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정보통신기술융합 전기추진 지능형 선박 ‘울산 태화호 명명식’개최

URL복사

에너지저장·통합제어 체계 등 최첨단 기술 적용
선도적 친환경 조선기자재 기업 육성 초석 다져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의 주력산업인 조선해양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게 될 ‘정보통신기술(ICT)융합 전기추진 지능형(스마트)선박’의 건조가 완료돼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울산시는 11월 29일 오전 10시 울산 현대미포조선소 5안벽에서 ‘정보통신기술(ICT)융합 전기추진 지능형(스마트)선박’에 대한 ‘울산 태화호 명명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김두겸 울산시장, 김기환 시의회 의장,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명명식, 안전항해 기원 의식, 선상 관람(투어) 등으로 진행된다.

  

‘울산 태화호’는 총 사업비 448억 원(국비 233억 원)이 투입돼 현대미포조선소가 지난 2020년 7월 설계에 착수한 이후 2021년 10월부터 건조에 들어가 선체길이 89.1m, 폭 12.8m, 2,700톤급, 정원 300명, 총 4층 규모로 건조됐다.

 

국내 최초 직류(DC Grid) 기반의 엘엔지(LNG), 선박용 디젤유 선택운전이 가능한 이중연료엔진체계(시스템), 에너지저장체계(시스템)을 바탕으로 엔진 가변속 제어, 에너지 최적 제어체계(시스템) 등이 탑재된 저탄소․고효율 기술이 적용된 첨단 선박이다.

 

특히 운항 시 각종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는 충돌회피 체계(시스템), 이접․안 지원체계(시스템), 최적항로 지원체계(시스템) 등 각종 항해 안전지원 체계(시스템)와 육상에서도 데이터 기반으로 선박을 실시간으로 관제할 수 있는 체계가 탑재됐다.

 

울산시는 ‘울산 태화호’의 건조로 전기추진체계(시스템) 국산화를 위한 전기 마련과 함께 중소기업들의 기자재 실증 지원을 통한 판로 개척 등 선도적인 친환경 기자재 기업 육성의 초석을 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 선박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해양 명소인 간절곶, 대왕암, 장생포를 중심으로 인근 지역과 연계한 해양관광 활성화에도 기대된다.

  

울산시는 이날부터 오는 12월말까지 시운전에 들어가 내년부터 기자재 실증 시험(테스트)과 대학생 및 재직자 교육, 울산 연안 관광 등의 목적으로 운항할 계획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 선박은 정부와 힘을 합쳐 조선해양산업의 새로운 미래 먹거리인 친환경․고성능 선박의 국산화 성공에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울산 조선해양산업이 국제적인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선도적 역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김두겸 시장의 부인 양순이 여사가 참여해 ‘울산 태화호’로 명명하고 명명식의 백미(하이라이트)인 ‘로프 절단식’과 샴페인 병을 깨트리며 안전 항해를 기원하는 의식인 '샴페인 브레이킹' 등을 진행한다.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Convergence Electric Propulsion Intelligent (Smart) Ship," which will create a new growth engine for the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ies, Ulsan's main industry, has been completed and will begin full-fledged operation.

 

Ulsan City announced on November 29 that it will hold a naming ceremony for the "Ulsan Taehwa Lake"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Convergence Electric Propulsion Intelligent (Smart) Ship" at 10 a.m. at Hyundai Mipo Dockyard in Ulsan.

 

The event will be attended by more than 100 people, including Ulsan Mayor Kim Doo-kyum, City Council Chairman Kim Ki-hwan, and officials fr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including a naming ceremony, a ceremony to pray for safe navigation, and a tour on board.

  

The "Ulsan Taehwa Lake" has been built with a total project cost of 44.8 billion won (national budget of 23.3 billion won) since the Hyundai Mipo Dockyard began design in July 2020, and has been built with a hull length of 89.1m, width of 12.8m, 2,700 tons, 300 people, and a total of four floors.

 

It is the first high-tech ship in Korea to have low-carbon and high-efficiency technologies equipped with variable engine speed control and optimal energy control system based on DC Grid-based LNG, dual fuel engine system (system) capable of selective operation of diesel oil for ships, and energy storage system (system).

 

In particular, various navigation safety support systems (systems) such as collision avoidance systems (systems), access and safety support systems (systems), and optimal route support systems (systems) that can safely navigate from various risks during operation, and systems that can control ships in real time on land.

 

Ulsan City expects the construction of "Ulsan Taehwa Lake" to lay the foundation for fostering leading eco-friendly equipment companies by providing electricity for localization of electricity propulsion system (system) and developing markets by supporting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equipment demonstra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the ship is also expected to revitalize marine tourism in connection with nearby areas, focusing on Ganjeolgot Cape, Daewangam Hermitage, and Jangsaengpo, which are local marine attractions.

  

Ulsan City plans to start a trial run from that day to the end of December and operate it for the purpose of demonstrating equipment (test), training college students and employees, and Ulsan coastal tourism starting next year.

Ulsan Mayor Kim Doo-kyum said, "This ship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success of localization of eco-friendly and high-performance ships, a new future food for the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ies. We plan to continue to play a leading role in securing an inter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future."

  

Meanwhile, Mayor Kim Doo-gyeom's wife, Yang Soon-yi, will participate in the event to name it Ulsan Taehwa Lake and hold a rope cutting ceremony, a highlight of the naming ceremony, and Champagne Breaking, a ceremony to break champagne bottles and pray for a safe voyage.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등... '서귀포국가유산야행'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주마을문화진흥원은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이 개막했다고 14일 밝혔다. 서귀포항 일대에서 개막 예정인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주최 기관 제주마을문화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2주간 사전 신청을 받은 결과 유람선을 탑승해 문화유산을 둘러보는 ‘해상 문화유산 투어’ 500명과 기간 동안 매일 저녁 열리는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에서 회차별 30명을 넘기는 신청이 접수됐다. 특히 투어형 참여연극 ‘강림차사편’은 사전 신청을 하지 못한 분들도 관객의 자격으로 진행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제주의 신화를 기반으로 유려한 자연경관과 역사 체험을 위해 기획된 ‘2025서귀포국가유산야행’은 사전 신청을 받은 프로그램 외에도 야경, 야로, 야설, 야사, 야화, 야시, 야식, 야숙 등 ‘8야’를 주제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신용구 작가가 구현한 ‘서천꽃밭’과 신화를 주제로 꾸민 ‘실경무용’ 그리고 홀로그램을 통해 구현한 영등할망의 방문은 밤바다와 신화가 어우러지는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할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버스킹 무대와 어우러진 먹거리 장터도 열려 눈과 귀 그리고 미각까지 만족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