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12일 이태원 참사 발생 2주가 되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에서 '안전한국훈련'이 실제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훈련이 될 수 있게 준비하라고 당부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 감염병에 대한 철저한 방역도 주문했다.
한 총리는 "이번 사고에서 볼 수 있듯이 안전은 철저한 사전 점검과 대비를 통해서만 담보될 수 있다"며 "재난안전법에 따라 다음주 월요일부터 2주간 300개 기관이 참여하는 '안전한국훈련'이 실시된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훈련은 다중밀집시설 화재, 철도사고, 경기장·공연장 사고 등 실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대응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며 "행정안전부는 훈련이 실제 위기상황이 닥쳤을 때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훈련이 되도록 철저히 준비해 진행해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사고로 생명을 잃은 많은 분들의 명복을 빈다. 형언할 수 없는 아픔을 겪고 계실 유가족들에게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치료 중이신 분들의 빠른 쾌유도 빈다"며 "헌신적으로 일해 주고 계신 일선 공무원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한 총리는 고병원성 AI 발생 시기가 지난해보다 빠르고, 또 확산 위험성이 높다고 진단하면서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다.
한 총리는 농장에서 방역 수칙을 지키지 않은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관계부처와 지자체는 방역 위반사례 발생 않도록 경각심을 갖고 방역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특별방역단을 구성해 예방적 살처분 범위 조정, 오염 우려지역 집중소독 등 특단의 강화조치를 실시하라"고 지시했다. 이와 함께 고병원성 검출지역 정밀조사, 철새 이동 분석 등을 통한 선제적 조치도 주문했다.
한 총리는 "가축 전염병은 현장 방역에 빈틈이 생기면 언제든 다른 농장, 다른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며 "관계기관과 지자체, 전국의 가금농장에서는 경각심을 갖고 차단방역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