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

[이화순의 아트&컬처] 양태백 작가, 중국 이우칠묵미술관 개인전 ‘빙호영월’ 출품작 완판 화제

URL복사

전시 중 그림·서예·사진 등 출품작 100점 솔드아웃
2022년 1~12월 국내 진도 강진 무안 목포 등서 개인전
中 이우공상대학 디지털매체예술디자인학과 교수 재직

 

작가 겸 디자이너인 양태백 박사가 지난 11월 19일부터 12월 10일까지 중국 절강성 이우시 칠묵미술관에서 ‘빙호영월’ 개인전을 열어 큰 호응을 받고 있다. 출품한 수묵화와 서예작품, 사진작품 100점은 이미 완판된 상태다. 그 여세를 몰아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진도 강진 무안 목포 전남도청 등지에서 개인전도 연다.

 

현재 중국 이우시칠묵미술관에서 오픈한 개인전은 ‘한중수교 29주년’과 ‘한중문화교류의 해’ 등을 기념해 중국이우시선전부(中共义乌市委宣传部) 및 이우시 문화방송관광체육국(义乌市文化和广电旅游体育局)이 주최하고, 이우시문화관(义乌市文化馆)-칠묵미술관(义乌市七墨美术馆)이 주관한 것이다.

 

 

현재 양태백 박사의 이 전시는 이우신문(义乌网)과 이우상보(义乌商报) 문화면에 톱 기사로 보도되며 현지의 관심을 크게 모으고 있다. 중국 이우공상대학(义乌工商学院) 교수로 후학을 가르치는 양 박사는 조선 허균의 시구인 ‘빙호영한월(冰壶映寒月·항아리의 얼음 조각을 차디찬 달이 비추는 듯하다)’는 글귀를 전시의 주제로 삼아 한중 관계의 친밀성을 강조했다.

 

목포 출신인 양 박사는 어려서부터 부친에게 서예를 배우고, 남농 허건 선생·임전 허문 선생에게 동양화를 사사했다. 전 내셔널지오그래픽 편집장인 에드워드 김에게 사진을 배웠으며, 육군 사진보도병을 거쳐 대학에서 시각·폰트디자인을 전공했다. 그후 신문방송학 석사, 창업학 석사, 한국어교육 석사, 문화관광학박사 등 18년간 다채로운 공부를 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양 박사는 한양대 관광학 박사인 중국인 아내와 결혼, 중국 절강성 이우시로 삶의 터전을 옮긴 후 2018년부터 이우공상대학 디지털매체예술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동시에 중국정부 문화관광 상품 프로젝트 디렉터, 한국관광사진가협회 이사장, 토마스양 문화관광디자인연구원 원장, KID한국산업개발원 전문연구위원, 중국 100대 서화원(中国明星书画院) 명예원장을 현재 맡아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바쁘게 활동하고 있다. 5성급인 중국 일신국제호텔(日信国际大酒店) CEO를 역임한 흥미로운 이력도 갖고 있다.

 

양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함평 우시장 소사진, 운무산수, 전서체 서예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100점을 선보였다.  작가는 전화를 통해 "400평이 넘는 넓은 공간에서 전시를 했는데, 한 분이 제 작품에 반했다면서 전 작품을 다 샀다. 심지어 제 미술관을 열겠다고까지 해서 너무 행복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사진 작가의 한 사람으로서 1980년에 벌어진 광주사태를 사진으로 기록하지 못한 것이 제 평생 가장 애통하고 가슴 아픈 일이다. 육군에서 보도사진병으로 근무하며 현장 사진을 많이 남겼는데도 광주사태 때는 죽음을 불사할 용기가 없었다”고 오랜 세월 가슴속 응어리를 고백했다.

 

양 작가는 2002년 5월 경인예술관에서 도심 건물 사이로 펼쳐진 하늘의 다양한 건축공간을 추상미술로 승화한 작품 등 6회의 개인전을 열었다.

