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 스톱, 일자리 붕괴, 경제 타격"…3단계 우려
2단계 유지 중요성 강조…"불편해도 복귀 지름길"
"종교 자유, 피해 입히면서까지 주장 못해"…경고도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로의 격상보다는 현재 2단계 조치 속에서 시민들의 자발적인 방역 참여를 당부한 것은 노력 대비 거둘 수 있는 효과를 고려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극복 과정을 고려할 때 일상 생활의 전면 중단을 의미하는 3단계 격상으로 인해 우리 사회가 겪을 유·무형의 심대한 타격을 감수하는 것보다는, 현재의 부분적 일상 생활을 이어가는 것이 여러모로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 비서관·보좌관 회의 모두 발언에서 "지금의 비상 상황을 타개해 나가는 힘은 방역의 주체인 국민에게 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에 따른 방역수칙을 준수하고, 방역에 협조해 주실 것을 간곡히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언제 어디서나 마스크 쓰기를 다시 한 번 강조한다"며 "지금 단계에서 막아내지 못한다면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로 격상될 수밖에 없다. 3단계 격상은 결코 쉽게 말할 수 있는 선택이 아니다"라고 토로했다.
문 대통령이 일부 감염병 전문가들 사이에서 유통되고 있는 '3단계 조기 격상론'과 달리 극히 신중한 입장을 보인 것은 오직 방역 관점에서만 현재의 국면을 바라볼 수 없기 때문이다. 확산세가 안정된 이후 회복 과정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국정 최고 책임자의 시각이 반영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