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4.3℃
  • 맑음강릉 7.3℃
  • 박무서울 6.9℃
  • 박무대전 7.9℃
  • 맑음대구 6.1℃
  • 맑음울산 7.0℃
  • 박무광주 7.1℃
  • 맑음부산 9.1℃
  • 맑음고창 3.3℃
  • 구름많음제주 8.4℃
  • 구름조금강화 6.5℃
  • 구름많음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8.1℃
  • 맑음강진군 4.7℃
  • 맑음경주시 4.0℃
  • 맑음거제 7.9℃
기상청 제공

박웅준의 역사기행

[역사기행] 이집트에서 평창까지… 인면조의 진실

URL복사

영원불멸의 상징 천추만세



[박웅준 성보문화재연구위원] 역사 칼럼을 쓰는 입장에서 평창 올림픽 개회식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인면조(人面鳥)’가 사신(四神, 청룡, 백호, 주작, 현무)을 사방에 두고 무대 가운데에 등장하는 장면이었다. 기획자의 말에 따르면 평화를 수호하는 사신과 함께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존재로 인면조를 등장시켰으며 고구려 고분벽화를 모티브로 디자인 했다고 한다. 인면조가 등장한 후 하늘에 천문도인 천상분야열차지도가 펼쳐진 것에서도 그 의도가 확인된다.

천상과 지상을 오간 인면조

많은 문화권에서는 새를 천상과 지상을 연결하는 존재로 여겼다. 우리나라에 있는 솟대위의 새와 북방민족들이 신성시하는 기러기는 샤먼이 천상계로 영적인 여행을 떠날 때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고 믿어졌다. 고대의 지배자 또는 샤먼이 머리를 새 깃털로 장식한 것은 이 같이 하늘과 통하는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의도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렇다면 새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한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인간이 ‘카(ka)’와 ‘바(ba)’ 그리고 ‘아크(akh)’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카’는 생명의 원천이자 혼(spirit)의 본질로 ‘카’가 육체를 의미하는 ‘아크’로부터 떠나는 것을 죽음으로 여겼다. 

‘카’는 사후세계로 떠나지만 부활 할 때 자신의 육체로 되돌아온다고 믿었고 이를 위해 미이라를 만들었다. ‘바’는 개인의 인격이자 개성을 말하며 죽은 뒤에는 육체를 떠나지만 매일 밤 피라미드에서 나와서 날아다니다가 동틀 무렵 다시 돌아간다고 한다. 이 때문인지 ‘바’는 얼굴이 사람이고 몸은 새인 형상으로 표현된다. 

개성(personality)을 의미하는 사람의 얼굴과 하늘을 날 수 있는 새의 결합인 것이다. 이집트의 ‘바’를 고구려의 인면조에 투영한다면 인면은 무덤 주인의 얼굴일 것이다. 자유롭게 천상과 지상을 오가고자 무덤의 주인은 새의 몸을 빌린 것이다. 그러나 고구려인들이 이집트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을 리는 없기 때문에 인면조는 당시 동아시아적인 관점에서 해석해야 한다.

올림픽에 등장한 인면조는 우리나라에 등장하는 여러 인면조 가운데 고구려 덕흥리 고분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보인다. 408년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이 무덤의 주인공은 유주자사 진(鎭)으로 그가 고구려인인지 아니면 중국인 망명객 인지는 논란이 있다. 그러나 무덤 내부에 그려진 화려한 벽화는 5세기 초 고구려의 문화를 여실히 보여준다. 

주인공 진의 초상이 그려진 앞 칸 천장에는 수렵도와 같은 묘주가 전생에 했던 장면과 천상의 여러 신기한 동물이 같이 그려져 있어 고구려인의 사후관을 엿볼 수 있다. 인면조는 여러 신수(神獸)들 가운데 두 개가 확인 된다. 각각 옆에 ‘천추지상(千秋之像)’, ‘만세지상(萬歲之像)’
이라는 글이 있어 당시 인면조를 ‘천추’와 ‘만세’라고 불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수 기원을 담은 주술

천추와 만세는 ‘천년만년 세월장구(千年萬年, 歲月長久)’를 의미하는 천추만세(千秋萬歲)라는 어구에서 비롯되었다. 여기서 추(秋)는 일각이 여삼추(一刻 如三秋, 일각이 삼년과 같다)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세(歲)와 같이 한 해를 의미한다. 따라서 천추는 천년이고 만세는 만년을 의미하며 둘 다 오랜 세월의 대명사로 이해할 수 있다. 천추만세는 전국시대 한비자(韓非子, BC280-BC233)의 현학(顯學)에서 다음과 같이 이른 용례를 찾을 수 있다.

