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재욱 기자] 한국전력공사 자회사인 한국남동발전㈜이 경량골재공장 건설 과정에서 혈세 200억원 이상을 쓰고 특정기업에 특혜까지 주는 등 방만경영이 극에 달했다는 지적이 23일 제기됐다. 해당 공장은 준공 이후에도 수입은 지출의 3%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완주 의원이 이날 남동발전에서 '영흥화력 경량골재공장 운영보고서'를 제출받아 분석한 바에 따르면, 남동발전이 특혜를 준 기업은 도산하고 지분에 참여한 투자업체마저 경영참여를 포기하는 등 부실운영의 악순환이 이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남동발전은 지난 2008년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에 석탄재 70%에 준설토 30%를 섞어 천연골재보다 가벼운 경량골재를 생산하는 공장 건설을 특허보유 업체와 추진키로 했다. 2010년 3월 연간 20만t 생산규모로 착공된 공장은 2011년 4월에 준공 예정이었지만 20개월이나 늦은 2012년 12월에야 마무리됐다.
이 과정에서 일반인의 상식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계약조건 변경이 확인돼 특혜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공장설비자금을 부담키로 약정한 동업 업체가 투자유치에 실패하자 아무런 담보도 없이 공장건축과 설비비 모두를 남동발전이 부담하기로 약정이 변경됐다.
이 때문에 남동발전은 당초 현물출자한 공장부지(2만5000㎡)와 별도로 시설자금 175억원 전액을 부담했다. 시설비조차 당초 137억원이었지만 175억원으로 38억원이나 늘었는데 아무런 설명 없이 협약이 변경됐다는 지적이다.
또 박 의원에 따르면, 준공 지연에 따른 지체보상금에 대해서도 아무도 책임지지 않았다. 오히려 설계변경으로 공사비는 또 다시 228억원으로 늘어났다. 공사발주와 준공과정에서조차 남동발전은 모든 비용을 댔지만 아무런 개입도 못한 채 돈만 물어준 셈이다.
공장이 준공된 후에도 문제는 이어졌다. 물류특성조차 제대로 맞추지 못해 1년 동안 10차례도 제대로 가동되지 못했다. 적자는 늘어갔고 동업을 위해 만들어진 특수법인(SPC)은 18억원의 초기 운영자금을 모두 써버려 휴업했다. 원천기술을 가진 업체가 부도를 내면서 이자 5억원만 남동발전이 대신 물어냈다.
경량골재공장은 준공 1년 만에 남동발전 위탁업체에 넘겨져 8개월만인 현재까지 671㎥를 판매해 4357만원 수입에 그쳤다. 올해 경량골재가동에 따른 외주비용과 전기료 등 월 평균 2억원씩 총 16억원의 3%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다.
박완주 의원은 "남동발전은 경량골재공장을 계속 운영할 수도 닫을 수도 없는 진퇴양난에 이르렀지만 누구도 책임을 지려하지 않는다"며 "특혜사업에 이어 부실운영이라는 악순환을 해소하는 방안을 조속히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