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차 회의 개최… 한국판 뉴딜 본격 추진
"디지털 전환, 혁신성장·일자리 창출 진력"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가 오는 2022년까지 해양과 환경분야에서 약 12만개의 일자리 창출 정책을 추진한다.
일자리위(委)는 22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제16차 회의를 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해양수산, 환경 분야서 고용안전망을 강화하고 새로운 일자리 기반을 조성하는 안건들을 논의했다.
일자리위는 이날 회의에서 ▲해양수산 고용안정 및 일자리대책 추진방향 ▲해양수산 고용안정 및 일자리대책 추진방향을 상정·의결했다.
해양수산 고용안정 및 일자리대책 추진방향에는 기업지원 강화 등을 통해 단기적으로 고용충격을 완화하고 경제침체와 사회의 구조적 대전환에 대응하는 중장기적 일자리 창출 추진방향을 마련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어촌재생 확산을 위해 어촌뉴딜 300사업을 지속 확대하고 민간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활성화를 통해 지역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 등도 포함됐다.
환경분야 사회적 경제 일자리 창출방안은 업사이클과 같은 신산업,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등 환경문제 해결, 생태관광 등 환경 서비스 분야에서 사회적경제기업 진출을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1만4000개의 사회적경제 기업 육성을 통해 1만3000개 일자리를 새로 창출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아울러 회의에서는 ▲청년고용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상생형 지역일자리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플랫폼 노동과 일자리 태스크포스(TF) 논의 결과 등이 보고됐다.
청년고용정책 관련 보고에서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청년내일채움공제 등 청년 3대 사업에 대한 추진 현황이 보고됐다. 또 청년, 지역, 플랫폼 노동 등 일자리 취약 분야에서 고용안전망을 강화하고 양질의 일자리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 나왔다.
상생형 지역일자리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보고는 상생형 지역일자리 발굴·선정·이행 등 전 주기에 걸친 체계적 지원 방향 관련 내용이다.
일자리위원회 내 '플랫폼 노동과 일자리 TF'에서 지난해 9월부터 총 11차례 회의를 통해 마련한 플랫폼 노동 통계기반 구축 등 논의 결과도 보고됐다. 일자리위는 이를 토대로 하반기에 관계부처와 협업하여 플랫폼 일자리 종사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추진할 예정이다.
일자리위원회 김용기 부위원장은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그린 뉴딜로 경제·산업구조가 재편되는 상황을 유연하게 헤쳐 나가기 위해서는 고용 및 사회안전망이 잘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