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6일 서울 명동성당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미사에 참석한 후 참모들과의 회의에서 "우리의 미래인 청년들을 지켜주지 못해 대통령으로서 아프고 무거운 마음을 가눌 길이 없다"며 "국가 애도 기간은 끝났지만 이 위로와 추모의 마음을 새겨 다시는 이 같은 참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할 책임이 대통령인 제게 있다"고 김은혜 홍보수석이 서면 브리핑으로 전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무고한 희생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한 대한민국으로 나라를 변화시키는 데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낮 12시부터 명동성당에서 정순택 대주교 주례로 봉헌된 추모미사에 김건희 여사와 함께 참석했다. 추모미사 참석을 계기로 한 별도의 공개 발언은 없었다.
김 수석은 정 대주교의 강론 내용 중 일부를 언급하면서 "세상을 떠난 영혼의 영원한 안식과 다친 분들의 쾌유를 기원하며 고통 중에 있을 유가족을 위로하기 위해 마련된 미사에 대통령이 참석한 것 또한 늘 우리 사회 어두운 곳과 아픈 곳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해준 한국 천주교와 함께 국민의 아픔과 상처를 치유해 나가고자 하는 마음을 담아 이뤄진 것"이라고 미사 참석의 의미를 설명했다.
김 수석은 미사에서 윤 대통령이 정 대주교가 정부에 한 요청도 경청했다고 밝혔다. 정 대주교는 강론에서 "정부는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고 보호하는 사회적 시스템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하는 계기로 삼아주길 바란다"며 "참사로 국론이 분열되거나 사회적 갈등이 커지는 것은 우리가 이 아픔을 통해 더 성숙한 나라를 만드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희생자분들의 유가족들도 그렇게 바라지 않을 것"이라고 했으며, 이에 윤 대통령도 공감했다고 김 수석은 전했다.
김 수석은 "이 같은 취지로 대통령은 내일(7일) 오전 7시30분 용산 대통령실에서 민관이 함께하는 국가안전시스템 점검회의를 갖는다"며 "정부와 지자체, 민간 전문가 그리고 일선 공무원이 함께 참여해 현 재난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철저한 진단과 평가에 이어 대한민국에 안전한 시스템을 바로 세우기 위한 방안을 숙의하고 토론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