‘지금 무당이 사람들을 위해 빌며 “당신이 천년만년 살도록 축원합니다”라고 말한다고 해도 이렇게 부르 짓는 소리에 귀가 따가 울 뿐 하루라도 목숨을 더 부지하고 살게 할 효험이 있는지는 알 수없다’ 

냉철한 한비자의 눈에는 덧없는 것처럼 느껴질 만큼 당시 천추만세는 무속인이 주술처럼 읊어진 유명한 어구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말은 이 후 진한 시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고 한나라대의 와당 수막새에 많이 씌어졌다. 이러한 어구가 어떻게 해서 인면조와 결합이 되었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이집트에서 한반도까지



당시 중국 고대 지리서인 산해경(山海經)에는 옹, 부혜와 같은 인면조가 등장하나 이것이 등장하면 크게 가물거나 전쟁이 일어난다는 등 부정적인 면만 부각되어 있어 사후세계와 연관을 지을 수 없다. 그러나 한나라의 마왕퇴묘에서 발견된 백화 가운데 한 쌍으로 된 인면조가 등장하기 때문에 산해경과 관련 없는 인면조의 도상이 성립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동진시대 갈홍이 쓴 도교서인 포박자(抱朴子)에서는 천세와 만세라는 새는 모두 사람의 얼굴에 새의 몸을 하고 있는데 수명 또한 그 이름과 같다(千歲之鳥 萬歲之禽 皆人面而鳥身 壽亦如其名)” 라고 기록하고 있다. 마왕퇴묘의 도교적 요소를 볼 때 백화에 등장하는 인면조는 천추와 만세로 볼 수 있고 이 시기 부터 비롯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 후 하남성 등현 학장묘(學裝墓)에서 발견된 남북조 시대 화상전에서는 천추와 만세의 명문과 함께 인면조 도상이 발견되어 무덤에서 꾸준히 사용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를 비롯해 신라와 백제에서 인면조가 확인된다. 대부분 위의 경우와 같이 쌍으로 발견되고 무덤에서 출토 된 것으로 보아 도교의 영향을 받은 천추와 만세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무덤에서 주인공의 영원한 안녕을 바라는 의미와 인면조의 결합은 이집트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이집트의 바는 낮 동안에는 하늘에 올랐다가 밤에는 무덤 주인에게 돌아온다. 그것은 태양이 뜨고 지는 것과 같다. 태양은 천년만년 다시 떠오르기 때문에 무덤 주인은 오래도록 안주할 수 있다. 불로장생을 추구한 동양에서도 무덤 주인은 영원히 천상을 오르내리는 새와 같기를 바랐던 것이 아닐까? 쌍으로 표현되는 것도 무덤 주인이 부부였기때문일 것이다. 

또 한 가지 가능성은 샤먼 그 자체가 아닐까 하는 점이다. 한비자가 말한 천추만세를 읊은 무당도 그 기원은 샤머니즘에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로아스터교에서 의식을 주관하는 사제도 하반신이 새로 표현되는 경우도 많다.

올림픽 개회식에서 느닷없이 등장한 인면조를 보고 일부는 혐오감을 느꼈다고 하듯이 인수(人獸)결합은 부정적인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 사실이다. 서양에서도 세이렌(Siren)과 하피(Harpy)와 같은 인면조가 있지만 모두 <산해경>의 옹과 같이 인간에게 해가되는 존재로 묘사되는 것은 이 같은 인간의 심리에 있을 것이다. 