 

이번 중국 전시에 이어 2022년 1월 진도 현대갤러리, 2월 강진 강진아트홀, 4월 목포 오거리문화센터, 5월 전남도청갤러리 등 연말까지 전시가 예정되어 있다.

 

 

한편 중국 절강성 이우시 이우상보(义乌商报) 11월 23일자 5면에 실린 ‘일의대수양상조 백여진품기빙심(一衣带水两相照 百余珍品寄冰心) ‘빙호영월’ 중한문화예술교류전 취재기’(노여진 기자) 일부를 소개한다.

...

미술관에서 작품을 진지하게 감상하거나, 작은 목소리로 의견을 교환하거나, 휴대폰으로 작품을 사진에 담으려는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서예를 사랑하는 시민 뤄옌(Luo Yan)은 “훌륭한 작품은 거듭 감상할 가치가 있다. 오래 보고 느끼면 많은 영감을 얻고, 자기 자신의 창작성을 개발하게 될 것이다”라고 소감을 밝혔고, 하교한 딸과 함께 급히 전시회를 찾은 시민 서휘(Xu Hui)는 “방과 후 바로 왔어요. 아이들과 함께 관람하는 것은 감성을 키우는 데도 좋고, 중국과 한국의 넓고 심오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어서 큰 의미가 있어요”라고 말했다.

 

이우에서 크게 사업을 하고 있는 야금국(冶金菊)은 "당나라 시인 이태백(李太白)을 만나볼 수 없지만 현재 사진, 영상, 서예, 그림, 디자인, 도자기 등 여러 장르에서 전무후무한 예술업적을 이뤄낸 양태백(梁太白) 박사의 예술세계를 만나게 된 것은 영광이며 행운이다. 자기가 이미 양박사의 평생의 팬이 되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가족과 함께 전시회를 찾아온 뤄즈궈오(罗志国)는 "이렇게 좋은 전시는 큰 도시에만 있는 줄 알았는데 여기 이우시에서도 감상할 수 있어서 정말 감동이다"라고 축하와 감사를 표했다.

 

소식을 알고 문화국 국장의 부축을 받고 미술관에 방문한 어르신 한분(90·전 이우시 당서기 비서이자 서예가)은 "양박사의 예술수준이 놀라울 정도로 높다"며 연거푸 찬사를 보냈다.

 

또 한 서화동호회에서 온 한 여성은 " 휴대폰으로 양박사의 작품을 전부 찍어서 동호회 모임에 올려 자기 동호인들이 같이 보고 배우겠다"며 기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중국은 예로부터 인(仁)과 정의의 나라였으며 이우는 '의'의 이름으로 정의와 예의가 있는 고장이다. 이는 한국의 건국정신 '홍익인간'과도 일맥상통한다. 이우의 '의'는 강의유위(刚義有爲), 선의후리(先義後利), 의행천하(義行天下)를 의미하고, 한국의 홍익인간은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하기, 이타주의, 인애 및 신의를 의미한다.

 

'의', '선의후리', '의행천하' 작품들이 양박사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다. 양박사는 이우가 세계 최대의 소상품 시장으로 발전하는 것은 효의, 정의, 충의, 도덕, 인애, 의협심, 정의, 애정 , 정의로움 등의 이우정신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황산은 양박사가 예술을 창작하는 원천이다. 한중 수교 이후 양박사는 여러 차례 황산을 방문하여 스케치와 사진 촬영을 해왔다. 그는 황산의 운해, 기송, 괴암 등의 풍경을 보고 "이 풍경은 하늘에서만 볼 수 있다"고 믿고 운무산수 작품을 창작하고 ‘중국황산신경’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작품 ‘소’는 한국의 우시장을 보여준 사진작품이다. 작품의 표면을 통해 현장의 활기찬 우시장 장면을 느낄 수 있다. 작품에 많은 지식을 담고 있으니 미술관에 가서 직접 관람하고 교류할 수 있다.

