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

제주 '빛의 벙커', 반 고흐· 고갱 '몰입형 미디어아트'로 선보여

URL복사

‘빛의 벙커’, 반 고흐전, 12월 6일~2020년10월 25일
‘폴 고갱’ 몰입형 미디어아트 작품, 세계 최초로 선보여
문화기술 기업으로 거듭난 ㈜티모넷의 화려한 변신



[제주=이화순] 개막전시 '클림트 전'으로 55만명의 유료관객을 기록한 ‘빛의 벙커’(제주 성산)가 5일 오후 ‘빛의 벙커:반 고흐’展을 개막했다. 

'과연 어떻게 구성했을까?' 기대감 속에 들어선 전시장.  30년전에 비밀스러운 국가기간 통신시설이었던  이곳의  27개의 기둥과 수많은 넓은 벽면들에는 고뇌의 삶을 살아낸 천재화가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1853~1890)의 강렬한 삶이 드라마틱한 영상으로 되살아났다.  

 

'몰입형 미디어아트'로 재구성된 전시는 반 고흐의 작품전(32분), 폴 고갱전(10분)이 옴니버스식으로 이어진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디렉터로 참여해 협업한 이 전시는, 명화의 이미지를 공간의 수많은 벽면에 쏘고 또 다채롭게 연출한데다가 귀도 즐겁게 해준다. 



'빛의 벙커' 전시장 크기는 길이 100m, 높이 5.5m, 면적 3000㎡.  90개의 고화질 빔 프로젝터가 벽면은 물론, 전시장 바닥까지 반 고흐의 작품을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투사하고, 69대의 스피커에서는 웅장하고 열정적으로, 때론 황홀하고 달콤하게, 또 쓸쓸한가 하면 서정적인 음악이 흐른다. 귀에 익은 '솔베이지의 노래', '사계'  와 같은 클래식과 재즈음악 등이 흘러나와 전시장을 압도한다. 

  


축제 같은 ‘몰입형 미디어아트’ 전시 현장은 프랑스 컬처스페이스사가 2009년부터 개발해 온 몰입형 미디어아트 전시 기술인  ‘아미엑스’(AMIEX)  기술 덕분에 가능했다.  아미엑스(amiex·art & music immersive experience)란 역사(驛舍), 광산, 공장, 발전소 등 산업발전에 따라 도태되는 장소에 프로젝션 맵핑 기술과 음향을 활용한 전시 영상을 투사하는 미디어아트 프로젝트다. 


100여 개의 프로젝터와 수십 개의 스피커를 설치해  각종 이미지와 음악을 통해 완벽한 몰입형 전시를 제공하는 이 마이엑스 기술 덕분에 관람객은 거장의 회화세계를 자유롭게 거닐며 작품을 시각, 청각, 공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

 



빈센트 반 고흐와의 만남


반 고흐는 37세의 나이로 짧은 생을 마감하기까지 10년간 2천여점의 작품을 남겼다. 이번 빛의 벙커 전시에는 반 고흐의 대표작인 '감자 먹는 사람들 (The Potato Eaters, 1885)', '해바라기(Sunttowers, 1888), '별이 빛나는 밤(Starry Night, 1889)', '아를의 반 고흐의 방(Bedroom at Arles, 1899)' 등이 벙커 벽에서 재탄생된다.  


빛과 그림자의 끊임없는 소용돌이 속에서 반 고흐의 대담한 색 사용과 독창적 스타일로 해석된 구름과 태양, 그리고 자화상이 되살아난다. 


한편 주제별 여정은 반 고흐의 삶의 각 단계와 뉘넨 (Neunen), 아를(Arles), 파리(Paris), 생래미 드 프로방스(Saint Remy de Provence), 그리고 오베르 쉬르 우아즈 (Auvers-sur-oise) 등에서의 흔적을 따라 이루어진다. 관람객들은 초기 작품에서부터 전성기에 완성된 작품까지, 그리고 풍경화와 야경에서부터 자화상과 정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반 고흐 작품의 정수를 만나볼 수 있다.


지안프랑코 이안치 (Gianfranco lannuzzi), 레나토 가토(Renato Gatto), 마시밀라노 시카르디(Massimiliano Siccardi)가 연출한 시각 및 음향 프로덕션은 반 고흐의 팔레트 색채의 풍부함과 작품의 생명력, 물감의 마티에르가 느껴지는 임파스토(impasto) 기법을 더욱 강조한다.



