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제

대만 코로나 신규확진 4만4565명...62명 사망

URL복사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가 퍼지는 대만에서 9일 코로나19 신규환자가 4만4565명으로 이틀째 4만명대 발병했으며 추가 사망자는 전날보다 14명 적은 62명이 나왔다.

중앙통신과 연합보(聯合報), 중국시보(中國時報) 등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책본부인 중앙유행병 지휘센터는 이날 확진자 가운데 대만 안에서 4만4457명이 생기고 외국에선 108명이 들어왔다고 발표했다.

전날 감염자는 4만4534명, 7일 5만779명, 6일 4만6484명, 5일 5만4929명, 4일 4만9574명, 3일 3만3431명, 2일 4만3307명, 1일 4만3085명, 9월30일 4만3505명, 29일 4만4880명, 28일 4만8613명, 27일 4만5850명, 26일 2만8785명, 25일 3만8980명, 24일 3만8371명, 23일4만25명, 22일 4만2470명, 21일 4만6902명, 20일 4만4500명, 19일 2만8449명, 18일 3만9569명, 17일 3만9628명, 16일 4만1670명, 15일 4만5470명, 14일 4만9708명, 13일 4만7051명, 12일 2만5583명, 11일 3만2128명, 10일 3만5830명, 9일 3만4260명, 8일 3만5124명, 7일 4만1296명, 6일 3만6707명, 5일 2만4103명, 4일 3만4358명, 3일 3만2812명, 2일 3만3483명, 1일 3만4118명, 8월 31일 3만4623명, 15일 1만5792명, 1일 1만6584명, 7월 31일 2만1069명, 15일 2만5310명, 1일 3만5800명, 6월30일 3만8942명, 1일 8만8293명, 5월31일 8만705명, 1일 1만7085명, 4월30일 1만5149명이다.

대만 내 새 감염자는 22개 현시에서 발생했으며 남성 2만487명, 여성 2만3951명이고 19명은 확인하고 있다. 나이는 5세 미만에서 90대 사이다.

신베이시에서 8730명, 타이중시 5379명, 타오위안시 4888명, 타이베이시 4580명,  가오슝시 4487명, 타이난시 3238명, 장화현 2363명, 핑둥현 1229명, 신주현 1193명, 이란현 1183명, 윈린현 1112명, 먀오리현 1076명, 신주시 1048명, 자이현 773명, 지룽시 751명, 난터우현 663명, 화롄현 617명, 자이시 456명, 타이둥현 335명, 진먼현 203명, 펑후현 141명, 롄장현 12명이다.

외부 유입 감염자는 남성 59명, 여성 49명이다. 나이는 10세 미만에서 70대까지다. 중국에서 4명, 싱가포르 2명, 미국과 홍콩, 말레이시아 1명씩 유입했고 99명은 출발 국가를 조사하고 있다

누적 대만 코로나 감염자는 총 687만1538명에 달했다. 대만 안에서 683만6066명, 국외 유입이 3만5418명, 친선함대 36명, 항공기 2명, 불명 1명, 조사 중 14명이다.

코로나19 환자는 작년 5월10일 100명 미만이다가 이후 1년4개월 29일간 크게 증대하면서 이날까지 687만1450명 이상 늘어났다.

지휘센터는 코로나19 환자 가운데 이날 62명이 새로 사망했다고 전했다. 남성 27명, 여성 35명으로 연령이 30대에서 90대 사이다. 58명이 만성질환자이고 44명이 백신을 3차까지 다 맞지 않았다.

이제껏 코로나19 감염자 중 1만1527명이 숨졌다. 이중 16명은 국외 유입자다.

대만 행정원은 오는 13일부터 입국 후 격리 없이 7일간 자주 방역하는 식으로 외출금지를 해제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美 ICE 구금된 한국인들, 10일 오전 석방·오후 전세기 출발할 듯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미국 이민당국의 대규모 단속으로 구금돼 있는 한국인들이 10일(현지시간) 오후 현지에서 출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미 조지아주 포크스턴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 구금된 한국인들은 현지시간으로 10일 오후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전세기로 오를 예정이다. 이륙시간은 현지시간 오후 2시반 전후가 검토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시각으로는 11일 오후 전세기가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금 시설에서 공항까지는 약 428㎞로, 차로 약 4시간 30분을 이동해야 한다. 구금된 한국인들의 귀국을 위한 대한항공 전세기는 한국시간으로 10일 출국한다. 정부 신속대응팀 소속 조기중 주미대사관 총영사는 9일 미 조지아주 포크스턴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을 방문한 뒤 취재진에 "행정적, 기술적인 사안들을 계속 미국 협조를 받아 준비 중에 있다"며 "우리 국민들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귀국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한국인들이 현지에서 사법처리되지 않는 조건 하에 석방 직후 자진출국하는 형식의 세부 협의를 진행 중으로 알려졌다. 앞서 ICE는 지난 4일 조지아주 엘러벨 현대차-LG에너지


사회

더보기
배우 이선균 수사정보 유출한 경찰 혐의 일부 부인
(사진=뉴시스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마약 투약 혐의로 수사를 받다가 숨진 배우 이선균씨의 수사정보를 유출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전직 경찰관이 첫 재판에서 일부 혐의를 부인했다. 인천지법 형사11단독 김샛별 판사는 10일 공무상 비밀누설,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전 인천경찰청 소속 A(30대 경위)씨에 대한 첫 공판을 진행했다. A씨 측 변호인은 "공소사실에 따른 사실관계는 인정한다"면서도 "공무상 비밀누설의 점은 판례에 의해 다툼의 여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판사는 "의견서를 봤는데 상상적 경합의 유죄를 인정하는 데다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의 법정형이 더 높다"며 "일부 유죄가 (인정)되는 이상 (선고) 결과가 크게 바뀌지 않을 것 같은데 법리적으로 다투는 부분에 실질적 실익이 있느냐"고 물었다. 또 파지를 촬영했기 때문에 공무상 비밀이 아니라는 취지의 의견과 관련해 "수사자와 사건 내용이 적힌 용지를 촬영한 것으로 비밀문서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며 "(피고인의 행위가) 소문에 대한 사실을 명백히 확인시켜준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A씨 측 변호인은 "차일 기일에 입장을 정리해서 밝히겠다"고 했다. A씨는 이날 "직업이

문화

더보기
이앤아이앙상블, 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앤아이앙상블이 오는 9월 27일(토) 오후 7시 30분 문아트그라운드 실버스크린홀에서 세 번째 정기콘서트 ‘보이지 않는 것 - 내 안의 소리’를 개최한다. 이앤아이앙상블은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 공연에서 500석 규모 객석을 전석 매진시키면서 주목받았으며, 올해는 한정된 50석 규모의 공간에서 더욱 밀도 높은 무대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소리’를 주제로 음악, 마임, 영상이 결합된 다층적 무대 형식으로 진행된다. 관객은 연주자들의 호흡과 움직임, 무언의 퍼포먼스, 대형 스크린의 영상미를 가까이에서 경험하며 공연의 완성에 직접 참여하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다. 이앤아이앙상블은 클래식과 대중음악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시에 자신들이 직접 작곡한 음악으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자작곡은 매 공연마다 높은 호응을 얻으며 ‘이앤아이앙상블만의 색깔’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전통과 현대를 잇는 창작 작업을 통해 모던 팝 클래식이라는 독창적 장르를 개척하며, 대중성과 예술성을 함께 아우르는 무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번 무대에서는 이앤아이앙상블 바이올린 박진희, 기타 김도윤, 첼로 김혜영, 건반 이유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