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지방경찰청의 한 고위 간부가 본 기자를 명예훼손 혐의로 관할 경찰서에 고발했다.
이 간부는 소속 경찰관들의 각종 비위 등을 다루고 감찰하는 청문감사담당관실을 총괄하고 있는 총경급 간부다.
그런 그가 경찰서를 출입하는 사회부 기자가 자신과 관련된 내용을 확인하고 다녀 조직 내에 유포됐고, 그로 인해 명예를 훼손당했다며 고소를 그것도 경찰에 한 것이다.
하지만 이 간부의 고소가 직위를 이용하거나 언론에 자갈을 물리려하는 과잉대응으로 과연 적절한 것이냐는 논란과 함께 이를 둘러싼 부정적인 비판의 시각이 적지 않다.
이미 이 간부는 이 내용을 보고 받은 당시 자신이 총괄하고 있는 감찰과 언론 담당 부서의 중간 간부 등을 통해 해당 기자에 항의와 함께 명예훼손 운운하며 간접 압박을 가해왔다.
그러면서 홍보담당관실 간부는 본 기자를 직접 찾아와 “본인이 사실이 아니라고 하고 있다”며 “직접 만나보라”고 화해 유도를 시도했다.
아무리 한 부서의 장이라 하더라도 공적이 아닌 사적인 사안에 대해 본인 스스로가 대처하는 것이 경찰 고위직에 있는 공직자로서 기본자세라는 게 대부분의 시각이다.
여기서 궁금해지는 게 있다.
과연 기자들이 일선 경찰관들의 개인 문제를 취재할 때도 그런 식으로 부하 경찰관들을 통해 항의하고 대처하는지 의문이 생긴다.
나는 청문감사담당관으로 특별하니까 누가 나를 감히 건드리는지 알아봐라 하는 자신만의 특권 의식은 아닌지 되돌아봐야 되는 게 아닌지 질문을 던지고 싶다.
오히려 현재 인천청 청문감사실은 기자들이 경찰관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취재를 하는가 싶으면 어떻게 알았는지 해당 기자에 그 진위를 파악, 이를 감찰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연히 감찰 고유 업무의 일환으로 소문, 제보, 첩보 등을 토대로 주변 사람들에 사실 관계를 파악하고 확인하는 것이 기자는 물론 형사, 청문 감찰 등이 하는 역할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도 이번 이 간부의 사례는 본연의 업무보다는 오로지 상관의 심기를 건드려서인지 한 간부는 전화를 또 다른 감찰은 기자를 만나고 있는 홍보관실 간부에 전화로 상황을 묻는 등 조직적 대응 흔적이 역력했다.
여기서 홍보관실 간부는 본 기자를 만난 자리에서 사실인지 아닌지는 몰라도 일이 잘 처리되면 승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등의 발언을 하기도 했다.
한 일선 경찰관은 “감찰을 담당하는 청문감사담당관이 개인적인 문제를 자신이 속한 조직에 조사를 의뢰하면 그 담당자들의 입장은 뭐가 되겠냐”면서 “사실이 아니면 자기 지위에 맞게 조용히 확인·처리하는 게 옳은 게 아니냐”고 꼬집었다.
비록 본 기자는 사연 많은 과거를 안고 늦은 나이로 언론에 투신해 아직 부족하고 미천하지만 오로지 정도와 사실에 입각한 취재 활동을 위해 노력해 왔다고 자부한다.
이에 본 기자는 기자의 정당한 취재 활동을 무력화하려는 이번 사태를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어떠한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언론의 사명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임을 다짐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