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박웅준의 역사기행

[역사기행] 신라의 미니멀리즘, 반가사유상의 삼산관

URL복사

인도에서 한국까지, 그 시간과 문화 이야기

[시사뉴스 박웅준 칼럼니스트] 얼마 전 매우 반가운 소식을 접했다. 강원도 영월군에 있는 절터인 흥녕선원지(興寧禪院址)에서 신라 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는 반가사유상이 발굴됐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반가사유상은 마애불 외에 모두 출토지가 명확하지 않았다.

이번에 발견된 작품이 진품이라면 아직 미진한 우리나라 고대 미술사 서술에 큰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하다. 문화재청에서 발표한 출토품의 사진을 보았다. 오른손을 뺨에 살짝 갖다 댄 채
가부좌에서 한쪽 발을 내리고 의자에 앉아서 명상하는 전형적인 반가사유상이다. 작품은 높이 15cm의 소형이며 전체적인 분위기는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 사이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상반신이 나형(裸形)에 화려한 장식이 없고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는 당대 대표작인 국보 제83호를 모본(模本)으로 한 듯하다. 가장 유사한 예는 크기와 형식면에서 유사한 경주 인왕동 출토로 알려진 금동반가사유상이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두꺼운 녹이 덥혀있고 얼굴과 관이 일부 손상되어 있어 진위를 비롯한 양식문제 등은 보존처리와 과학적 분석을 한 후 깊이
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삼산관은 앞서 언급한 작품들 외에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국보 제199호)의 반가사유상, 황룡사지 출토 금동불두(金銅佛頭), 일본의 교토 우즈마사(太秦)에 있는 고류지(廣隆寺·광륭사)의 목조반가사유상에서도 보인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삼산관은 주로 신라문화권 반가사유상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반가사유상이 시작된 간다라(Gandhara)와 이를 이어받은 중국의 반가사유상은 화려한 보관(寶冠)과 장식을 하고 있고 같은 시기 백제의 반가사유상 또한 보관을 쓰고 있다.
그렇다면 왜 신라의 반가사유상은 화려한 보관을 버리고 소박한 삼산관을 쓰게 되었을까?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은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미륵보살(彌勒菩薩)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명문(銘文)이나 기록 같은 명확한 근거가 없고 중국에서는 반가사유상을 사유상(思惟像) 또는 태자상(太子像)으로 불렸다는 것이 주목받으면서 미륵이라는 호칭이 공식적으로 불리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극히 드물지만, 일본과 중국에서 반가사유상을 미륵이란 한 예도 있고 기존 연구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와 일본의 반가사유상은 미륵으로 볼 수 있는 도상적 근거가 있으므로 이 문제는 보다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 반가사유상이란 용어는 반가좌는 가부좌를 튼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내린 상태인 반가좌(半跏坐) 상태에서 사유(思惟)한다는 뜻이다. 

명문이 비교적 많이 남아있는 중국에서는 반가사유상을 사유상이라고 지칭하는 예가 많이 발견되어 반가좌에 한쪽 손을 얼굴에 닿은 모습이 사유하는 자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유(思惟)란 대상을 구별하고 생각하고 살피고 추리하고 헤아리고 판단하는 것 또는 마음속으로 깊이 생각하는 것을 말하는데, 불교에서는 진리에 상응하는 사유를 정사유(正思惟)라고 하며 수행을 하는데 필요한 8정도(八正道) 중 하나다. 반가사유상은 불상이 발생한 간다라에서 처음 발견된다. 이 상이 태자상인지 아니면 다른인물이나 보살상인지 확실하지 않지만,불교적 사유를 표현한 것임은 분명하다. 지금으로부터 약 2580년 전 석가모니는 현재의 네팔 남부와 인도의 국경 부근인 히말라야산기슭의 카필라성(Kapilavastu) 샤키야족(석가족, 釋迦族)의 작은 나라의 왕인 슈도다나와 마야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생이 왕자였기 때문에 출가 전에는 화려한 의관(衣冠)을 갖췄을 것이다. 특히 머리에는 높은 신분을 상징하는 인도 고유의 터번(turban)을 썼을 것이며 이는 간다라의 싯다르타상에서 그 형태를 잘 볼 수 있다. 불상이 동점(東漸)함에 따라 터번은 그 상징성이 유지되지만, 형태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변한다. 중국에서는 불전이 한역(漢譯)될 때 터번은 머리에 쓰면서 높은 신분을 상징하는 보관(寶冠), 천관(天冠)이라고 하는 중국적 관념으로 대치되는데 형태는 통천관과 같은 중국 고유의 관과는 차이를 보인다. 

