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4.3℃
  • 맑음강릉 7.3℃
  • 박무서울 6.9℃
  • 박무대전 7.9℃
  • 맑음대구 6.1℃
  • 맑음울산 7.0℃
  • 박무광주 7.1℃
  • 맑음부산 9.1℃
  • 맑음고창 3.3℃
  • 구름많음제주 8.4℃
  • 구름조금강화 6.5℃
  • 구름많음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8.1℃
  • 맑음강진군 4.7℃
  • 맑음경주시 4.0℃
  • 맑음거제 7.9℃
기상청 제공

박웅준의 역사기행

삼추가연, 조선 여인들의 우울

URL복사


[시사뉴스 박웅준 칼럼니스트] 조선이 신봉했던 성리학은 인간의 욕망에 대해 ‘존천리멸인욕(存天理滅人欲)’을 요구했다. 개인의 욕망은 없애야 했고 극복해야 하는 대상이었다. 충신, 효행, 열녀 등의 모범을 강조하고 성(性)을 억제하여 예의 질서를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 시대 전반의 흐름이었다. 

욕망은 정(精)과 욕(欲)이었기 때문에 이를 드러내는 것을 금기했으며, 이른바 선비라고 불리는 사대부들은 절제를 미덕으로 삼았다. 이 때문인지 조선에서 강간은 살인에 필적할 정도로 무거운 범죄였다. <대명률>의 규정에 따라 강간이 성립되면 신분과 관계없이 교수형을 처했고 강간미수는 장형과 유배형이 함께 부과되었다.

조선 전반기에는 물리력이 동원되지 않고 단순히 피해자가 동의하지 않았다는 정황만으로 강간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종 12년 10월25일 형조에서 강간범인 신통례를 왕에게 데려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작목 감역관(斫木監役官) 호군(護軍) 신통례(申通禮)가 관비(官婢) 고음덕(古音德)을 강간하였사오니, 율에 의하여 교형에 처하시고, 고음덕은 처음에는 거절하여 소리를 내어 울었으니 죄에 저촉되지 않을 듯하오나, 그 뒤에는 제 스스로 와서 서로 간음하였으니, 화간(和奸)으로서 논하여 장(杖) 90대를 처하는 것이 마땅하오나, 다만 동일한 사건에 대하여 남자는 강간으로, 여자에게는 화간으로 다루어 죄를 다르게 처결한다면 법을 집행함에 있어서 의문스럽습니다. 성상께서 결정을 내려 주시옵소서(세종실록 권20).” 

이에 세종은 남자에게는 장형을 여자에게는 별다른 형벌을 내리지 않는다. 여자가 울었다는 이유만으로 강간미수에 준하는 형벌을 내린 것이다. 이 외에도 실록에서 유사한 기록을 다수 볼 수 있다. 이렇게 강력하던 법의 집행이 조선 후반 이후에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다. 성리학은 더욱 발달하고 강간에 관한 법은참수형에 처하는 것으로 강화되지만 실제로는 유명무실해지고 오히려 강간 사건이 늘어난다. 

대부분 관인이 직위를 이용하거나 위세를 빌어 자신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피지배층 여성을 겁탈하는 사건이었다. 한성부 좌윤이 숙종 5년에 “요즘 세력 있는 사람들은 남의 아내나 첩을 빼앗아 간음하고 속이며 온갖 추행을 자행”한다고 상소를 올릴 만큼 권력층의 강간 사건이 만연했다. 예전 유행한 사극영화에서 양반 주인에게 겁탈당하는 노비 여성의 기구한 운명이라는 스토리가 이 시기에 정형화된 이미지이다.

그러나 이 사건들이 제대로 처리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권력을 이용해 빠져나가거나 솜방망이 처벌을 받았다. 예외적으로 여인이 강간에 저항하다 수치심으로 자살한 경우에만 법대로 처벌했다. 이 같은 현상은 사건의 책임을 여성으로 전가한 결과다. 

조선을 지배한 사대부들은 자신들의 절제가 여성의 욕망을 이기지 못했던 것이었다고 정당화시켰다. 그렇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는 방법은 피해 여성의 자살밖에 없었다. 성매매의 우울함만이 맴도는 삼추가연 통치이념에 변화는 없었고 법은 강화됐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조선 시대 사대부는 욕망을 극복하지 못했고 국가와 사회는 이를 묵인했다. 이를 사실적으로 보여준 인물이 조선말 유명한 풍속화가인 신윤복이다. 그는 많은 작품을 통해 사대부의 이런 행태를 풍자하고 조선적 에로티시즘을 보여줬다. 그의 작품 가운데 많이 알려지지 않은 특이한 작품이 있다. 