 

 중국 이우시는 일대일로(一带一路)의 중심 도시로 많은 한국인들이 이곳에서 안정된 생활을 누리며 즐겁게 사업을 하고 있다. 중국과 한국의 예술은 같은 라인에 있다. 두 나라의 회화와 서예의 기본 스타일에는 깊고 떼려야 뗄 수 없는 혈연관계가 있다. 차이가 있으나 같고, 같은 데 차이가 있다. 칠묵미술관장 주예빙(朱銳氷)은 “이번 행사를 통해 양국 예술가의 친선과 협력이 더욱 강화되어 양국의 문화, 경제 및 기타 분야의 교류로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전시회에서 방문한 관람객들은 "'빙호영월' 한중문화예술교류전이 내용이 풍부하고 작품 창의성이 혁신적이며 작품마다 멋지다"고 말했다. 특히 외국 예술가로서 양박사는 중국 문화에 매우 정통하다. 그의 작품 스타일은 중국 회화 및 서예와 같으면서도 다르고, 또 개척적이고 혁신적이다. 그의 작품은 중국 전통 문화와 맥이 이어져 있는 동시에 시대적 신풍(新風)을 그려내는 그야말로 걸작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한미 정상회담] 이 대통령 “두터운 신뢰…굳건한 한미동맹 확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국 워싱턴DC에서 첫 정상회담을 열었다. 회담 전 미국의 거센 압박 속에서도 돌발변수 없이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마감돼 양 정상 간 신뢰를 구축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15% 관세를 재확인해 정책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평이다. 이 대통령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 회담 분위기 이끌어 이재명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치열한 기싸움으로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3시간 앞두고 소셜미디어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고 적어 우리 정부를 압박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북한 문제를 상당 부분 언급하며,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며,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도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여야 대표에 "국정에 국민 모든 목소리 공평히 반영 노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갖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등 여야 지도부를 만나 "대통령은 국민을 통합하는 게 가장 큰 책무인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국정에 모든 국민의 목소리가 공평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여야 대표 오찬 회동에서 "우리 국민이 하나의 목소리로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민의 복리 증진에 힘을 모으면 참 좋겠다. 대외 협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앞선 한미·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일종의 통과의례 같은 것인데 무엇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지키기 위해 필요해서 하는 과정이고 매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공개석상에서 '나라의 힘을 좀 길러야 되겠다'는 말씀을 드린 이유가 있다"며 "우리가 다투고 경쟁은 하되 국민 또는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것들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 참 좋겠다"고 했다. 또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쉽지는 않은 것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지역네트워크】 공감에서 시작해 신뢰로 이어지다...하남시가 만든 따뜻한 민원행정
[시사뉴스 하남=박진규 기자] 이현재 하남시장은 행정을 바라보는 시선부터 달랐다. 민원을 단순한 요청이 아닌, 시민의 삶에 먼저 다가가야 할 ‘공감의 신호’로 받아들였다. 그래서 그는 행정의 속도만큼이나, 어떻게 응답하느냐의 ‘태도’를 중요하게 여겼다. 하남시는 민원행정의 개념을 완전히 뒤바꿨다. 단순히 민원을 처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고, 불편을 헤아리며, 현장에서 바로 답을 찾는 시스템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말투 하나, 설명 한마디에도 공감을 담고, 이동이 불편한 시민을 위해 ‘현장’을 행정의 출발점으로 삼은 행정. 시청에 가지 않아도, 여러 부서를 전전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민원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구조. 하남시는 그렇게 행정의 중심을 ‘사람’으로 옮겼다. ‘문제를 피하지 않는 책임 행정’, ‘모든 과정에 사람이 중심이 되는 행정’, 그리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는 행정’. 하남시가 실현하는 민원행정은 제도가 아니라 철학의 실천이다. 민원은 소통이다…공연으로 배우는 ‘설명력도 친절역량’ 단 한 마디의 설명이 누군가에게는 위로가 되고, 누군가에게는 벽이된다. 하남시는 이러한 ‘언어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