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10.2℃
  • 맑음서울 6.8℃
  • 박무대전 5.6℃
  • 박무대구 6.5℃
  • 구름많음울산 10.3℃
  • 박무광주 8.8℃
  • 구름많음부산 12.6℃
  • 맑음고창 5.3℃
  • 구름많음제주 15.4℃
  • 맑음강화 4.4℃
  • 맑음보은 2.5℃
  • 맑음금산 3.6℃
  • 맑음강진군 7.2℃
  • 구름조금경주시 5.4℃
  • 구름많음거제 10.4℃
기상청 제공

건강칼럼

가을 무와 사과

URL복사
한바탕 가을비와 천둥이 내리치더니 쌀쌀한 날씨가 계속된다. 이때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추천한다. 첫 번째로 무를 권하고 싶다.
천연 소화제
먼저 무는 천연 소화제이며 당뇨병을 예방해준다.
서늘한 성질을 갖고 있으며 맛은 달고 맵다. 생것은 차지만 익으면 따뜻하다. 유년시절 시골에서 입동이 지나게 되면 김장준비를 하시는 어머님이 생각난다. 겨울이면 아주 친숙한 채소인 무를 동삼(冬蔘)이라 하였는데 심심하면 깎아 먹었던 기억이 난다.
예로부터 무를 많이 먹으면 속병이 없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각종 소화효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고로 천연소화제라고 말할 정도다. 그래서 조상들은 시루떡에, 밥에, 국이나 조림이나 찜 등에 넣어서 다양하게 이용했다. 또 국수나 음식을 먹고 식중독이 있거나 체했을 때도 무를 먹었는데 그 지혜가 놀라울 뿐이다.
한의학에서 무씨를 나복자라고 하는데 폐열을 내려주는 효과가 있다. 기를 내리고 담을 삭혀주기 때문에 기침이 심하고 가래가 많을 때 좋다. 무에는 수분과 비타민C가 풍부하기 때문인 것 같다. 남성들은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지인들을 만나면 술을 마시게 된다. 또, 무에 들어있는 아밀라아제는 전분분해효소로 소화 작용을 도와주고 가슴이 답답하고 속이 더부룩한 증상을 부드럽게 해주고 아세트알데히드가 몸 밖으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도와주는 효능이 있다. 여기에 함유된 비타민C도 간 기능을 활성화시켜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음주 후 구토나 두통 증상이 생기는데 이때 숙취해소가 빨리 된다. 무는 갈증을 해소해준다. 무즙의 매운 맛은 항균작용과 살균, 항암작용이 있다.
식이섬유 풍부 비만 예방
주요성분은 수분이 가장 많고 단백질이나 당류, 인, 칼슘 등 이외에도 디아스타제 등의 다양한 소화효소가 들어 있다. 무는 칼로리가 낮아서 비만을 예방하고 풍부한 식이섬유소가 있어서 체내에서 당의 흡수를 지연시키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의 급격한 혈당 상승을 억제시킨다. 식이섬유소는 배변을 도와주기 때문에 포도당이 혈액으로 많이 가지 않고 배설하도록 하니까 혈당이 안 올라가도록 해준다. 육질보다 껍질에 비타민 C가 더 많이 들어 있다.
참고로 무청에는 비타민A, B, C와 칼슘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무청에는 비타민A가 당근보다 10배, 비타민C와 칼슘은 무보다 훨씬 많이 들어있다. 또 식이섬유도 많아 변비해소에 좋다. 겨울철에 먹는 무말랭이는 비타민류와 미네랄, 칼슘, 철, 인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다. 또 사과보다 4배정도 비타민C가 많다. 이외에도 무청에는 비타민 C와 식이섬유가 풍부하다. 고로 변비가 있는 사람에게 아주 효과적이다. 무는 채를 썰어먹는 것이 끊여서 먹는 것보다 영양효과적인 면에서 더 훌륭하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무즙이 니코틴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왜냐하면 무즙이 소화를 촉진시켜주고 거담 해독작용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매운맛 때문에 항암효과가 있다고 한다. 가정에서 구이나 생선회에 무즙과 함께 먹으면 산성 식품인 생선을 중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민간요법에서 기침에 효과가 좋다. 무즙을 해서 먹으면 열을 내려주고 소독효과가 있다. 타박상이나 화상을 입었을 때 무생즙을 환부에 붙이면 효과가 있는데, 이는 매운 맛이 항균, 살균작용과 어혈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주의사항으로 매운맛이 있어서 기를 내리는 효능이 있다. 고로 몸이 약한 사람은 과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체질적으로는 태음인에게 좋고 열무는 소양인에게 더 좋다.
납 중독 사과로 막는다
두 번째는 사과인데 납 중독의 해독작용과 다이어트에 좋다.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시고 달다. 사과에 대한 정의는 각 나라마다 만병통치약이니 영원한 생명과 행복을 주는 과일, 영원한 청춘의 상징, 과일의 왕 등 다양하게 표현하였다.