삼추가연(三秋佳緣)이란 제목의 작품이다. ‘가을 세 명의 아름다운 인연’이란 제목의 이 그림은 좌측의 젊은 양반과 가운데 노파 그리고 뒤돌아 앉아있는 젊은 여성이 중심을 이루고 있어 이들이 인연으로 얽혀있음을 알 수 있다. 남성은 웃옷을 벗고 있고 바지는 입고 있는지 벗고
있는지 알 수 없다. 노파는 음흉한 웃음을 지으며 술잔을 남성에게 올리고 있고 우측의 여인은 표정은 알 수 없으나 힘이 빠진 듯 어깨가 축 처져 있고 다리를 벌리고 있는 듯하다. 노골적이진 않지만 젊은 남녀 사이에 관계가 이루어졌고(또는 이루어질 것이고) 노파는 이를 중재한 것임을 어렵지 않게 유추할 수 있다.

조선말 애정 소설인 절화기담(折花奇談)에는 이 그림과 유사한 내용을 찾을 수 있다. 그 내용을 보면 남자주인공은 한양의 이생(李生)으로, 풍채가 뛰어나며 시문도 제법 아는 일대의 재자(才子)이다. 여자주인공인 순매(舜梅)는 방씨네 계집종으로, 이미 머리를 얹은 지 몇 해가 된 열 일곱 살의 절세미인이다. 어느 날 이생이 우물가에서 순매의 얼굴을 한 번 보고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만날 길이 없어 마음만 태우고 있었다. 그러던 중 마침 이생이 얹혀사는 집에 말 잘하고 중매를 잘 서는 노파가 있어, 이생은 그 노파에게 순매와 만나게 해 달라고 부탁한다. 이에 노파가 중간에서 순매와의 만남을 주선하는데, 약속이 번번이 무산되고 만다. 



작품의 마지막에 가서야 주인공들은 한 차례 정사를 나누고 헤어지게 된다. 장르가 다른 두 작품에 공통된 남녀 관계를 주선하는 노파와 양반, 여종의 구도는 유사하다. 그러나 순매는 이미 결혼한 유부녀이고 그림에는 소설과 같은 순애보는 볼 수 없다.

그림에 등장하는 젊은 여성이 기녀라는 주장도 있다. 젊은 양반이 재물을 주고 기녀의 초야권을 사는 장면이라는 것이다. 이런 경우 기녀는 머리를 올린다는 표현을 쓰는데 그러기엔 일이 너무 성급하게 진행되는 것 같다. 그리고 실내가 아닌 곳에서 이러한 일을 벌인다는 것은 맞
지 않는다. 아마도 신윤복은 이 그림을 통해 단순히 하나의 장면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사대부들의 이중성과 이를 묵인하는 사회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다른 신윤복의 작품은 장면을 묘사할 때 대부분 구체적인 장소를 나타내고 매우 사실적이나 이 작품에는 국화밭이라는 다소 비현실적인 장소로 표현된다. 그 공간에서 옷을 벗은 남자는 유교적 가치를 벗어버린 사대부를 상징한다. 

그리고 젊은 여인의 힘없는 자세는 저항할 수 없는 신분이란 것을, 보이지 않는 얼굴은 특정인이 아닌 조선의 여성이란 것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렇다면 가운데 노파는 이러한 양반의 행태를 묵시적으로 용인하는 당시 사회 자체를 묘사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노파는
음흉한 미소와 남자에게 술을 권하는 모습에서도 그 의도가 확인된다. 세 명의 아름다운 인연은 결국 반어법이다.

