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박성태 직론직설

【박성태 칼럼】 사자성어로 정리해본 이재영·이다영자매 학폭 논란

URL복사

[시사뉴스 박성태 대표 겸 대기자]  흥국생명 소속이자 여자 국가대표 배구선수인 이재영·이다영 자매의 학교폭력 논란이 연초 배구계는 물론 사회 핫이슈가 되고 있다.

 

논란의 발단은 쌍둥이 자매 중 동생인 이다영 선수가 지난해부터 본인의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등 개인 SNS에 마치 김연경 선수를 연상하게 하는 어투로 “나잇살 좀 쳐먹은 게 뭔 벼슬도 아니고 좀 어리다고 막 대하면 돼? 안 돼” “곧 터지겠찌 이잉 곧 터질꼬야 아얌 내가 다아아아 터트릴꼬야 암” “괴롭히는 사람은 재미있을지 몰라도 괴롭힘을 당하는 사람은 죽고싶다” 등 글을 올리면서부터.

 

이다영 선수의 글을 본 이다영 선수의 학교폭력 피해자는 “이들 자매에게 입은 학교폭력 피해 사실을 폭로하기로 결심했다”며,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학창시절 학교폭력을 당한 사람이 자신을 포함해 최소 4명”이라며 21가지의 피해사례를 열거했다.

 

내용은 믿기 어려울 정도였다. 심부름을 시키며 폭력을 행사한 것은 물론 칼까지 휘두르며 협박했다는 것이다.

 

이재영·이다영 자매가 자필 편지까지 쓰며 사과에 나섰지만 추가 피해자가 새로운 학폭 사례를 제시하며 논란은 점점 커지고 있다.

 

결국 흥국생명은 물론 국가대표에서까지 퇴출 위기에 처한 이재영·이다영 자매 학폭 사건을 보며 수많은 사자성어가 떠올랐다.

 

가장 먼저 떠오른 사자성어는 인과응보(因果應報 : 행한 대로 업에 대한 대가를 받는 일)와 자업자득(自業自得 :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가 자기 자신에게 돌아감)그리고 사면초가(四面楚歌 : 누구의 도움도 받을 수 없는 고립상태에 빠짐을 이르는 말), 고립무원(孤立無援 : 고립되어 도움을 받을 데가 없음)이다.

 

과거에 본인들이 저지른 일 때문에 결국 그 죄값을 달게 치르고, 이제는 팬들로부터 외면받고 고립무원, 사면초가에 빠진 것이다.

 

이재영·이다영 선수는 배구여제라는 김연경 선수와 함께 ‘어우흥-어차피 우승은 흥국생명’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낼 정도의 주전선수들이고 미모에 예능감까지 갖추어 각종 TV 예능프로그램에 출연하며 인기를 끌고 있던 참이었다.

 

그런데 호사다마(好事多魔 : 좋은 일에는 탈이 많다)였다. 인기가 급상승하자 마치 대스타가 된 것처럼 경거망동(輕擧妄動 : 일의 앞뒤를 생각하지 않고 경솔하게 행동하는 것)하기 시작했다. 한때 ‘롤 모델’이라고까지 했던 배구여제 김연경 선수를 우회적이기는 하지만 공개적으로 비난하기 시작했다.

 

한두 번 본인 심정을 솔직히 표현하는 정도이거나 차라리 김연경 선수와 화합하려는 노력을 보여주면 좋았을 것을 그만 도(度)를 넘고 말았다. 여러 차례에 걸쳐 누가 봐도 김연경 선수임을 눈치챌 수 있는 뒷모습 사진과 함께 다소 자극적인 멘트를 연이어 쏟아냈다. 불특정 다수가 수용자인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말이다.

 

과유불급(過猶不及 : 모든 사물이 정도를 지나치면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이었다. 넘지 말아야 될 선을 넘고 말았던 것이다.

 

과거 학교폭력의 가해자였으면 수신제가(修身齊家 : 자기부터 잘하고 집안일을 챙김)하고 개과천선(改過遷善 : 지난 잘못을 고쳐 착하게 바뀜)해서 좀 더 겸허하고 겸손하게 생활하고 본인들의 괴롭힘의 피해자라고 느낄 때도 좀 더 슬기롭게 상황을 헤쳐나가고자 노력을 했어야지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최근 남자배구에서도 학폭 사건이 또 불거지고 모 TV방송에서 인기리에 방송 중인 ‘미스트롯2’에서도 준결승에 오른 가수가 학폭 논란에 자진하차 하는 일이 발생했다.

 

우리는 이런 뉴스를 보면서 흥분까지 하면서 당사자들을 비난한다.

 

하지만 과거에 또는 현재 누구에게 가슴에 못 박은 일을 한 적이 있거나, 하고 있지는 않는 지 역지사지(易地思之 : 다른 사람의 처지에서 생각하라는)하고 이런 사건을 타산지석(他山之石 : 다른 사람의 사소한 언행이나 실수라도 나에게는 커다란 교훈이나 도움이 될 수 있음)으로 삼아야 한다.

한자 사자성어는 아니지만 혹시 우리도 ‘내로남불’하고 있는지 살펴볼 일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 ‘마이 디어, 헬렌’ 공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부산 극단 ‘배우, 관객 그리고 공간(배·관·공)’이 배리어프리 연극 ‘마이 디어, 헬렌’을 무료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의 장애인 문화예술 향유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장애인 관객이 차별 없이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 공연은 9월 11일부터 21일까지 부산 북구 창조문화활력센터 소극장 624에서 열리며, 러닝타임은 약 55분이다. 전 연령 관람이 가능하다. ‘마이 디어, 헬렌’은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으로, 언어를 최소화하고 움직임과 몸짓을 중심으로 구성해 청각, 시각, 언어적 제약이 있는 관객도 불편 없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작품은 어린 시절부터 성숙한 사회운동가로서의 삶까지 세 장면으로 펼쳐지며, 장애인 배우가 직접 무대에 올라 비장애인 배우와 호흡을 맞춘다. 자막과 현장 음성 해설을 통해 장애인 관객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장애인 관객에게도 새로운 연극적 체험을 선사한다. 공연 후에는 관객과의 대화가 이어져 창작 과정과 배우들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예술의 사회적 의미를 더욱 깊게 나눈다. 이 작품은 2025년 7월 프랑스 아비뇽 오프 페스티벌 공식 초청작으로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