과거에는 입산수도하는 사람들이 오로지 사과만 섭취하고 일절 곡식을 먹지 않았는데도 체력을 유지하였다고 하는데 이는 사과가 식욕을 억제해주고 인체의 기력을 도와주면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주기 때문이다.
한의학에서 사과는 열을 내려주고 위장의 불쾌감을 해소시켜주고 감기치료에도 도움이 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금속 중독이 납중독이라고 한다. 펙틴은 납의 흡수를 막아 중금속을 몸 밖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납 해독에 효과가 있다.
주요성분은 펙틴과 유기산 그리고 탄수화물이다. 이외에도 비타민은 C를 비롯하여 비타민A, B1, B2를 약간씩 함유되어 있다. 사과에 풍부한 펙틴은 수용성 식이섬유소로 변의 양을 늘려주고 배변을 촉진시킨다. 특히 펙틴 성분이 수분을 머금게 되면 소화흡수가 안되면서 한천상태로 굳게 하여 그대로 배설된다. 그래서 설사일 때는 적당히 수분을 빨아들여 적절한 상태로 굳혀서 설사를 멈추게 하고 변비가 있을 때는 변의 부피를 늘려주어 밖으로 밀어내는 효과가 있다. 장내 유산균을 증식시켜서 유독성 물질의 흡수를 막아준다.
인체에서 식이섬유소는 청소부 역할을 하는 영양소다. 왜냐하면 식이섬유소는 몸속에서 금속을 흡착하거나 독성 무기물과 결합하여 흡수를 방어하는 효과가 있다. 오렌지보다 4배 이상 많은 식이섬유소를 가지고 있다.
되도록 사과는 아침에 먹어야 효과가 좋다. 왜냐하면 위액분비를 도와 소화와 흡수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사과는 섬유질이 많아 밤에는 장을 자극해서 위액분비와 배변을 촉진하기에 속쓰림이나 뱃속이 편치 않을 수도 있다. 아침에 사과 한개는 건강의 지름길이다.
식욕 억제 효과
최근에는 사과가 다이어트 식품으로 인기다. 왜냐하면 사과는 식욕을 억제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고밀도지방단백인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사과에 있다. 이것은 심폐기능을 좋게 하면서 심장병을 예방하며 혈압을 떨어뜨려주는 효과가 있다.
1997년 대한환경공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사과껍질을 이용하여 폐수 중 유해 중금속을 제거하는 실험을 했는데 납 성분을 95.3%나 제거했다고 한다. 사과는 혈관속의 효소를 활성화시켜서 혈관을 확장시켜준다. 그래서 혈압을 높이려는 교감신경의 활동을 억제시켜주며 칼륨이 있어서 혈압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사과 껍질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활성산소를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 활성산소는 동맥경화와 고지혈증의 원인이 된다. 혈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활성산소의 활동을 억제시켜주는 것이 안토시아닌이다. 또 펙틴 외에 항산화 성분인 비타민C와 비타민E, 카로틴 등이 함유되어 있다. 피로를 회복시키고 유기산덕분에 장을 깨끗하게 해서 급성 장염이나 변비에 좋다.
섭취하면 좋은 체질은 소음인이나 태음인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 밀반입 한 5명 적발
(사진=인천본부세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본부세관은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해 밀반입한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붙잡아 검찰에 송치했다. 인천본부세관은 4일 A(50대)씨 등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세관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1~12월 중국에서 건조된 마늘 173톤과 양파 33톤 등 시가 17억 원 상당의 농산물 총 206톤을 국내로 밀수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에 부과되는 고율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냉동 농산물로 위장하는 방식으로 밀수를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행 건조 마늘과 양파에는 각각 360%, 135%의 관세율이 적용되지만 냉동 농산물로 분류되면 27%로 낮아진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을 실은 컨테이너 적재 칸의 윗부분에는 냉동 농산물 상자를 넣어 현품 검사를 피하려고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에 적발된 보세창고 보세사는 현품 검사를 할 때 사전에 확인한 냉동 농산물만 샘플로 제시하는 등 범행에 깊숙이 가담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세관은 냉동 보세창고 외부에만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어 내부 감시가 어려운 점이 악용된 것으로 보고 앞으로 창고 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