'반 고흐전'은 800점 이상의 회화와 1천여점의 드로잉 작품을 토대로 구성됐다. 전시 도입부는 반 고흐의 회화 세계를 자유롭게 거닐면서 시각·청각 등 공감각적으로  쏟아져내리는 명작 이미지와 음악의 세례를 받게 된다.  작품들이 전시관 전체를 3D 영화처럼 흐르면, 관객은 어느새 반 고흐의 명작들 속에서 유영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첫 번째 시퀀스는 알프스에서 생레미(Saint-Remy)까지 프로방스의 중심에서 시작된다.  ’씨뿌리는 사람(Sower at Sunset, Arles, 1888)'에서는 프로방스의 햇빛이 캔버스를 넘나들고, 벙커의 벽과 바닥 전체를 빛으로 가득 채운다. 밀밭은 다채로운 푸른색으로 덧칠해지고, 하늘은 노란색으로 아름답게 물들어간다.

 

반 고흐의 초기 작품 중 북부지방 풍경의 어두침침하고 우울한 색조로 농민의 가혹한 일상을 다룬 ’감자 먹는 사람들(The Potato Eaters, 1885)’, 프로방스로 돌아온 후 완성한 7개의 정물화 시리즈중 대표작인 ‘해바라기(Sunflowers, 1888)', 반 고흐가 조카 빈센트 빌럼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해 말년에 그린 ‘꽃피는 아몬드 나무(Blossoming Almond Tree, 1890)'를 만나는 것도 반갑다.


 

 

아를에서 그린 작품들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빛을 작품에 사용하는 기법을 보여주는 ’밤의 카페 테라스(Cafe Terrace at Night, 1888)', ‘노란집(The Yellow House, 1888)', 그리고 ‘마를의 반 고흐의 방(Bedroom at Arles, 1888)' 등이 있고, 이어 많은 사람들의 초상화가 나타난다.

 

반 고흐의 그림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사이프러스 올리브 나무의 모티브가 벙커 내부를 가득 채우는가 하면, 자연을 통해 느낀 아름다움을 그린 ‘별이 빛나는 밤(Starry Night, 1889)’은 수천개의 별을 전시장 아래로 쏟아내는 듯 하다.  

 

‘까마귀가 나는 밀밭(Wheat Field with Crows, 1890)' 부분에서는 반 고흐의 불안한 심리상태를 느낄 수 있다. 그의 고뇌하는 영혼이 격정적인 붓터치와 강렬한 색상으로 표현된다. 전시는 자연의 경이로움을 화폭에 담은 풍경화로 마무리된다. 먹구름이 잔뜩 낀 하늘에서는 비가 내리고, 밀밭 위를 나는 까마귀 떼가 하늘이 보이지 않을 만큼 캔버스를 가득 덮는다.


반 고흐의 자화상은 만개한 아몬드 나무 한가운데서 다시 나타나 전시공간을 가득 채운다. 재탄생과 새롭게 발견된 생명력, 지속적이며 시대를 초월한 예술의 부활을 상징하는 듯하다.

 


폴 고갱과의 만남

 

반 고흐 전시가 끝나 아쉬움에 젖을 무렵,  만나는 폴 고갱(1848-1903)은 반갑기 그지 없다.  반 고흐와 깊은 우정을 나누며 영향을 주고 받았던 고갱의 작품은 10분간 이어진다. 예술가의 상징성과 내면성, 비자연주의적 경향을 ‘섬의 부름’ ‘폴 고생:예술에 대한 사랑’ ‘브르타뉴 섬을 오가며’ 등의 주제로 나누어 구성했다.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갈 것인가?(Where Do We Come From? What Are We? Where Are We Going?) 1898’ ‘Breton Girls Dancing, Pont-Aven(1888) 등의 작품과 함께 고갱이 타히티에서 만난 원주민들의 건강한 인간성과 열대의 밝고 강렬한 색채, 강렬한 고갱 특유의  예술세계를 만나게 된다. 

고갱과의 만남은 관객 스스로 '어디서 왔으며, 누구인지, 또 어디로 갈것인가' 를 자문해보는 시간을 갖게 한다. 

 

미디어아트 전시관 ’빛의 벙커(Bunker de Lumieres)

 

전시관 '빛의 벙커'는 옛 국가기간 통신시설로 비밀 벙커였다. 축구장 절반 정도인 900평 면적의 대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임에도 흙과 나무로 덮어 산자락처럼 보이도록 위장되었던 곳이다. 현재 ‘빛의 벙커’ 내부에는 넓이 1㎡의 기둥 27개가 있고, 연중 16°C의 쾌적한 온도 속에 방음을 유지하고 있다.