이는 상을 만들 때 인도의 태자 또는 높은 신분의 인물이란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불상의 의복 등 여러 외래적 이미지가 중국화가 되는 것과 비교해 이질적인 요소가 강한 부분이다. 반가사유상을 비롯해 우리나라·중국 보살상의 관은 크게 두 가지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인도 터번(turban)과 관식(crown)의 영향이다. 터번을 장식한 보석이나 화만(꽃장식) 그리고 원반(disk)의 위치나 장식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는데 굽타 시대에는 높게 올라간 고관(高冠) 형태의 관식도 등장한다. 터번을 똑같이 모방하진 않았지만, 터번의 장식이 여러 형식으로 변화되어 관과 결합하거나 굽타시대 고관의 영향을 받는 등 다양한 형식으로 등장한다.

두 번째는 중앙아시아 관식의 영향이다. 디아뎀(diadem)과 두 개의 흩날리는 리본장식, 초승달, 새의 날개 등은 사산조 페르시아의 영향이며, 이의 영향을 받은 에프탈(Ephthalites)과 소그드(Sogd)인은 이러한 계통의 관을 직접 착용하기도 했다.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의 관이 대표적으로, 당시(6-7세기) 역사적 관계를 봤을 때 직접적인 사산조의 영향 보다는 당시 활발한 무역 활동을 했던 소그드의 영향이 더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 반가사유상이 쓴 삼산관은 이러한 면에서 매우 독특하다. 그 기원을 본다면 관은 화려해야 한다. 관만큼은 중국이나 한국적이지 않은 외래적 요소가 강했다. 그러나 신라의 삼산관은 높은 신분이 쓰기에는 초라하고 단순하다. 그리고 신라 사회에는 없던 관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삼산관은 인도 터번 장식이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거쳐 관에 부착된 3개의 원형장식으로 변화하고 이것이 3개의 산봉우리 형태가 간략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외래영향이 분명하지만 최소한의 요소만을 사용하여 대상의 본질을 표현하는 현대의 미니멀리즘(Minimalism)에 가까운 표현방법이다.

이러한 삼산관은 사유상의 헤어스타일과도 일체감을 이룬다. 다른 사유상이나 보살상이 높은 상투를 틀거나 뒤로 늘어뜨린 긴 머리를 하고 화려한 보관을 쓴 것과 비교하면 머리 선만 간략하게 표현하여 삭발(削髮)한 것처럼 보인다. 싯다르타 태자는 출가 후 머리를 자르는데 그머리를 같이 묶은 터번은 무쿠타(mukuta)라는 터번이며 보관(寶冠, jewelled crown)으로 번역되었다. 그 보관에 있는 보석(mani)과 터번(또는 머리카락)은 천상에서 성물로서 탑이 세워져 숭배 받기까지 한다. 이로 미루어 삼산관을 쓴 반가사유상의 성격은 싯다르타 태자와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그렇다고 이미 성불을 한 부처는 더욱 아니다. 그렇다면 지금 정토인 도솔천에서 미래의 인간을 구제하기 위해 사유하고 있는 미륵보살이 맞을까? 

