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6℃
  • 맑음강릉 9.4℃
  • 맑음서울 5.7℃
  • 안개대전 5.2℃
  • 박무대구 5.6℃
  • 구름조금울산 7.6℃
  • 박무광주 7.9℃
  • 구름조금부산 12.0℃
  • 맑음고창 4.5℃
  • 구름조금제주 15.0℃
  • 맑음강화 3.7℃
  • 맑음보은 1.5℃
  • 맑음금산 4.7℃
  • 맑음강진군 5.9℃
  • 맑음경주시 4.3℃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국제

佛 지방선거 2차 결선투표 '국민전선' 13개지역 대패

URL복사

르펜 대표 "아무도 우리 못막아"

[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파리 연쇄 테러 이후 첫 지방선거에서 반(反)이민 기조를 내세워 돌풍을 일으켰던 프랑스의 극우정당 국민전선(FN)이 완패했다.

13일(현지시간) 프랑스 지방선거 2차 결선투표에서 마린 르펜 대표가 이끄는 극우정당 국민전선(FN)이 1차 선거를 지배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기관인 Ipsos, Ifop, TNS소프레스원포인트의 출구조사에서 우파 제1야당인 공화당과 집권사회당이 13개 지역 선거구에서 모두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국민전선은 지방선거 1차 투표에서 우위를 보이면서 돌풍을 일으켰지만 보수와 진보 양쪽의 유권자들은 반 이민 정당을 막기 위해 함께 뭉쳤다. AP통신은 13개 지역구에서 모두 대패한 것을두고 "국민전선이 붕괴됐다"고 표현했다.

이날 2차 결선투표에서는 공화당이 전국에 걸쳐 40%의 지지율을 얻으며 가장 많은 득표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집권사회당은 30%, 국민전선은 28%의 득표율을 각각 얻은 것으로 TNS소프레스원포인트는 예측했다.

2차 결선투표의 공식 개표결과는 현지시간으로 14일 아침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투표율은 2010년 지방선거(43.4%)에 비해 7% 높은 50.4%로 집계됐다.

르펜 대표는 북부 노르파드칼레피카르디 선거구에서 약 42%를 득표율을 기록한 반면, 공화당 후보로 출마한 자비에 베르트랑 전 노동장관의 득표율은 57%로 르펜 대표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르펜 대표의 조카딸인 마리옹 마레샬 르펜 하원의원은 남부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선거구에 자치단체장 후보로 출마했지만 45%를 얻는데 그쳐, 55%의 지지를 얻은 크리스티앙 에스트로시 니스 시장에 패할 것으로 나타났다.

르펜 대표와 국민전선(FN)은 이슬람 극단주의자의 테러와 유럽 난민 위기 이후 확산된 반이민 정서에 편승해 1차 선거에서 선두를 달리는 이변을 연출했지만, 유권자들은 결국 전례없는 승리를 안겨주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가 발표된 뒤 베르트랑 전 노동장관은 "이번 선거는 프랑스에 용기라는 교훈을 남겼다"며 "우리는 국민전선의 전진을 막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을 국민전선 당 본부에서 대형 스크린으로 지켜본 르펜 대표의 지지자들은 야유를 보냈다. 베르트랑 전 장관의 득표율은 1차 투표때 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이다.

르펜 대표는 13개 지역구에서 모두 완패했음에도 국민전선 지지자들에게 앞으로도 계속 파이팅할 것을 약속했다. 그녀는 자신을 향해 환호하는 지지자들에게 "아무 것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국민전선은 지방선거 1차 투표에서 28.14%를 득표해 1위를 차지하면서 13개 선거구 중 6개 선거구에서 승리했다. 당시 니콜라 사르코지 전 대통령이 이끄는 공화당이 국민전선의 뒤를 이었고,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의 집권사회당은 가장 낮은 지지율을 얻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 밀반입 한 5명 적발
(사진=인천본부세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본부세관은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해 밀반입한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붙잡아 검찰에 송치했다. 인천본부세관은 4일 A(50대)씨 등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세관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1~12월 중국에서 건조된 마늘 173톤과 양파 33톤 등 시가 17억 원 상당의 농산물 총 206톤을 국내로 밀수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에 부과되는 고율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냉동 농산물로 위장하는 방식으로 밀수를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행 건조 마늘과 양파에는 각각 360%, 135%의 관세율이 적용되지만 냉동 농산물로 분류되면 27%로 낮아진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을 실은 컨테이너 적재 칸의 윗부분에는 냉동 농산물 상자를 넣어 현품 검사를 피하려고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에 적발된 보세창고 보세사는 현품 검사를 할 때 사전에 확인한 냉동 농산물만 샘플로 제시하는 등 범행에 깊숙이 가담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세관은 냉동 보세창고 외부에만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어 내부 감시가 어려운 점이 악용된 것으로 보고 앞으로 창고 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