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부경대 곽민석 교수, 상위 2.8% 국제학술지에 표지논문 게재

URL복사

 

[시사뉴스 정은주 기자] 국립부경대학교 곽민석 교수(화학과, 4차산업융합바이오닉스공학과)의 논문이 재료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Materials Today'의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Materials Today'는 학술지 랭킹지수(JCR) 상위 2.8%, 피인용지수(IF) 26.416인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다.

 

곽 교수는 이 학술지 최신호에 논문 ‘외부적, 거시적, 분자적 감응과 상호작용하는 동적 DNA기반 생체소재(Dynamic DNA-based biomaterials interacting with external, macroscopic, and molecular stimuli)’를 게재했다.

 

이 논문은 DNA 생체소재에 대한 기초연구를 비롯해 의‧과학 분야 관련 원리와 최근 연구 동향까지 아우르는 총설 논문으로 뛰어난 연구성과를 인정받았다.

 

곽 교수는 이 논문에서 올리고핵산과 같이 화학반응으로 합성한 핵산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화학구조를 자유롭게 바꿔 새로운 성질을 부여해 응용할 수 있다고 밝히고, COVID-19 진단키트의 필수 원료인 형광 DNA와 프라이머를 그 예로 제시했다.

 

이어 올리고핵산과 같은 물질은 염기서열에 의해 프로그램되며, 여러 자극에 감응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데 그 자극은 △효소 및 산화‧환원 화학반응 △온도와 pH 환경 △상보 염기서열과 핵산 연료 △리간드-수용체 및 압타머 △외부에너지(빛, 자기장) 등이라고 밝혔다.

 

곽 교수는 “독일, 중국의 연구자들과 협업을 통해 진행한 이번 연구 결과가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게 많은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곽 교수는 화학적 DNA 합성 및 소재응용 전문가로, DNA를 이용한 암, 감염병의 유전자 치료 및 면역요법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문화

더보기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등... '서귀포국가유산야행'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주마을문화진흥원은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이 개막했다고 14일 밝혔다. 서귀포항 일대에서 개막 예정인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주최 기관 제주마을문화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2주간 사전 신청을 받은 결과 유람선을 탑승해 문화유산을 둘러보는 ‘해상 문화유산 투어’ 500명과 기간 동안 매일 저녁 열리는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에서 회차별 30명을 넘기는 신청이 접수됐다. 특히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은 사전 신청을 하지 못한 분들도 관객의 자격으로 진행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제주의 신화를 기반으로 유려한 자연경관과 역사 체험을 위해 기획된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은 사전 신청을 받은 프로그램 외에도 야경, 야로, 야설, 야사, 야화, 야시, 야식, 야숙 등 ‘8야’를 주제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신용구 작가가 구현한 ‘서천꽃밭’과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그리고 홀로그램을 통해 구현한 영등할망의 방문은 밤바다와 신화가 어우러지는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버스킹 무대와 어우러진 먹거리 장터도 열려 눈과 귀 그리고 미각까지 만족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