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9.6℃
  • 맑음강릉 9.9℃
  • 맑음서울 10.0℃
  • 맑음대전 10.9℃
  • 맑음대구 13.0℃
  • 맑음울산 10.2℃
  • 구름많음광주 10.9℃
  • 맑음부산 11.0℃
  • 흐림고창 6.5℃
  • 구름많음제주 10.5℃
  • 맑음강화 4.9℃
  • 맑음보은 9.8℃
  • 맑음금산 10.3℃
  • 흐림강진군 10.3℃
  • 맑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0.8℃
기상청 제공

박웅준의 역사기행

[역사기행] 시진핑의 中國夢과 ‘메스아이낙 구하기’

URL복사

경제냐 역사냐 갈림길에선 아프가니스탄
실크로드 장악 위한 거침없는 중국 자본
국제 여론 따가운 시선에 일대일로 과연


[시사뉴스 박웅준 칼럼니스트] 각종 개발로 인해 드러난 문화유적은 발굴을 거쳐 원형을 보존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것이 여의치 않을 때 이전 복원이나 전시관 등을 조성하기도 하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갈등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많은 경우 풍납토성과 반구대 암각화 그리고 이집트의 아부심벨 신전 등과 같이 해결방법을 모색되지만. 수많은 문화유적은 과거의 유산으로 인한 손해를 감수하기 싫은 사람들로 인해 파괴된다.

2014년 “메스 아이낙 구하기(Saving Mes Aynak)” 란 다큐멘터리 영화가 전 세계적으로 잔잔한 반향을 일으켰다. 미국인 브렌트 후프만(Brent E. Huffman)이 만든 이 작품은 아프가니스탄의 불교 유적 메스 아이낙의 발굴과정을 기록하고 유적을 지키려는 노력을 담았다. 450,000m²에 이르는 광대한 유적이 발굴 후에는 구리광산의 개발로 파괴될 운명에 처했기 때문에 영화는 이를 널리 알려 유적을 보호하고자 하는 취지였다. 이미 아프가니스탄에서는 2001년 3월 8일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인 탈레반 민병대에 의해 53m와 37m의 두 구의 거대한 바미얀(Bamiyan) 석불이 로켓포와 다이너마이트에 의해 파괴된 적이 있다. 후푸만은 제2의 바미얀 사태가 벌어지는 것을 막고자 한 것이다.

아프가니스탄이 이곳을 개발하기로 한 이유는 중국과의 관계에 있다. 수도인 카불에서 남동쪽으로 40km 떨어진 이곳에는 이미 1974년에 2400만 톤에 이르는 많은 양의 구리가 매장된 것이 확인되었는데 아프간 정부는 외국 정부에 개발권을 팔기로 했다. 2008년 국제입찰이 진행되었고 34억불이라는 금액을 제시한 중국의 국영광산업체인 MCC(Metallurgical Corporation of China Limited, ?冶金科工集?有限公司)에게 채굴권이 넘어갔다. 중국은 25년간 개발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했고 공사를 시작하려 했다.

그러나 이미 아프가니스탄의 문화유적을 조사하고 있던 DAFA(Delegation archeologique francaise en Afghanistan, 아프가니스탄 프랑스고고학 대표단)은 아프간 정부를 설득시켜 세계은행(World Bank)의 후원을 받아 공사가 들어가기 전 이곳을 조사하기로 했다. 조사결과 청동기시대부터 쿠샨시대까지 유적과 불교 사원지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긴급발굴이 결정되었다. 아프간 정부와 중국은 단 3년의 발굴 기간을 허락한다.

발굴은 아프간의 고고학자와 여러 나라에서 온 국제협력팀에 의해 2014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그 결과는 놀라웠다. 5000년 전의 구리 제련소를 비롯해 5-7세기에 만들어진 거대한 규모의 불교사원지가 확인된 것이다. 사원지에서는 많은 불탑과 400구가 넘는 불상이 발굴되었다. 불상은 동서문화교류를 상징하는 간다라양식으로 일부는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어 학술 가치가 매우 높은 작품이었다. 삼장법사로 알려진 현장과 신라의 혜초가 인도를 갈 때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통과했듯 이곳은 실크로드의 중심이자 동서문화교류의 십자로로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다. 그것을 다시 한 번 증명하는 중요한 유적과 유물이 나온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다룬 메스 아이낙 구하기(Saving Mes Aynak)가 전 세계적으로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유적을 보호하자는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미 많은 투자를 한 중국으로서는 곤란한 상황을 맞이한 것이다. 이 때문인지 현재까지 공사는 시작되지 않고 있고 앞으로의 계획도 알 수 없다. 표면적으로는 공사중단이 구리 가격의 폭락이나 중국 측 총괄인 Shen He ting의 부정부패혐의로 인한 축출의 영향이라고 하지만 중국으로서는 국제여론을 무시하고 유적을 파괴하고 공사를 강행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중국은 세계 인구의 65%와 세계 GDP의 1/3을 통합 한 수조 달러 규모의 경제 벨트 비전을 가진 현대판 실크로드인 일대일로(一帶一路)를 국가 전략으로 삼고 있다. 시진핑 주석이 2013년 카자흐스탄의 한 대학에서 새로운 협력 모델을 강조하며 처음으로 ‘실크로드 경제벨트’(일대)를 공식적으로 언급했듯이 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잊는 육상 실크로드는 일대일로의 출발이자 핵심이다.

