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14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박웅준의 역사기행

[역사기행] 이집트에서 평창까지… 인면조의 진실

URL복사

영원불멸의 상징 천추만세



[박웅준 성보문화재연구위원] 역사 칼럼을 쓰는 입장에서 평창 올림픽 개회식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인면조(人面鳥)’가 사신(四神, 청룡, 백호, 주작, 현무)을 사방에 두고 무대 가운데에 등장하는 장면이었다. 기획자의 말에 따르면 평화를 수호하는 사신과 함께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존재로 인면조를 등장시켰으며 고구려 고분벽화를 모티브로 디자인 했다고 한다. 인면조가 등장한 후 하늘에 천문도인 천상분야열차지도가 펼쳐진 것에서도 그 의도가 확인된다.

천상과 지상을 오간 인면조

많은 문화권에서는 새를 천상과 지상을 연결하는 존재로 여겼다. 우리나라에 있는 솟대위의 새와 북방민족들이 신성시하는 기러기는 샤먼이 천상계로 영적인 여행을 떠날 때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고 믿어졌다. 고대의 지배자 또는 샤먼이 머리를 새 깃털로 장식한 것은 이 같이 하늘과 통하는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의도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렇다면 새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한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인간이 ‘카(ka)’와 ‘바(ba)’ 그리고 ‘아크(akh)’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카’는 생명의 원천이자 혼(spirit)의 본질로 ‘카’가 육체를 의미하는 ‘아크’로부터 떠나는 것을 죽음으로 여겼다. 

‘카’는 사후세계로 떠나지만 부활 할 때 자신의 육체로 되돌아온다고 믿었고 이를 위해 미이라를 만들었다. ‘바’는 개인의 인격이자 개성을 말하며 죽은 뒤에는 육체를 떠나지만 매일 밤 피라미드에서 나와서 날아다니다가 동틀 무렵 다시 돌아간다고 한다. 이 때문인지 ‘바’는 얼굴이 사람이고 몸은 새인 형상으로 표현된다. 

개성(personality)을 의미하는 사람의 얼굴과 하늘을 날 수 있는 새의 결합인 것이다. 이집트의 ‘바’를 고구려의 인면조에 투영한다면 인면은 무덤 주인의 얼굴일 것이다. 자유롭게 천상과 지상을 오가고자 무덤의 주인은 새의 몸을 빌린 것이다. 그러나 고구려인들이 이집트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을 리는 없기 때문에 인면조는 당시 동아시아적인 관점에서 해석해야 한다.

올림픽에 등장한 인면조는 우리나라에 등장하는 여러 인면조 가운데 고구려 덕흥리 고분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보인다. 408년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이 무덤의 주인공은 유주자사 진(鎭)으로 그가 고구려인인지 아니면 중국인 망명객 인지는 논란이 있다. 그러나 무덤 내부에 그려진 화려한 벽화는 5세기 초 고구려의 문화를 여실히 보여준다. 

주인공 진의 초상이 그려진 앞 칸 천장에는 수렵도와 같은 묘주가 전생에 했던 장면과 천상의 여러 신기한 동물이 같이 그려져 있어 고구려인의 사후관을 엿볼 수 있다. 인면조는 여러 신수(神獸)들 가운데 두 개가 확인 된다. 각각 옆에 ‘천추지상(千秋之像)’, ‘만세지상(萬歲之像)’
이라는 글이 있어 당시 인면조를 ‘천추’와 ‘만세’라고 불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수 기원을 담은 주술

천추와 만세는 ‘천년만년 세월장구(千年萬年, 歲月長久)’를 의미하는 천추만세(千秋萬歲)라는 어구에서 비롯되었다. 여기서 추(秋)는 일각이 여삼추(一刻 如三秋, 일각이 삼년과 같다)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세(歲)와 같이 한 해를 의미한다. 따라서 천추는 천년이고 만세는 만년을 의미하며 둘 다 오랜 세월의 대명사로 이해할 수 있다. 천추만세는 전국시대 한비자(韓非子, BC280-BC233)의 현학(顯學)에서 다음과 같이 이른 용례를 찾을 수 있다.

‘지금 무당이 사람들을 위해 빌며 “당신이 천년만년 살도록 축원합니다”라고 말한다고 해도 이렇게 부르 짓는 소리에 귀가 따가 울 뿐 하루라도 목숨을 더 부지하고 살게 할 효험이 있는지는 알 수없다’ 

냉철한 한비자의 눈에는 덧없는 것처럼 느껴질 만큼 당시 천추만세는 무속인이 주술처럼 읊어진 유명한 어구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말은 이 후 진한 시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고 한나라대의 와당 수막새에 많이 씌어졌다. 이러한 어구가 어떻게 해서 인면조와 결합이 되었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이집트에서 한반도까지