지금도 우리는 유교적 가치를 유지하고 있다. OECD 34개국 가운데 주요 금기(낙태, 매춘, 사촌간 결혼, 동성간 결혼, 포르노 등)를 유일하게 모두 금지하는 나라이자, 사회적으로도 성에 관한 관념이 보수적이다. 비록 표면적일지라도 다른 나라에 비해 욕망에 대한 절제를 미덕으로 삼는 것은 사실이다. 이 같은 상황이 반드시 옳다고 볼 순 없지만 요즘 같은 시대에는 한 번쯤 그 가치를 되돌아 보는 것도 필요하다. 진짜로 세 명이 아름다운 인연으로 맺어지기 위하여.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해경청·관세청 합동 마약 수색팀 꾸려 외국 무역선에서 코카인 대량 마약류 밀수 적발
[시사뉴스 윤명록 기자] 해양경찰청(청장 김용진)은 관세청과 4월 2일 강릉시 옥계항에 입항하는 외국 무역선 선박을 정밀수색하여 코카인으로 의심되는 대량의 마약을 적발하여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해양경찰청과 관세청은 전날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국토안보수사국(HSI)으로부터 멕시코를 출발하여 에콰도르, 파나마, 중국 등을 경유하여 강릉시 옥계항에 입항하는 A선박(32,000톤, 벌크선, 승선원 외국인 20명)에 마약이 은닉되어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였다. 4월 1일 관련 정보를 입수한 직후 해경청과 관세청은 해당 선박에 대한 합동 검색작전을 수립하고, 선박의 규모(길이 185m) 및 검색범위 등을 고려하여 동해해경청·서울세관 마약 수사요원 90명, 세관 마약탐지견 2팀 등 대규모 합동 검색팀을 구성하였다. 해경‧세관 합동 검색팀은 보안을 유지한 상태에서 4월 2일 6시 30분 옥계항에 긴급출동하여 A선박이 입항한 직후 선박에 올라 집중 수색을 실시하였다. 합동 검색팀은 해당 선박 전반을 집중 수색하던 중에 선박 기관실 뒤편에서 밀실을 발견하였고, 세관 마약탐지견이 마약탐지 반응을 보여 밀실 내부를 집중 수색한 결과 개당 약 20kg 전후 마약으로 의심되는

문화

더보기
난중일기에서 쓸 수 없었던 숨겨진 이야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스타북스가 소설 ‘이순신 밤에 쓴 일기 난중야록’을 출간했다. 2025년 을사년은 42번째 청사의 해로, 이순신 탄생 480주년이다. 이 책 난중야록은 난중일기에서 쓸 수 없었던 숨겨진 이야기를 이순신이 초안을 작성하고 이걸영(임단)이 옮겨 적은 ‘7년 전쟁 일기’의 번외기록이다. 난중야록을 함께 쓴 임단은 출정이 두렵다면 전쟁도 놀이처럼 생각하라고 조언한다. 또한 마늘 점으로 승리의 주문을 걸게 해 마음속 불안을 승리의 확신으로 바꿔주고 실전에 임하게 한 여인의 지혜는 너무나 놀랍다. 이 일기에는 지금까지 어느 문건에도 나와 있지 않은 거북선 제조과정, 사랑, 전쟁 준비, 백성들의 삶 등 임진년부터 정유년까지 난중일기에서는 남길 수 없었던 7년 전쟁의 숨은 이야기가 낱낱이 수록돼 있다. 미국인으로 이순신 만화를 그려 베스트셀러를 만든 온리 콤판은 미국인이 아니더라도 ‘진짜 영웅’ 이야기는 전 세계가 공감할 수밖에 없다면서 이순신은 미국의 가상 영웅들과는 달리 ‘압도적인 열세 속에서도 승리를 거둔 실존했던 인물’이었다고 평했다. 이순신 장군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영웅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위대함은 여러 업적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저마다의 방식으로 ‘노블리스 오블리제’ 실천 중…일방적 잣대 들이대면 곤란
경북 의성과 청송, 울산, 포항 영덕 등지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작업이 마무리된 가운데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한적십자사 등 민간단체를 통한 국민성금이 지난달 28일 기준 550억 원을 넘어섰다. 삼성, LG, SK, 현대차그룹 등 대기업들도 기부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룹 방탄소년단 멤버인 정국, 임영웅, 아이유 등 유명 가수, 배우 등 연예인들과 손흥민, 이정후 등 스포츠맨, 백종원, 이연복 등 유명 인플루언서들의 기부 릴레이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각지에서 모인 기부금은 553억7,000여만 원으로 집계됐다. 기부 단체는 경남 산청·하동과 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등 산불로 인한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기부금을 사용한다. 이번 산불과 관련해 특히 유명 연예인과 인플루언서들의 기부가 줄을 이었는데 때아닌 기부 미참여, 기부금 소액 논란 등으로 훈훈한 기부문화 확산에 찬물을 끼얹는 일들이 벌어져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유명인들의 기부금액이 큰 순서대로 나열한 ‘유명인 산불 기부 명단’을 만들어 놓고 “000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