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재욱 기자] 정부가 부채가 많거나 복리후생 비용이나 임금을 지나치게 많이 지출한 공공기관을 소집해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공공기관장 20명을 초청해 간담회를 가졌다. 말은 간담회였지만 사실상 공개적으로 책임을 묻는 자리였다는 전언이다. 특히 이들에게는 아예 부채가 많은 기관(12개), 복리후생비와 임금을 지나치게 많은 책정한 기업(8개)이라는 꼬리표를 붙여 방만한 경영을 우회적으로 질타했다.
아울러 이들 기관들의 관리부처인 교육부, 복지부, 고용부, 국토부, 산업부 관계자들까지 배석시켜 부실한 관리책임을 같이 물었다.
기재부가 이들을 불러 모은 이유는 일부 공공기관의 경우 부채비율이 500%에 육박해 위기관리 실패시 정부에 큰 재정부담을 야기할 수 있어서다. 실제로 지난해 공공기관 총부채는 588조7000억원으로 국가채무 443조7000억원보다 145조원이 많은 수준이다.
게다가 상당수 공기업은 수입으로 이자도 내지 못하고 있는데도 이같은 위기상황에서도 임직원들은 안정된 신분, 높은 보수, 복리후생을 누리고 있다는 점에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현 부총리는 “민감 기업이라면 감원의 칼바람이 몇 차례 불고 사업구조조정도 수차례 있어야 했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아울러 과거 5년간 부채증가를 주도했던 LH, 한전, 수공, 가스공사 등 12개 기관에 대해 부채규모와 성질, 발생원인 등을 올해 말까지 낱낱이 공개하겠다고 밝힘으로서 사실상 부실 공공기관의 전쟁을 선언했다.
현 부총리는“소나기만 피하면 된다는 안일한 생각은 이제 버려야 한다”며 “국민을 어렵고 귀한 사돈 모시듯 해야 한다는 평범한 상식을 받아들일 때 공기업도 사랑받는 기업, 존경받는 기업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