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비트코인 선물 EFT 상장 앞두고 7600만원대 지속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비트코인 선물 ETF 상장을 앞두고 비트코인이 7600만원대를 지속 중이다. 비트코인 ETF는 19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거래가 시작된다.

19일 오전 8시48분 기준 국내 대표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에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0.59% 오른 7649만9000원을 기록했다. 같은 시각 또 다른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0.86% 상승한 7658만7000원을 나타냈다. 비트코인은 전날과 이날 모두 7700만원대까지 상승한 바 있다.

이날 비트코인은 소폭의 상승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나 이더리움은 잠시 숨 고르기를 하는 모습이다.빗썸에서 이더리움은 24시간 전보다 2.49% 내린 463만원에 거래됐다. 업비트에서는 전일 대비 2.28% 내린 463만6000원을 기록했다.

코인마켓캡이 집계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글로벌 시세 평균은 각각 6만1990달러, 3744달러다.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0.96% 상승했지만, 이더리움은 2.13% 내렸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프로셰어즈의 비트코인 스트래티지 ETF가 19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한다. 티커는 'BITO'다. 비트코인 ETF 거래가 시작되는 시간은 우리나라 기준으로 이날 오후 10시30분께다. 이번 비트코인ETF는 선물 ETF상품이다.

마이클 사피어(Michael Sapier) 프로셰어즈 CEO는 "수년간의 노력을 통해 비트코인 ETF를 출시하게 됐다"며 "이는 미국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ETF 역사에 있어서) 2021년은 첫번째 암호화폐 ETF가 출시된 해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프로셰어즈와 같은 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승인을 받은 발키리의 비트코인 선물 ETF도 나스닥에 상장된다.

한편, 암호화폐 데이터 조사 업체 얼터너티브(Alternative)에 따르면 이날 암호화폐 시장의 투자심리를 알려주는 '공포·탐욕 지수'는 78점으로 '극도로 탐욕적인(Extreme Greed)'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주(71점·탐욕적인)보다 7점 상승한 수준이다.

해당 지수는 0으로 갈수록 시장 심리가 극단적 공포에 가까움을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李 대통령 "정치, 사회 양극화와 격차 문제 최소한으로 완화"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민생·경제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국민 패널 100여명과 함께하는 디지털 토크 라이브를 열고 "정치가 사회 양극화와 격차 문제를 최소한으로 완화해야 한다"며 "실현 가능한 현실적 정책들을 함께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열린 '디지털 토크 라이브 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 에서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평균적으로 나쁘지 않은데, 압도적 다수의 사람들은 불평등 때문에 매우 힘들어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의 본질은 국민이 지금보다 더 나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국민의 삶에서 제일 중요한 게 경제 문제다. 먹고사는 게 힘들면 정말 피곤하다"고 했다. 지역균형 발전 방안을 두고는 "수도권 집값 때문에 시끄러운데, 사실 제일 근본적인 문제는 수도권 집중에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우리가 취업이 쉽지 않다 보니 전세계적으로 자영업 비율이 엄청 높은데, 최저임금도 못 버는 경우가 태반"이라고 했다. 또 "자영업을 하시는 분들은 요새 빚 때문에 더 난리인데, 금융 문제에 있어서는 지금보다 좀 개혁적으로 접근했으면 좋겠다"며 "선진국은 못 갚은 빚을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