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 3상 진입한 6개 백신 업체와 협의 중
중국산 백신, 안전성·유효성 데이터 확보 안 돼
[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 정부가 오는 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수급 계획을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7일 기자들과 만나 "백신과 관련해 내일 모종의 발표가 보건당국으로부터 있을 것"이라며 "구매량을 늘릴 것인지, 언제까지 구매 시기를 특정해 도입하고자 하는 것인지 입장이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9월 국무회의에서 1단계로 국민의 60%(3000만명) 분량 백신을 우선 확보하고, 이 가운데 20%(1000만 명분)를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코백스)' 참여를 통해 확보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코백스 퍼실리티는 사전에 각국으로부터 재정을 확보한 후 백신을 공동 구매해 배분하는 매커니즘이다. 2021년 말까지 전 인구의 20%까지 백신을 균등하게 공급하는 것이 목표이며, 세계보건기구(WHO), 감염병혁신연합(CEPI),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당국자는 "11월 초 세계백신면역연합이 아스트라제네카, GSK-사노피, 화이자 3개를 우선 검토해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보된다면 살 것인지 문의했다"며 "우리는 3개 중 아무 것이나 좋다는 입장을 냈다. 대부분 나라가 그렇게 했다"고 밝혔다.
코백스 퍼실리티 참여 조건이 선택적 참여와 확정적 참여 두 가지였는데,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 나라가 1차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선택적 참여 입장을 밝혔다는 것이다.
이 당국자는 "나머지 40%는 개별 협상을 통해 확보하기로 했는데 임상 실험에 1상이라도 진입한 물질은 40개, 3상에 진입한 물질은 10개"라며 "그 중에서 4개는 중국 업체에서 나온 약"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당국자는 "중국 업체 백신도 3상에 진입했지만 기본적으로 많은 선진국은 구매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 확보가 안 된다는 얘기"라며 "6개 관련 업체들과 우리 보건당국이 기본적으로 많이 협의하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