아프가니스탄은 고대의 실크로드가 그랬듯 중국의 신강(Xingang)과 이란을 잊는 중앙아시아의 요충지이자 많은 광물자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으로서는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지역이다. 이 때문에 구리광산에 대한 개발권 획득뿐만 아니라 중국 국영 석유회사는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유정 개발을 위해 계약을 체결했고, 중국 국영 도로·교량공사는 아프간 중부 187km의 도로를 건설하기 위한 205억 달러의 계약을 체결하는 등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인 바드흐샨(Badakhshan)과 리틀 파미르(Little Pamir)지역에 보안을 위한 군사 원조까지 했다. 아프가니스탄은 일대일로를 위해 중국이 가장 공을 들이는 지역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시진핑은 일대일로를 직접 완성하고자 하는 것 같다. 올해 3월 11일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에서 99.9%의 찬성으로 국가주석 임기 제한이 철폐됐기 때문이다. 더구나 마오쩌둥(毛澤東) 사상, 덩샤오핑(鄧小平) 이론과 함께 시진핑 사상을 헌법에 명기시켰다. 앞으로 일대일로와 중국몽을 실현하기 위한 행보가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대일로 전략은 ① 정책소통(政策?通), ② 인프라연결(?施?通), ③ 무역확대(?易?通), ④ 자금조달(?金融通), ⑤ 민심상통(民心相通) 등 5대 이념을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은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투자와 개발을 지속 할 것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지금은 일시 중단인 메스 아이낙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아프간 정부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개발권을 가진 중국의 입장도 중요하다. 이념을 위해 불상을 파괴했던 홍위병과 탈레반의 합작이 될 것인가. 아니면 손해를 감수하고 어떠한 대의적 결단을 내릴 것인가. 예기치 않은 딜레마에 빠진 중국이 어떠한 선택을 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2025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성황리 개최...368개 업체 참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025서울국제불교박람회'와 '제13회 붓다아트페어'에 368개 업체가 참여, 481개 부스를 운영해 다채로운 불교문화 콘텐츠를 선보인다. 대한불교조계종이 주최하는 '서울국제불교박람회'와 '붓다아트페어'는 한국 전통불교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내 전통불교문화산업 박람회다. 최근 가장 트렌디한 콘텐츠로 주목받는 전통·불교문화 대축제 ‘2025서울국제불교박람회’ 및 ‘제13회 붓다아트페어’가 3일 오후 2시, 서울 강남 코엑스(COEX) C홀 특설무대에서 개최되는 개막식을 시작으로 오는 6일까지 진행된다. 대한불교조계종이 주최하는 ‘서울국제불교박람회’ 및 ‘붓다아트페어’는 한국 전통불교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내 유일 전통불교문화산업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살아있는 한국전통문화의 꽃’이라는 슬로건 아래, 한국불교문화산업 자원 기반의 전통문화 상품 및 서비스, 지식 등이 융·복합된 MICE모델을 구축하며 전통불교문화산업 발전의 중추 역할을 해오고 있다. 올해는 ‘너의 깨달음을 찾아라!(팔정도와 함께) 부디즘 어드벤처@코엑스’를 주제로 서울을 대표하는 컨벤션센터 코엑스, 도심 속 천년사찰 봉은사와 연계하여 도심 한복판에서 펼쳐지는 불교계

