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이 ‘나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고 자부하지만 과연 그럴까요? 어두운 곳에서는 더러움이 보이지 않아도 아주 밝은 빛이 비추이면 미세한 먼지나 얼룩까지 드러납니다. 이처럼 진실 자체이신 하나님께서 보실 때는 크고 작은 거짓말을 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지요. 우리가 거짓을 버리고 진실한 삶을 살 때 응답과 축복의 길로 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삶 속에서 하는 거짓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첫째, 행하지 않은 것을 했다고 말하거나, 행한 것을 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경우입니다. 재판에서는 증인의 말이 직접적으로 판결에 영향을 줍니다. 거짓 증언으로 무죄한 사람이 큰 손해를 입을 수 있고, 심지어 생사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거짓말이 얼마나 나쁜지 확연히 드러나는 대표적인 경우가 재판입니다.
성경은 한 사람의 말만 듣고 남을 정죄하지 말고 여러 사람의 말을 들어보고 정황을 바르게 분별해야 할 것과, 거짓 증언을 한 사람도 형벌을 받도록 하라고 했습니다(신 19:15~20).
또한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하는 사소한 거짓말도 버려야 합니다. 작은 거짓말은 물론, 사실을 말해야 할 상황에서 말하지 않는 것도 거짓이 됩니다.
예컨대, 자신의 잘못으로 다른 사람이 애매히 누명 쓰는 것을 보고도 모른 척한다든가, 실제 금액보다 많은 거스름돈을 받고도 아무 말이 없다면 정직하다 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거짓말하지 않을 뿐 아니라 마음이 정직해 말과 행실이 참되고 진실하기를 원하십니다.
둘째, 자신의 생각과 느낌 속에 말을 더하거나 빼는 경우입니다.
다른 사람의 말을 더하거나 빼서 엉뚱하게 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나마 좋게 전한다면 다행이지만 나쁘게 전해 오해를 빚으니 문제입니다. 그대로 전했다고 해도 말의 억양이나 장단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지요.
예컨대, 똑같이 “왜 그래?” 하는 것도 걱정스럽게 말하는 억양이 다르고, 화가 나서 따지듯이 말하는 억양이 다릅니다. 물론 녹음기처럼 상대의 말을 똑같이 전달하기는 어렵지만 최대한 말한 사람의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고자 노력해야 합니다.
셋째, 자기 생각에 맞춰 상대의 마음을 헤아려서 판단 정죄하며 비판하는 경우입니다.
사람들은 남의 표정과 행동을 보거나 말을 들을 때, 자신의 느낌과 생각에 맞춰 상대의 마음이나 의도를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어떤 생각에 집중하다가 상대를 못 보고 지나쳤는데 상대는 ‘모른 척한다. 나에게 감정이 있나?’ 생각합니다.
아무리 눈치 빠른 사람이나 서로 사랑하고 친한 사이라도 상대의 마음을 온전히 헤아리기는 어렵습니다. 그런데 자기 기준에 맞춰 상대를 오해하고 판단함으로 감정을 품거나 비방하는 일이 얼마나 많은지요. 상대의 마음과 달리 자신의 판단에 맞춰 말을 전하는 것은 결국 거짓말이 됩니다.
흔히 속이는 마음이 있는 사람은 상대가 속인다고 의심하며, 남을 무시하는 사람은 상대가 자기를 무시한다고 여깁니다. 즉 자신의 생각과 기준으로 상대를 판단 정죄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섣불리 판단 정죄하지 말며, 사소한 거짓이라도 온전히 버림으로 하나님 앞에 진실한 삶을 영위할 수 있어야겠습니다.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하지 말지니라”(출애굽기 20:16) 글: 만민중앙교회 당회장 이재록 목사, GCN 방송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