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3.27 (월)

  • 맑음동두천 9.9℃
  • 맑음강릉 13.1℃
  • 맑음서울 11.0℃
  • 맑음대전 9.9℃
  • 맑음대구 10.8℃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0.5℃
  • 맑음부산 12.3℃
  • 맑음고창 10.0℃
  • 맑음제주 11.9℃
  • 맑음강화 8.7℃
  • 맑음보은 8.8℃
  • 맑음금산 9.7℃
  • 맑음강진군 10.8℃
  • 맑음경주시 12.0℃
  • 맑음거제 11.5℃
기상청 제공



【히든기업연구소 발족 기념 국회 세미나】 축사...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최영희 국민의힘 국회의원
정진석 국회의원(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안녕하십니까,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정진석입니다. 「중소기업 지원대책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향 정책토론회」 개최를 축하드립니다. 세미나 준비를 위해 노고를 아끼지 않은 김성원 의원님과 강신한 수도권일보 회장님을 비롯한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바쁘신 와중에도 자리를 빛내주신 내외빈 여러분께도 감사와 환영의 인사를 전합니다. 우리나라 사업체 수의 99%, 고용의 83%를 차지하는 663만 중소기업은 대한민국 경제와 산업의 뿌리입니다.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에,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매우 중요합니다. 중소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사업 수는 총 1,754개이며, 예산 규모는 26조 1,406억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와 같이 지원사업의 수와 예산규모가 커지면서, 정책 효율성을 위해 사업 간의 유기성을 높이기 위한 조정기능이 절실해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과거에 다른 부처에 있던 중소기업 정책들을 조정해 유사한 사업의 중복을 줄여야 합니다. 과기부가 R&D 분야지원을 하고, 행안부가 재난안전 분야를 담당하며 흩어졌던 정책을 조정

【SOS 공동망 인터뷰】 박민용 전 협성대총장, 고사 직전 대학을 살려야 국민도 살고 나라도 산다
[시사뉴스 박성태 대기자]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대면 수업강화로 인한 입학정원의 대량 미달사태, 15년째 이어져 오는 등록금 동결, 대학기부금 반토막 등으로 대학은 최악의 상황이다. 전국 180여 개 대학이 올해 대학입시에서 정원이 미달되어 신입생 추가모집에 나서는 등 ‘벚꽃 피고지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벚꽃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여기에다 올해 정시입시에서 서울 주요대 반도체 학과에 합격한 학생들의 대다수가 등록을 포기하는 등 정부의 대학, 지역대학 살리기 정책도 겉돌고 있어 대학이 자구노력을 통해 재정자립일 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한다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해있다. 이에 전현직 대학총장들이 모여 협의회를 만들어 대학살리기에 나서 관심을 끌고 있다. 대학을 살려 지방경제도 살리고 국가 경쟁력도 키워나가야 한다고 전현직대학총장 협의회를 만든 박민용 전 협성대 총장을 만나 얘기를 들어본다. 대학발전기금공동망 총장협의회를 만드셨다는데 그 협의회의 취지는 무엇이며 언제 만들었습니까? 대학등록금이 15년째 동결되어 대부분의 대학이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운 상태로정부만 바라보고 있지만 정부지원도 한계가 있습니다. 등록금인상을 통해 재정확

배너
배너

뉴스와이드

정치

더보기


국제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산업

더보기


사회

더보기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박성태 칼럼

더보기




기자 수첩

더보기



박덕환의 금융경제 칼럼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ETC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종합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