정치

더보기
헌재 "윤석열을 파면한다"…헌정사상 두번째 대통령 탄핵 인용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헌법재판소가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4일 파면했다. 윤 전 대통령은 탄핵심판에 의해 파면된 헌정사상 두 번째 대통령으로 남게 됐다. 헌재는 이날 오전 11시22분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선고기일을 열어 재판관 만장일치로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고 밝혔다. 헌법재판소가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4일 만장일치로 파면하면서 계엄 선포와 포고령 등 국회의 소추사유를 모두 인정했다. 파면 결정의 핵심 근거로는 윤 대통령이 헌법수호 책무를 저버렸고 국민 신임을 배반했다는 점을 꼽았다. 헌재는 특히 윤 대통령이 군·경을 국회의사당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시키는 등 국민주권주의 및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비상계엄이라는 국가긴급권을 헌법이 정한 한계를 벗어나 행사한 점을 '파면할 만큼 중대한' 사유로 꼽았다. 우서 헌재는 계엄 선포 요건 등 국회의 5가지 소추사유를 모두 인정했다. 비상계엄 선포 행위에 대해서는 중대한 위기상황이 아니었다며 이른바 '호소용 계엄'이었다는 주장을 배척했다. 윤 대통령 측이 주장하는 야당의 입법독주와 예산안 의결 등은 중대 위기 상황을 현실적으로 발생시켰다고 볼 수 없고, 부정선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2025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성황리 개최...368개 업체 참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025서울국제불교박람회'와 '제13회 붓다아트페어'에 368개 업체가 참여, 481개 부스를 운영해 다채로운 불교문화 콘텐츠를 선보인다. 대한불교조계종이 주최하는 '서울국제불교박람회'와 '붓다아트페어'는 한국 전통불교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내 전통불교문화산업 박람회다. 최근 가장 트렌디한 콘텐츠로 주목받는 전통·불교문화 대축제 ‘2025서울국제불교박람회’ 및 ‘제13회 붓다아트페어’가 3일 오후 2시, 서울 강남 코엑스(COEX) C홀 특설무대에서 개최되는 개막식을 시작으로 오는 6일까지 진행된다. 대한불교조계종이 주최하는 ‘서울국제불교박람회’ 및 ‘붓다아트페어’는 한국 전통불교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내 유일 전통불교문화산업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살아있는 한국전통문화의 꽃’이라는 슬로건 아래, 한국불교문화산업 자원 기반의 전통문화 상품 및 서비스, 지식 등이 융·복합된 MICE모델을 구축하며 전통불교문화산업 발전의 중추 역할을 해오고 있다. 올해는 ‘너의 깨달음을 찾아라!(팔정도와 함께) 부디즘 어드벤처@코엑스’를 주제로 서울을 대표하는 컨벤션센터 코엑스, 도심 속 천년사찰 봉은사와 연계하여 도심 한복판에서 펼쳐지는 불교계

문화

더보기
손흥민의 성공 비결 다각도로 조명한 '손흥민학'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출판사 바른북스가 자기계발 분야 신간 ‘ChatGPT로 행복축구를 배우다’를 출간했다. 저자 서정득은 이 책에서 손흥민 선수의 삶과 철학, 인성, 리더십, 커리어 등을 인공지능(AI) ChatGPT와의 대화를 통해 교육적으로 분석하고 해설한다. ‘ChatGPT로 행복축구를 배우다’는 세계적인 축구 스타 손흥민의 성공 비결을 다각도로 조명하며, ‘손흥민학’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단순한 스포츠 전기물이 아닌 손흥민의 인성과 태도, 경기력, 문화적 적응력, 언어 능력, 리더십 등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면서 독자들이 스스로를 돌아보고 성장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특히 손흥민의 습관, 정신력, 팀워크와 팬과의 소통 능력을 ‘행복축구’라는 키워드로 풀어낸 점이 인상적이다. 책의 구성은 총 4장으로, 손흥민의 인성과 도덕성, 프로정신, 경기력, 그리고 성공학 관점에서 그의 삶을 해석하며, 인성교육, 진로교육, 리더십 교육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유용한 참고서가 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돼 있다. 특히 ‘손흥민의 성공하는 습관 10가지’, ‘손흥민의 회복탄력성’, ‘손흥민과 발롱도르’, ‘손흥민과 학벌만능주의’ 등의 주제를 통해 단순한 스타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저마다의 방식으로 ‘노블리스 오블리제’ 실천 중…일방적 잣대 들이대면 곤란
경북 의성과 청송, 울산, 포항 영덕 등지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작업이 마무리된 가운데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한적십자사 등 민간단체를 통한 국민성금이 지난달 28일 기준 550억 원을 넘어섰다. 삼성, LG, SK, 현대차그룹 등 대기업들도 기부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룹 방탄소년단 멤버인 정국, 임영웅, 아이유 등 유명 가수, 배우 등 연예인들과 손흥민, 이정후 등 스포츠맨, 백종원, 이연복 등 유명 인플루언서들의 기부 릴레이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각지에서 모인 기부금은 553억7,000여만 원으로 집계됐다. 기부 단체는 경남 산청·하동과 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등 산불로 인한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기부금을 사용한다. 이번 산불과 관련해 특히 유명 연예인과 인플루언서들의 기부가 줄을 이었는데 때아닌 기부 미참여, 기부금 소액 논란 등으로 훈훈한 기부문화 확산에 찬물을 끼얹는 일들이 벌어져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유명인들의 기부금액이 큰 순서대로 나열한 ‘유명인 산불 기부 명단’을 만들어 놓고 “000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