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5.6℃
  • 맑음강릉 12.0℃
  • 맑음서울 8.0℃
  • 맑음대전 7.0℃
  • 맑음대구 7.0℃
  • 구름많음울산 9.4℃
  • 구름많음광주 7.2℃
  • 흐림부산 13.3℃
  • 구름많음고창 4.0℃
  • 구름많음제주 15.5℃
  • 맑음강화 8.1℃
  • 맑음보은 3.0℃
  • 맑음금산 2.3℃
  • 흐림강진군 5.9℃
  • 구름많음경주시 6.8℃
  • 흐림거제 9.9℃
기상청 제공

사회

신규확진 1704명, 사흘째 1700명대...누적 20만7406명(종합)

URL복사

 

국내발생 1640명...1주간 하루평균 1453.3명
서울 460명·경기 451명·인천 101명 등 발생
부산 105명·경남 98명 등…비수도권, 38.3%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 국내 하루 1704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신규 확진자 수가 사흘째 1700명대로 집계됐다.

 

국내 발생 확진자는 1640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64명이다.


4차 유행이 확연한 감소세 전환보다는 정체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정부는 8일까지인 현행 수도권 4단계·비수도권 3단계 사회적 거리 두기와 사적 모임 인원 제한을 22일까지 2주 연장키로 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6일 0시 기준 국내 누적 확진자는 1704명 증가한 20만7406명이다. 4차 유행 하루 확진자 수는 지난달 7일부터 31일째 1000명 이상이다.

진단검사 후 통계에 반영되기까지 1~2일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이날 확진자는 평일인 4일과 5일 이틀간 검사 결과로 풀이된다. 이틀간 검사량은 각각 13만8651건, 13만6362건 등이다.

주말 검사량 감소 영향으로 1200명대까지 감소했던 확진자 수는 평일 들어 3일째 1700명대다. 지난주 목요일(금요일 0시 기준) 1710명과 비슷한 규모다.

정부는 8일까지 실시하기로 했던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의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오는 22일까지 2주 더 연장하기로 했다. 이 기간 사적 모임 금지도 유지됨에 따라 수도권은 오후 6시 이후 2인까지, 비수도권은 4인까지만 모임이 가능하다.

일주일간 국내 발생 확진자는 1466명→1386명→1150명→1150명→1644명→1717명→1640명 등이다.

최근 일주일간 일평균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수는 1453.3명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460명, 경기 451명, 인천 101명 등 수도권에서 전국 확진자의 61.7%인 1012명이 발생했다. 수도권에서는 사흘 연속 10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비수도권 확진자는 628명(38.3%)으로 집계됐다. 부산 105명, 경남 98명, 대구 83명, 충남과 경북 각각 52명, 대전 50명, 충북 38명, 전북 33명, 강원 26명, 전남 24명, 울산 23명, 제주 16명, 세종 15명, 광주 13명 등이다.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발견된 확진자는 수도권 321명, 비수도권 66명 등 425명이다.

권역별 주간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수도권 915.1명이다. 비수도권은 538.1명으로 경남권 186.7명, 충청권 160.7명, 경북권 94.0명, 호남권 47.6명, 강원 29.1명, 제주 20.0명 등이다.

 

 

파주 소재 사업장서 19명 집단감염 등...방역 철저해야

 

서울에서는 지난 5일 오후 6시 기준 용산구 소재 PC방 관련 7명, 강남구 소재 실내 체육시설 관련 2명, 송파구 소재 학원 관련 2명, 금천구 소재 학원 관련 2명, 서대문구 소재 실내 체육시설 관련 1명 등 확진자가 나왔다.

경기에서는 직장 관련해 파주시 식품 제조업2 관련 19명, 안산시 자동차 부품 제조업 관련 8명, 파주시 가전수입제조 판매업 관련 7명, 광명시 자동차공장2 관련 4명, 하남시 식료품 제조업 관련 3명, 수원 영통구 전자회사 관련 3명, 양주시 식료품 제조업 관련 2명, 안산시 의류공장2 관련 1명 등이 감염됐다.

다중이용시설을 통해서도 평택시 운동시설 관련 2명, 동두천시 음식점 관련 2명, 안산시 음식점 관련 1명, 부천시 노래방3 관련 1명 등의 확진자가 나왔다.

교육·보육 관련해서는 남양주시 어린이집3 관련 2명, 평택시 유치원 관련 1명, 파주시 보습학원 관련 1명, 광명시 영어학원 관련 1명 등이 확진됐다.

이 밖에 양주시 헬스장 및 어학원 관련 3명, 경기 서부 기업 및 운동시설 관련 3명, 파주시 신병교육대대 관련 2명, 구리시 학원 및 남양주시 운동학원 관련 1명 등의 확진자가 확인됐다.

 인천에선 연수구 중고차 매매단지 관련 9명이 추가 확진돼 누적 확진자가 76명으로 늘었다. 남동구 제조업과 서구 공부방2 관련으로 8명씩 추가 확진자가 발생했다. 동구 직장과 인천 운수업 종사자 관련으로 각 2명, 남동구 주점과 동구 대형마트·연수구 체육시설, 부평구 의류공장, 연수구 의원 각 1명 등도 추가됐다.