당시 중국 고대 지리서인 산해경(山海經)에는 옹, 부혜와 같은 인면조가 등장하나 이것이 등장하면 크게 가물거나 전쟁이 일어난다는 등 부정적인 면만 부각되어 있어 사후세계와 연관을 지을 수 없다. 그러나 한나라의 마왕퇴묘에서 발견된 백화 가운데 한 쌍으로 된 인면조가 등장하기 때문에 산해경과 관련 없는 인면조의 도상이 성립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동진시대 갈홍이 쓴 도교서인 포박자(抱朴子)에서는 천세와 만세라는 새는 모두 사람의 얼굴에 새의 몸을 하고 있는데 수명 또한 그 이름과 같다(千歲之鳥 萬歲之禽 皆人面而鳥身 壽亦如其名)” 라고 기록하고 있다. 마왕퇴묘의 도교적 요소를 볼 때 백화에 등장하는 인면조는 천추와 만세로 볼 수 있고 이 시기 부터 비롯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 후 하남성 등현 학장묘(學裝墓)에서 발견된 남북조 시대 화상전에서는 천추와 만세의 명문과 함께 인면조 도상이 발견되어 무덤에서 꾸준히 사용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를 비롯해 신라와 백제에서 인면조가 확인된다. 대부분 위의 경우와 같이 쌍으로 발견되고 무덤에서 출토 된 것으로 보아 도교의 영향을 받은 천추와 만세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무덤에서 주인공의 영원한 안녕을 바라는 의미와 인면조의 결합은 이집트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이집트의 바는 낮 동안에는 하늘에 올랐다가 밤에는 무덤 주인에게 돌아온다. 그것은 태양이 뜨고 지는 것과 같다. 태양은 천년만년 다시 떠오르기 때문에 무덤 주인은 오래도록 안주할 수 있다. 불로장생을 추구한 동양에서도 무덤 주인은 영원히 천상을 오르내리는 새와 같기를 바랐던 것이 아닐까? 쌍으로 표현되는 것도 무덤 주인이 부부였기때문일 것이다. 

또 한 가지 가능성은 샤먼 그 자체가 아닐까 하는 점이다. 한비자가 말한 천추만세를 읊은 무당도 그 기원은 샤머니즘에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로아스터교에서 의식을 주관하는 사제도 하반신이 새로 표현되는 경우도 많다.

올림픽 개회식에서 느닷없이 등장한 인면조를 보고 일부는 혐오감을 느꼈다고 하듯이 인수(人獸)결합은 부정적인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 사실이다. 서양에서도 세이렌(Siren)과 하피(Harpy)와 같은 인면조가 있지만 모두 <산해경>의 옹과 같이 인간에게 해가되는 존재로 묘사되는 것은 이 같은 인간의 심리에 있을 것이다. 

개회식에서 우리의 문화를 알리는 차원에서 인면조의 선택은 전 세계적인 궁금증을 자아냈다는 점에서 성공한 듯 싶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여기종, 이집트 연수생 대상 여성기업 육성 현장 탐방 운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재)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이사장 박창숙, 이하 ‘센터’)는 지난 11일 KOICA 글로벌 연수사업의 일환으로 ‘이집트 여성 취·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 역량 강화 연수생을 위한 여성기업 육성 현장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연수생들은 여성의 취‧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 정책 개발을 위한 벤치마킹을 위해 한국에 방문하였으며, 한국의 여성기업 정책 및 지원 체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실질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얻고자 여기종 본부를 탐방했다. ‘이집트 여성 취·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 역량강화 연수’는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진행되는 사업으로, 이번이 두 번째 한국 방문이다. 전년도 연수에서는 여기종을 통해 한국 여성기업과의 간담회를 갖고, 글로벌 성장 전략을 모색한 바 있다. 이날 여기종은 대한민국 여성기업의 주요 현황과 (재)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및 한국여성경제인협회의 주요 역할을 소개하고, 중소벤처기업부의 여성기업 육성사업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했다. 또한, 여성창업보육실을 직접 견학하며 여기종이 운영 중인 창업지원 인프라를 살펴보고, 입주기업 대표와의 간담회를 통해 한국 여성기업인의 생생한 창업 경험과 경영 노

사회

더보기
박강산 시의원, 청소년자율예산 편성 환영한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의회 박강산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이 지난 12일 토요일 제13대 서울시 청소년참여위원회「청소년자율예산편성 결과공유회」에 참석해 청소년들의 정책 제안 활동을 격려하고 참여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약속했다. 이번 결과공유회는 서울시 청소년참여위원회 운영분과 위원들이 직접 기획하고 주도한 ‘청소년자율예산제’ 활동의 마무리 행사로, 청소년들이 수개월에 걸쳐 준비한 정책 제안과 예산안을 의결하고 서울시 청소년정책과에 공식으로 제출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이날 제출된 「청소년 국제 정치역사 특사단」 사업은 서울시에 거주하거나 서울시 소재 초‧중‧고등학교 재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관련 기관에 소속된 청소년 시민이 독일을 방문해 ▲분단과 통일 역사 탐구 ▲국제협력 강화방안 모색 ▲초국가적 정책연대 경험 등을 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이에 박강산 의원은 “청소년자율예산 편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준 서울시 평생교육국에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청소년 시민이 정책의 능동적 설계자이자 주체로서 활동할 수 있는 공론장을 더욱 활성화해야 한다”고 당부의 말을 전했다. 한편 박강산 의원은 앞서 지난 3월 청소년자율

문화

더보기
실무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활용 안내서 ‘모두를 위한 최신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출간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머니매그넷이 운영하는 실무 전문 IT 교육 기관 마소캠퍼스가 신간 ‘모두를 위한 최신 Chat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출간했다고 밝혔다. 지난 30일 공개된 이 책은 ChatGPT를 중심으로 Claude, Gemini, Copilot 등 주요 생성형 인공지능(AI) 도구를 통해 AI 시대의 핵심 기술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실무에 접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이번 도서는 생성형 AI의 기술적 기초와 원리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성과를 내기 위한 프롬프트 설계 기법을 다루고 있다. 입문자부터 실무자까지 단계적으로 따라할 수 있도록 각 장마다 핵심 이론과 실습 프롬프트를 함께 제공해 독자가 직접 프롬프트를 설계하고 응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무엇보다도 △업무 자동화 △전략 수립 △마케팅 △교육 등 분야별 프롬프트 작성법과 AI의 구조화된 활용법을 집중 조명한다. LLM 작동 원리, 워드·벡터 임베딩, 셀프 어텐션 등 핵심 기술 개념부터 멀티모달·웹브라우징·비전 기능 설명까지 포함돼 있다. 나아가 산업별 실제 사례를 통해 생성형 AI의 실무 적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이 책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