확인해 정책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평이다. 이 대통령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 회담 분위기 이끌어 이재명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치열한 기싸움으로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3시간 앞두고 소셜미디어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고 적어 우리 정부를 압박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북한 문제를 상당 부분 언급하며,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며,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도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여야 대표에 "국정에 국민 모든 목소리 공평히 반영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갖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만나 "대통령은 국민을 통합하는 게 가장 큰 책무인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국정에 모든 국민의 목소리가 공평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서 "우리 국민이 하나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을 모으면 참 좋겠다. 대외 협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선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일종의 통과의례 같은 것인데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해서 하는 과정이고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공개석상에서 '나라의 힘을 좀 길러야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이유가 있다"며 "우리가 다투고 경쟁은 하되 국민 또는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것들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했다. 또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지역네트워크】 공감에서 시작해 신뢰로 이어지다...하남시가 만든 따뜻한 민원행정
[시사뉴스 하남=박진규 기자] 이현재 하남시장은 행정을 바라보는 시선부터 달랐다. 민원을 단순한 요청이 아닌, 시민의 삶에 먼저 다가가야 할 ‘공감의 신호’로 받아들였다. 그래서 그는 행정의 속도만큼이나, 어떻게 응답하느냐의 ‘태도’를 중요하게 여겼다. 하남시는 민원행정의 개념을 완전히 뒤바꿨다. 단순히 민원을 처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고, 불편을 헤아리며, 현장에서 바로 답을 찾는 시스템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말투 하나, 설명 한마디에도 공감을 담고, 이동이 불편한 시민을 위해 ‘현장’을 행정의 출발점으로 삼은 행정. 시청에 가지 않아도, 여러 부서를 전전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민원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구조. 하남시는 그렇게 행정의 중심을 ‘사람’으로 옮겼다. ‘문제를 피하지 않는 책임 행정’, ‘모든 과정에 사람이 중심이 되는 행정’, 그리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는 행정’. 하남시가 실현하는 민원행정은 제도가 아니라 철학의 실천이다. 민원은 소통이다…공연으로 배우는 ‘설명력도 친절역량’ 단 한 마디의 설명이 누군가에게는 위로가 되고, 누군가에게는 벽이된다. 하남시는 이러한 ‘언어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