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 우크라 추가 군사 공격은 막대한 결과 치를 것"경고
G7 외교장관 회의 공동성명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주요 7개국(G7) 외교부 장관들은 중국의 강압적인 경제 정책에 대해 우려를 표하는 한편 러시아에 대해서는 우크라이나와 관련 강력 경고를 보내는 등 한 목소리를 냈다.
영국 리버풀에서 이틀 일정으로 개막한 주요7개국(G7)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한 장관들은 12일(현지시간) 의장국인 영국의 리즈 트러스 외무장관 명의로 영국 정부 홈페이지에 발표된 성명을 통해 "중국에 대해 홍콩과 신장, 남중국해·동중국해 상황, 대만해협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 등 다양한 현안과 문제들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또한 (중국의) 강압적인 경제 정책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올해 5월 G7 외교·개발장관회의, 6월 G7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명시된 약속과 입장을 강력하게 재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국과 호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부 장관들이 함께했다면서 "우리는 인도·태평양을 자유롭고 개방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논의했다"며 인도·태평양은 법의 규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인도·태평양의 협력을 과시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에 대해서는 'G7 외교장관들의 러시아·우크라이나에 대한 성명'을 별도로 냈다. 성명은 "국경을 변경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하는 것은 국제법상 엄격히 금지돼 있다"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추가적인 군사적 공격은 그에 대한 대가로 막대한 결과와 심각한 비용을 치르게 될 것이라는 데 의심을 갖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성명은 "우리는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에 대한 변함없는 헌신을 재확인하며 어떠한 주권 국가도 자국의 미래를 결정할 권리를 보장하겠다"고 했다.
또한 G7과 유럽연합(EU)이 "공통적이고 포괄적인 대응에 대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7과 EU 외교장관들은 "러시아의 군비 증간과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격적인 수사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7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화상 회담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긴장을 완화하고 외교 채널 소통을 추구하며 군사 활동 투명성에 대한 국제적인 약속을 준수를 요구한다"고 했다.
AP통신은 "영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중국, 이란 관련 긴장 속에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을 비롯한 G7 외교장관을 환영하며 '글로벌 침략자(aggressor)들에 대항한 단결력 과시'를 요구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