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e-biz

제이엘케이, 세계 10개국에 수출 ‘ K - 의료 인공지능’ 위상 급상승

URL복사

- 전세계 10개국에서 계약, 인허가, 파트너십 소식 이어져

- 클린턴 재단, CETI재단 등 전세계 공개경쟁 입찰서 ‘ 1위’ 등극

- 인텔, MS 파트너십 힘입어 동남아 및 선진시장 진출 및 매출 확대

 

[시사뉴스 윤호영 기자]  대한민국 의료 인공지능(AI) 기술이 전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국내 의료 AI 업체인 제이엘케이(대표 김동민·김원태) 관계자는 28일 “현재 10개 이상의 국가에서 의료 AI 사업을 진행중”이라며 “해외 추가 진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실제 계약 사례는 물론 파트너십 체결과 각국 인허가 획득에 연이어 성공하면서 공격적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AI를 활용한 휴대용 폐질환 분석 시스템 '핸드메드 (HANDMED)' 제품은 지난 5월부터 미얀마 보건복지부를 통해 현지 코로나19바이러스감염증 진단의 의료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다.

 

같은 시기 제이엘케이는 태국의 파트너사 SWN을 통해 태국시장 내 핸드메드 도입을 시작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태국 내 최대 정보 통신 기업인 AIS와 협력하여 5G 기반 클라우드를 활용한 AI HOPITAL 플랫폼 서비스를 의학영상정보시스템(PACS)와 연동하여 태국 내 병원과 대형통신사에도 10월 초 부터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다. 이는 현지 업체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태국을 비롯한 아세안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지난 7월 부터는 싱가폴 기업인 ANCG에 의학영상정보시스템을 공급 중이다.

 

이웃인 일본과 중국 시장에서도 향후 높은 성장이 기대된다. 제이엘케이는 지난 4월 중국 대사관을 통해 중국 내 ▲ 요녕 전력병원 ▲ 단동시 관전병원 ▲ 길림성 연변 제2병원 ▲ 연길시 병원 등 다섯 곳에 핸드메드(HANDMED)를 AI 폐질환 분석 솔루션을 공급하며 중국 시장 진출의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다.

 

지난 8월에는 일본 최대 원격 의료업체 닥터넷과 각급 일본 현지 의료기관에 AI 기반 원격진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내용의 파트너십을 체결하기도 했다. 이와는 별도로 고베 네모토 병원에 폐질환 분석 솔루션을, 아가페 카부토야마병원에는 치매 분석 솔루션을 공급했다. 그외에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쿠웨이트, 라오스, 싱가폴 등에도 시스템을 공급했다.

 

이 외 폐결핵 퇴치 민간기구로 잘 알려진 인도 CETI 재단과 AI기술을 활용한 Free TB Campaign 을 실시하였고, 지난해 말 미국의 클린턴 재단(Clinton Foundation)에서 진행한 공개입찰 경쟁에서 제이엘케이는 세계 유수의 의료 AI 기업을 제치고 1위를 거머쥐면서 인도, 캄보디아, 미얀마 등에 진출하고 있다.

 

글로벌 의료기기 업체인 히타치(Hitachi), 유럽의 아다니(ADANI) 그룹에도 계약을 통해 글로벌 기업의 X-ray, CT, MRI, 초음파 등 의료기기에  제이엘케이의 AI 솔루션이 탑재되고 있다.

 

지속가능 성장을 위해 제이엘케이는 글로벌 플랫폼과 제휴에도 속도를 올리고 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사와 협력을 통해 SaaS 매출도 본격화되고 있으며, 인텔(Intel)과는 전략적 공동기술 개발을 통해 데이터 처리 시간을 혁신적으로 줄인(기존의 10분의 1 수준) AI 플랫폼의 전략적인 고도화에 성공했으며 이를 통해 고가의 GPU 컴퓨팅 클라우드를 일반적인 컴퓨터를 사용한 컴퓨팅(엣지 컴퓨팅)으로 대체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속도 뿐만 아니라 비용적인 경쟁력까지 갖추게 되었다.

 

또한 지난 5월에는 뉴질랜드 식약처(MEDSAFE)로부터 7건의 AI 의료솔루션 의료기기 품목 허가를 받았고, 8월에는 터키 식약처로부터 AI 기반 폐 CT영상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등 7개 제품이 인허가를 획득했다.

 

현재까지 제이엘케이가 인허가를 완료한 국가는 한국, 유럽(EU), 호주, 뉴질랜드, 태국, 터키 등으로 글로벌 인허가 획득 건은 현재까지 총 45건이다.

 

미국에서는 FDA에 전립선암 솔루션의 사용승인을 신청한 상태로 현재 임상실험을 마무리 중이다. 제이엘케이 관계자는 “올 하반기에는 FDA로부터 사용승인을 받을 계획”이라면서 “ 승인 시 미국 사설 의료보험 적용을 받아 빠르게 보급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또한 더 나아가 “미국 FDA를 승인 받으면 이스라엘, 멕시코 등 7개국에서는 별도의 승인 없이 혹은 간편절차를 통해 시장에 진출할 수 있어 많은 기대감이 있다 “ 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정치

더보기
【커버스토리】 이재명 1기 내각 ‘실용·소통’ 방점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이 진용을 갖추고 있다. ‘실용·소통’에 방점을 찍은 인선은 이념·진영에 상관없이 경험과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는 이 대통령의 철학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수 등 학자 출신 보다는 정치인·관료·기업인 등 실무형 인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대통령에 대한 “잘하고 있다”는 국정수행 평가는 64%에 이르고 있다. 1기 내각, ‘실용·소통’에 방점 지난 3일 기준 국토교통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 인선이 완료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하여 현역 의원이 대거 기용됐다. 정성호(법무부)·안규백(국방부)·윤호중(행정안전부)·정동영(통일부)·김성환(환경부)·전재수(해양수산부)·강선우(여성가족부) 후보자 등 8명의 국회의원이 내각에 기용됐다. 64년 만에 첫 민간인 국방부 장관 후보자인 5선 안규백 의원을 비롯해 5선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3선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재선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모두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재선 이상의 중진 의원이다. 5선의 정성호 의원과 윤호중 의원도 각각 법무·행안부 관련 전문성을 가진 중진 의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먼저 걸어본 사람이 들려주는, 진짜 개척의 이야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을 펴냈다. 이 책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척교회를 시작한 저자가 지난 8년간 경험한 목회의 현실을 생생하게 담아낸 실전형 간증서이자 사역 매뉴얼이다. ‘절대 개척은 하지 말자’는 다짐으로 신학을 시작했지만, 결국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해 ‘맨땅에 헤딩’하듯 개척의 길을 택한 저자는 장소 선정부터 재정 운영, 팬데믹의 충격, 사람과의 갈등까지 개척 현장에서 마주하는 모든 과정을 솔직하게 풀어놓는다. 단순한 성공담이 아니라 실패하지 않기 위한 전략과 끝까지 버티는 용기를 나누는 데 중점을 뒀다는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교회는 성도를 내보내야 한다”는 저자의 철학은 교회 공동체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게 하며, 개척교회를 ‘성장’보다 ‘존재의 의미’로 바라보게 한다. 이 책은 지금도 교회 개척을 고민하는 많은 목회자들에게 실질적인 조언과 공감, 그리고 동역자의 위로가 되어줄 것이다.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은 신학교에서 배울 수 없는 개척의 현실을 공유하며, 이제 막 첫발을 내딛는 이들에게 든든한 나침반이 돼준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먼저 걸어본 사람이기에 들려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