 

대구 교회 관련 40명 추가 감염, 비수도권 확진세

 

부산에서는 서면 소재 주점 관련 10명, 기장군 소재 사업장 관련 6명, 중구 소재 콜센터·식당 관련 6명 등의 확진자가 나왔다.

경남에선 이날부터 16일까지 거리 두기를 4단계로 격상한 창원에서 마트 관련 확진자가 4명, 제조업 사업장 관련 1명 등이 추가로 확진됐다.

대구에선 동구·수성구·달서구 교회 교인 35명과 종사자 2명 등 40명이 추가 확진돼 누적 확진자가 127명으로 늘었다. 서구 교회에서도 접촉자 1명이 추가 확진됐다. 수성구 태권도 학원과 중구 시장 관련으로 각 7명씩 확진자가 나왔고 달서구 사업장과 북구 유흥주점, 달성군 PC방 관련해서도 1명씩 추가됐다.

경북에서는 포항 태국 지인모임 관련 7명, 포항 소재 목욕탕 관련 3명, 대구 소재 교회 관련 9명, 경주 소재 목욕탕·체육시설 관련 5명 등이 감염됐다.

충남 천안에선 SNS오픈채팅방을 통한 지인모임 집단발생 관련으로 2명이 추가 확진됐다. 태안 교회 추가 전파로 1명이 확진됐다. 금산에선 집단감염이 발생한 사회복지시설과 호프집 운영자, 장례식장 관련으로 1명씩 확진자가 나왔고 예산군청 직원 1명도 확진됐다.

충북 충주에서는 원예농협 관련 3명, 방과후 강사 관련 1명, 직장 동료와 접촉한 40대 2명과 20대 1명이 확진됐다. 청주에서는 헬스장 관련 1명, 호프집 관련 4명이 감염됐다.

대전에서는 연기학원과 금산 타이어 공장 관련으로 3명씩 추가 확진자가 발생했고 집단감염이 발생한 태권도장에서도 1명이 늘어 254명째 확진자가 나왔다. 마트, 복지관 관련 각 1명씩 확진자가 추가됐다.

세종에선 집단감염이 발생한 태권도 학원 관련  원생과 그 가족 등 4명이 추가로 확진됐다.

광주광역시에서는 광산구 소재 주점·PC방·노래연습장 관련 1명, 동구 소재 호프집 관련 1명 등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강원 강릉에서는 외국인 3명이 감염됐고 동해에서도 1명의 외국인이 확진됐다. 춘천에서는 지역 내 고교 교사 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제주에서는 수도권과 대구에서 각각 1명의 입도객이 감염됐다. 이 밖에 제주에서는 선행 확진자의 직장 동료 3명도 양성 판정을 받았다.

 

 

코로나19 사망자 4명 늘어.치명률 1.02%…위중증 376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64명으로, 일주일간 하루 평균 61.5명이 발생했다. 공항과 항만 검역에서 28명, 지역사회에서 격리 중 36명이 확진됐다. 내국인은 28명, 외국인은 36명이다.

코로나19로 숨진 사망자는 4명 늘어 누적 2113명이다. 확진자 중 사망자 비율인 치명률은 1.02%다.

현재 격리 치료 중인 확진자는 전날보다 367명 늘어 2만3241명이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7명 많은 376명으로 확인됐다.

치료를 받고 격리에서 해제된 확진자는 1333명 증가한 18만2052명이다. 치료를 끝내고 격리에서 해제된 비율은 87.78%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지난 2월26일부터 161일간 누적 1차 접종자는 19만1478명 증가한 2052만9566명이다. 전체 인구 대비 40.0%다.

백신별 권장 접종 횟수를 모두 맞은 접종 완료자는 어제 하루 12만6304명 늘어 전체 인구의 14.7%인 누적 752만6904명이다.

백신별 신규 1차 접종자는 화이자 17만3276명, 모더나 5203명, 아스트라제네카 1만2999명이다.

신규 접종 완료자는 화이자 11만6394명, 모더나 4892명, 아스트라제네카 6081명(화이자 교차접종 1761명) 등이 권장 횟수 접종을 모두 마쳤다.

누적 접종 완료율은 아스트라제네카 16.7%, 화이자 43.4%, 모더나 2.7%, 얀센 100%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한세예스24홀딩스, 문화예술후원 우수기관 선정··· “문화예술 지원 통해 사회 공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세예스24홀딩스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관하는 ‘2025 문화예술후원 인증제도’에서 문화예술후원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선정은 한세예스24문화재단을 중심으로 한 그룹 차원의 지속적인 문화예술 후원 활동이 높이 평가받은 결과다. ‘문화예술후원 인증제도’는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한 단체와 기업을 선정해 공로를 치하하는 제도로 2014년부터 매년 운영되고 있다. 올해는 한세예스24홀딩스를 비롯해 총 8개 기업이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한세예스24홀딩스는 김동녕 회장이 2014년 사재를 출연해 설립한 ‘한세예스24문화재단’을 통해 그룹의 문화예술 지원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재단은 지난 10여 년간 한국과 동남아시아 간 문화 교류를 위해 미술·문학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지속적인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재단은 아시아 각국의 다채로운 미술 작품을 국내에 소개하는 ‘국제문화교류전’을 개최하고, ‘동남아시아문학총서’를 발간해 국내 독자에게 동남아시아 근현대 문학을 소개하는 등 다양한 문화교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까지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필리핀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