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문화

규현 "'광화문에서'와 함께 쓸쓸한 가을 보내세요"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저는 '발라드 황태자'의 동생 정도로 만족하겠습니다. 아, '발라드의 황태'도 괜찮겠네요."

한류그룹 '슈퍼주니어'의 규현(26)이 13일 첫 솔로 미니앨범 '광화문에서'를 발표했다. 가수 김범수·박효신 등의 앨범 발매 소문,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겹치는 날짜가 부담스러워 발매일을 미루는 것을 고민하다 내놓은 앨범이다. 

"오늘 검색어는 다 수능이겠죠? 그래도 수능 끝난 수험생들에게 내 노래를 들려주자는 생각으로 앨범 발매 소식을 전했죠. 그런데 오늘은 '토이'의 음악감상회가 있는 날이더라고요?(웃음) 다행스럽게 지금까지는 많은 분이 좋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규현은 이날 오후로 예정된 싱어송라이터 유희열의 행사 일정을 피해 오전 가을음악회 '광화문에서'를 펼쳤다. 수능 한파로 가을이 저만치 달아난 날, 홍대에서 열린 팬미팅을 겸한 행사다. 

"오래 준비한 앨범이에요. 오늘 0시에 음원이 공개됐는데 새벽 1시쯤 음원 사이트 3위에 올랐더라고요. 저도 모르게 눈물이 났죠. 노래를 하고 싶은 마음이 정말 컸었거든요. 대중들이 알아봐 주시고 들어주셔서 행복했죠. 오늘이 설레서 잠도 못 잤답니다."

공개 직후 3위였던 '광화문에서'는 각 음원 차트의 최정상에 올라 있다. "제 이름으로 된 앨범 수록곡도 보고 사진도 보고 네티즌들이 좋아하는 것도 보면서 행복해요. 그룹 내에서 처음으로 솔로 앨범을 발표하는 거라 부담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 짐을 내려놓게 된 거 같아요."

규현은 2년 전부터 '발라드로 꽉 찬 앨범'을 구상, 작업에 착수했다. 소속사 회장 겸 대표 프로듀서 이수만이 툭 던진 "너를 SM의 이광조로 만들 거다"라는 말까지 짚으면 7년 만에 탄생한 앨범이다. '광화문에서'는 오랜 발효 과정을 거쳐 탄생했다. 

뮤지컬, 예능, 해외 투어 등으로 바쁜 시간을 쪼개 곡을 녹음했다. "여러 일정을 소화하다 보니 목이 남아나지 않더라고요. 원래 컨디션에 구애받지 않는 스타일인데도 말이죠. 바쁜 스케줄 때문에 컨디션 조절이 힘들었죠."

'슈퍼주니어' 멤버들에게도 앨범 준비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 "이야기하면 멤버들이 질투할 거 같았어요. 꽤 지난 다음에 앨범 준비 사실을 고백했는데 다들 자기 일처럼 응원해줬어요. 왜 몰래 준비했을까, 도움도 받고 조언도 구할 걸 그랬죠. 다들 좋아해 줘서 기뻤어요."

타이틀곡 '광화문에서'를 비롯해 모두 7곡이 실렸다. 가수 이문세의 곡을 리메이크한 '깊은 밤을 날아서'가 가장 빠른 템포의 곡일 정도로 전체적으로 발라드 장르에 무게를 둔 앨범이다. 

"가능하면 정규 앨범을 내고 싶었어요. 내년 1, 2월을 생각하고 있었죠. 하지만 '광화문에서'가 가을 감성이어서 앨범 발매를 앞당기게 됐어요. '아직 여름이 남아'라는 가사가 있는데 1월에 그런 이야기를 할 수는 없잖아요."

14일 KBS 2TV '뮤직뱅크를 시작으로 각 음악 프로그램에 출연해 노래한다. 가을이 완전히 가기 전 활발히 활동한다는 계획이다. 

"많은 분이 '광화문에서'를 듣고 이 쓸쓸한 가을을 더 외롭고 쓸쓸하게 보내셨으면 합니다.(웃음)"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