개회식에서 우리의 문화를 알리는 차원에서 인면조의 선택은 전 세계적인 궁금증을 자아냈다는 점에서 성공한 듯 싶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해경청·관세청 합동 마약 수색팀 꾸려 외국 무역선에서 코카인 대량 마약류 밀수 적발
[시사뉴스 윤명록 기자] 해양경찰청(청장 김용진)은 관세청과 4월 2일 강릉시 옥계항에 입항하는 외국 무역선 선박을 정밀수색하여 코카인으로 의심되는 대량의 마약을 적발하여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해양경찰청과 관세청은 전날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국토안보수사국(HSI)으로부터 멕시코를 출발하여 에콰도르, 파나마, 중국 등을 경유하여 강릉시 옥계항에 입항하는 A선박(32,000톤, 벌크선, 승선원 외국인 20명)에 마약이 은닉되어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였다. 4월 1일 관련 정보를 입수한 직후 해경청과 관세청은 해당 선박에 대한 합동 검색작전을 수립하고, 선박의 규모(길이 185m) 및 검색범위 등을 고려하여 동해해경청·서울세관 마약 수사요원 90명, 세관 마약탐지견 2팀 등 대규모 합동 검색팀을 구성하였다. 해경‧세관 합동 검색팀은 보안을 유지한 상태에서 4월 2일 6시 30분 옥계항에 긴급출동하여 A선박이 입항한 직후 선박에 올라 집중 수색을 실시하였다. 합동 검색팀은 해당 선박 전반을 집중 수색하던 중에 선박 기관실 뒤편에서 밀실을 발견하였고, 세관 마약탐지견이 마약탐지 반응을 보여 밀실 내부를 집중 수색한 결과 개당 약 20kg 전후 마약으로 의심되는

문화

더보기
난중일기에서 쓸 수 없었던 숨겨진 이야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스타북스가 소설 ‘이순신 밤에 쓴 일기 난중야록’을 출간했다. 2025년 을사년은 42번째 청사의 해로, 이순신 탄생 480주년이다. 이 책 난중야록은 난중일기에서 쓸 수 없었던 숨겨진 이야기를 이순신이 초안을 작성하고 이걸영(임단)이 옮겨 적은 ‘7년 전쟁 일기’의 번외기록이다. 난중야록을 함께 쓴 임단은 출정이 두렵다면 전쟁도 놀이처럼 생각하라고 조언한다. 또한 마늘 점으로 승리의 주문을 걸게 해 마음속 불안을 승리의 확신으로 바꿔주고 실전에 임하게 한 여인의 지혜는 너무나 놀랍다. 이 일기에는 지금까지 어느 문건에도 나와 있지 않은 거북선 제조과정, 사랑, 전쟁 준비, 백성들의 삶 등 임진년부터 정유년까지 난중일기에서는 남길 수 없었던 7년 전쟁의 숨은 이야기가 낱낱이 수록돼 있다. 미국인으로 이순신 만화를 그려 베스트셀러를 만든 온리 콤판은 미국인이 아니더라도 ‘진짜 영웅’ 이야기는 전 세계가 공감할 수밖에 없다면서 이순신은 미국의 가상 영웅들과는 달리 ‘압도적인 열세 속에서도 승리를 거둔 실존했던 인물’이었다고 평했다. 이순신 장군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영웅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위대함은 여러 업적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저마다의 방식으로 ‘노블리스 오블리제’ 실천 중…일방적 잣대 들이대면 곤란
경북 의성과 청송, 울산, 포항 영덕 등지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작업이 마무리된 가운데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한적십자사 등 민간단체를 통한 국민성금이 지난달 28일 기준 550억 원을 넘어섰다. 삼성, LG, SK, 현대차그룹 등 대기업들도 기부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룹 방탄소년단 멤버인 정국, 임영웅, 아이유 등 유명 가수, 배우 등 연예인들과 손흥민, 이정후 등 스포츠맨, 백종원, 이연복 등 유명 인플루언서들의 기부 릴레이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각지에서 모인 기부금은 553억7,000여만 원으로 집계됐다. 기부 단체는 경남 산청·하동과 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등 산불로 인한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기부금을 사용한다. 이번 산불과 관련해 특히 유명 연예인과 인플루언서들의 기부가 줄을 이었는데 때아닌 기부 미참여, 기부금 소액 논란 등으로 훈훈한 기부문화 확산에 찬물을 끼얹는 일들이 벌어져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유명인들의 기부금액이 큰 순서대로 나열한 ‘유명인 산불 기부 명단’을 만들어 놓고 “000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