아직 알 수 없지만, 보살은 그 해답이 멀리 있지 않음을 은은한 미소로 보여주는 듯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이스라엘 전시내각, "이란에 강력한 재보복 결정"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스라엘 전시 내각이 이란의 공격에 "강력 재보복"을 결정했다. 이란은 이스라엘이 재보복할 경우 다시 공격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스라엘 전시내각이 이란의 공격에 "분명하고 강력한" 재보복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이스라엘 매체가 전했다. 15일(현지시각) 이스라엘 채널12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시내각이 이란에 "분명하고 강력하게" 반격하기로 결정했으며, 이스라엘이 "이 정도 규모의 공격을 무반응으로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채널12에 따르면 이번 대응은 향후 자국 영토가 공격받을 경우 이스라엘에 대한 보복 공격에 다시 나서겠다는 이란의 경고를 허용하지 않겠다는 취지를 분명히 하기 위해 도출됐다. 보복 시점은 이르면 15일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이번 대응이 중동 전쟁을 촉발하거나 대(對)이란 연합을 무너뜨리는 걸 원치 않는다며, 미국과 행동을 조율할 계획이라고 했다. 미국 액시오스에 따르면 전시내각 일원인 요아브 갈란트 국방장관은 전날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통화에서 이란이 탄도 미사일을 사용했기 때문에 대응할 수밖에 없다는 뜻을 전달했다. 이번 공격 계기가 된 시리아 다마스쿠스 주

정치

더보기
국민의힘, 당선자 총회...‘실무형’ 비대위로 전당대회 준비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국민의힘은 '실무형'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열기로 의견을 모았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비대위가 꾸려지는 건 주호영·정진석·한동훈 비대위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다. 국민의힘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22대 당선인 총회를 열고 윤재옥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한 실무형 비대위를 꾸리기로 합의했다. 당헌·당규상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비대위 구성이 필수적이다 윤재옥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은 이날 당선인 총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당을 빠른 시간 안에 수습해 지도체제가 빨리 출범할 수 있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며 "혁신형 비대위를 할 상황은 아니고, 전당대회를 치르기 위한 실무형 비대위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밝혔다.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취재진에게 "5월 초순경에 당선자 총회를 통해 새 원내대표가 뽑히면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비대위가) 운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권한대행이 당분간 비대위를 맡는 것은 국회의 여야 대치 상황 등이 고려된 것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5월2일 본회의를 열고 '채 상병 특검법' 처리에 나서겠다고 밝힌바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선과 악, 현실과 동화를 넘나드는 인간 본성... <안데르센, 잔혹동화 속 문장의 기억>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리텍콘텐츠의 임프린트 출판사 센텐스가 ‘안데르센, 잔혹동화 속 문장의 기억’을 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책은 안데르센이 집필한 160여편의 동화 중 특이한 요소를 가진 잔혹동화들을 모아서 집필한 도서다. 안데르센은 동화를 통해 독자들에게 인간성의 본질, 도덕적 갈등, 사랑의 여러 측면에 대해서 철학적 질문들을 던졌는데, 이 질문들에 대한 인문학적 해석을 첨부해 독자가 동화를 읽으며 함께 고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작가만의 독특한 시각과 예술적 재능이 결합해 만들어진 이색적인 메시지들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풀어 내려가며, 동시에 아름다운 원문의 문장 그대로를 음미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책은 ‘인간을 파멸시킨 욕망 잔혹동화’, ‘목숨과 맞바꾼 사랑 잔혹동화’, ‘환상 속으로 빠져드는 마법 잔혹동화’, ‘사유에 묻히게 하는 철학 잔혹동화’ 네 개의 목차로 구성돼 있으며, 인물들이 대응하고 위기를 겪는 방법에 따라 각기 다른 생각할 점을 남겨주고 있다. 동화 속에서는 우리가 어떻게 나와 타인, 그리고 세계와 소통하며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변을 달아주고, 독자들에게는 사랑과 용기, 인내의 가치를 상기시켜 주고 있다.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