 

'빛의 벙커'의 탄생은 4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티모넷(TMONET)이 프랑스 남부의 작은 마을 레보드프로방스에 들어선 '빛의 채석장'과 파리의 '빛의 아틀리에'를 접한 후 국내 도입을 추진해 컬처스페이스와 독점 계약을 맺고 프랑스 이외 지역에서는 최초로 지난해 11월 제주에서 '클림트전'을 개막 전시로 오픈했다.

 


㈜티모넷의 박진우 대표는 “우리 전시에는 아트디렉터, 이미지 디렉터, 뮤직 디렉터 등 다양한 국내외 전문가들이 협업을 통해 정적인 전통적 전시들과 차별화된 동적인 몰입형 멀티미디어를 지향한다”면서 “‘클림트전’으로 빛의 벙커를 오픈한 이후 55만명의 관람객이 다녀간 것은 물론, 문화예술 도시재생 장소로 모두 좋아해주셨다. 세계3대 디자이너 상도 수상하는 등 좋은 일도 있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보통 해외 전시를 가져올 때는 컨텐츠를 그대로 가져오지만, ‘빛의 벙커’는 공간이 완전히 다른 만큼, 제작을 다시 한다”면서 "앞으로 김창렬, 이중섭 등 국내 작가들의 컨텐츠로도 몰입형 멀티미디어를 만들어 국내외에 소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현정 총괄본부장은 “빛의 벙커 전시는 미술 기반의 시각예술이자 음악이 결합된 공연예술이기도 하다"면서 “기존의 전통적인 전시에서 주인공이 작품이라면 ‘빛의 벙커’의 몰입형 전시는 관람객이 주인공이 되는 21세기 미술”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음악평론가 장일범씨도 참석해 “반 고흐의 삶의 여정을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바로크시대 음악, 미니멀리즘 음악, 재즈 음악 등을 작품별로 다채롭게 선곡해 더 큰 감동과 몰입감을 선사했다”고 평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한미 정상회담] 이 대통령 “두터운 신뢰…굳건한 한미동맹 확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국 워싱턴DC에서 첫 정상회담을 열었다. 회담 전 미국의 거센 압박 속에서도 돌발변수 없이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마감돼 양 정상 간 신뢰를 구축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15% 관세를 재확인해 정책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평이다. 이 대통령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 회담 분위기 이끌어 이재명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치열한 기싸움으로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3시간 앞두고 소셜미디어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고 적어 우리 정부를 압박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북한 문제를 상당 부분 언급하며,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며,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도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여야 대표에 "국정에 국민 모든 목소리 공평히 반영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갖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만나 "대통령은 국민을 통합하는 게 가장 큰 책무인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국정에 모든 국민의 목소리가 공평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서 "우리 국민이 하나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을 모으면 참 좋겠다. 대외 협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선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일종의 통과의례 같은 것인데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해서 하는 과정이고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공개석상에서 '나라의 힘을 좀 길러야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이유가 있다"며 "우리가 다투고 경쟁은 하되 국민 또는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것들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했다. 또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지역네트워크】 공감에서 시작해 신뢰로 이어지다...하남시가 만든 따뜻한 민원행정
[시사뉴스 하남=박진규 기자] 이현재 하남시장은 행정을 바라보는 시선부터 달랐다. 민원을 단순한 요청이 아닌, 시민의 삶에 먼저 다가가야 할 ‘공감의 신호’로 받아들였다. 그래서 그는 행정의 속도만큼이나, 어떻게 응답하느냐의 ‘태도’를 중요하게 여겼다. 하남시는 민원행정의 개념을 완전히 뒤바꿨다. 단순히 민원을 처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고, 불편을 헤아리며, 현장에서 바로 답을 찾는 시스템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말투 하나, 설명 한마디에도 공감을 담고, 이동이 불편한 시민을 위해 ‘현장’을 행정의 출발점으로 삼은 행정. 시청에 가지 않아도, 여러 부서를 전전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민원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구조. 하남시는 그렇게 행정의 중심을 ‘사람’으로 옮겼다. ‘문제를 피하지 않는 책임 행정’, ‘모든 과정에 사람이 중심이 되는 행정’, 그리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는 행정’. 하남시가 실현하는 민원행정은 제도가 아니라 철학의 실천이다. 민원은 소통이다…공연으로 배우는 ‘설명력도 친절역량’ 단 한 마디의 설명이 누군가에게는 위로가 되고, 누군가에게는 벽이된다. 하남시는 이러한 ‘언어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