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11 (화)

  • 맑음동두천 9.1℃
  • 맑음강릉 8.6℃
  • 구름조금서울 10.9℃
  • 구름많음대전 9.9℃
  • 구름많음대구 10.4℃
  • 구름많음울산 10.6℃
  • 구름많음광주 11.7℃
  • 맑음부산 12.5℃
  • 맑음고창 9.6℃
  • 맑음제주 13.6℃
  • 구름많음강화 8.8℃
  • 구름많음보은 8.3℃
  • 구름많음금산 8.0℃
  • 구름조금강진군 11.1℃
  • 구름많음경주시 8.9℃
  • 맑음거제 9.3℃
기상청 제공

사회

접종완료율 80% 돌파…내일 18~49세 부스터샷 예약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국내 코로나19 백신 기본접종 완료율이 1일 80%를 넘어섰다.

추가접종(부스터샷)을 끝낸 인원은 321만9138명이다. 오는 2일부터는 그간 추가접종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18~49세의 추가접종 사전 예약이 시작된다. 정부는 추가접종률도 80% 수준으로 높이겠다는 목표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백신별 권장 접종 횟수를 모두 맞은 접종 완료자는 총 4108만4744명이다.

이는 전체 인구(5134만9116명·2020년 12월 주민등록 거주자 인구) 대비 80.0%에 해당한다. 18세 이상 성인 인구 대비로는 91.5%다.

국내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한 지난 2월26일 이후 279일, 2차 접종을 시작한 3월20일 이후 257일 만이다.

추진단은 "국민의 높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로 2차 접종률 80%를 달성할 수 있었다"면서 "접종 효과를 높이고 보다 안전하게 일상으로 나아가기 위해 3차 접종까지 반드시 받고 미접종자도 본인과 주변의 안전을 위해 서둘러 접종을 받아달라"고 말했다.

전날 4만8509명이 2차 접종을 완료해 이날 0시 기준으로는 누적 4106만1655명이다. 이날 0시부터 오전 11시까지 11시간 동안 2만3089명이 추가로 2차 접종을 마쳤다.

이날 0시 기준 2차 접종을 마친 신규 4만8509명을 백신별로 보면 화이자 3만8668명, 모더나 8347명, 아스트라제네카 1189명, 얀센 305명이다. 모더나 접종 완료자 중 2807명과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완료자 중 528명은 교차 접종한 이들이다.

백신별 누적 2차 접종자는 화이자 2213만789명, 아스트라제네카 1103만1372명(교차접종 176만8598명 포함), 모더나 640만52명(교차접종 3만6563명 포함)이다. 나머지는 얀센 접종자다.

백신 접종 완료자를 성별로 보면 여성이 2574만6790명 중 2061만6605명이 접종을 마쳐 80.1%, 남성은 2560만2326명 중 2044만5050명이 완료해 79.9%를 각각 기록했다. 1차 접종률은 남녀 모두 82.9%이다.

연령대별 접종 완료율은 50대가 95.0%으로 가장 높다. 뒤이어 60대 94.8%, 70대 93.1%, 80세 이상 82.6%이다.
  
상대적으로 접종이 늦게 시작된 청장년층 연령대 중에서는 40대가 91.0%를 기록했다. 18~29세 90.2%, 30대 87.5%, 17세 이하 24.9%이다.

소아·청소년 접종 현황을 보면 16~17세 64만7901명이 1차 접종을 마쳤고 이 중 54만6891명은 접종을 완료했다. 12~15세 중에서는 64만9339명이 1차 접종을 끝냈고 14만2567명이 완료했다.

임신부는 1955명이 1차 접종을 끝냈으며 이 중 917명이 접종 완료했다.

전날 1차 접종은 2만1448명이 참여해 누적 4256만7865명이다. 전 국민의 82.9%, 18세 이상 성인 기준으로는 93.5%이다.

백신별 누적 1차 접종자는 화이자 2325만6369명, 아스트라제네카 1111만8652명, 모더나 669만3402명이다. 얀센 백신은 1회 접종만으로 끝나므로 1·2차 접종 수치에 모두 반영하는데 그 누적 인원은 149만9442명이다.

추가접종 예약자는 총 632만965명이다. 60세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은 419만8837명, 얀센 접종자 95만3403명, 면역 저하자 62만9579명, 우선접종 직업군 36만9355명, 50대 연령층 16만4364명, 18~49세 기저질환자 5427명이다.

이 가운데 전날 18만4517명이 추가접종을 끝내 누적 321만9138명이 됐다.

신규 추가접종자 18만4517명이 맞은 백신 종류는 화이자 16만442명, 모더나 2만3384명, 얀센 691명이다.

누적 추가 접종자는 60세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은 136만6228명, 얀센 접종자 79만5067명, 코로나19 치료병원 종사자 58만2338명, 면역 저하자 38만2157명, 우선접종 직업군 7만3597명, 50대 연령층 1만8558명, 18~49세 기저질환자 1193명이다.
 
이들이 추가 접종한 백신별로는 화이자 243만6424명, 모더나 76만8223명, 얀센 1만4491명이다.

정부는 추가접종률도 80% 수준으로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그간 추가접종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18~49세에 대한 추가접종 사전 예약을 2일 0시부터 시작한다. 현재는 18~49세 중 우선접종 직업군, 얀센 백신 접종자,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 등만 추가접종 대상에 포함해왔다.

18~49세 사전예약자는 이틀 뒤인 4일부터 접종받을 수 있다. 잔여백신으로는 2일부터 당일 접종이 바로 가능하다.

홍정익 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은 기자단 설명회에서 "2차 접종 80% 달성은 끝이 아니라 과정이다. 추가접종률도 80%를 달성해야 하고 미접종자 20%도 기본접종과 추가접종을 완성해 나가야 한다"면서 "18~49세에 대한 추가접종 사전예약은 2일 0시에 기본접종을 완료한 지 5개월이 지난 분들부터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날 0시 기준 국내에 남아 있는 백신 물량은 총 1449만 회분이다. 화이자 749만7000회분, 모더나 516만9000회분, 얀센 156만7000회분, 아스트라제네카 25만7000회분이다.

전날 각 의료기관에서 관리하는 예비명단이나 민간SNS 당일 신속예약을 통해 잔여백신을 접종한 사람은 1차 접종 기준 1만6102명, 2차 접종 기준 7002명이다. 이로써 지난 5월27일부터 누적 잔여백신 접종자는 1차 접종 623만4818명, 접종 완료 237만9230명이 됐다.

잔여백신으로 전날 추가 접종한 인원은 1만9528명 늘어 누적 28만2501명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장동 항소 포기...대검예규, 선고형량 구형량의 1/2 미만 등이면 해야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항소 포기가 관련 법규를 지킨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드러난 사실로만 보면 이번 대장동 항소 포기가 위법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357조(항소할 수 있는 판결)는 “제1심법원의 판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선고한 것은 지방법원 본원합의부에 항소할 수 있으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선고한 것은 고등법원에 항소할 수 있다”고, 제361조의5(항소이유)는 “다음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원심판결에 대한 항소이유로 할 수 있다. 15.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고 인정할 사유가 있는 때”라고 규정하고 있다. 즉 형사소송법은 항소에 대한 피고인과 검찰의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 검찰의 항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대검찰청 예규인 ‘검사 구형 및 상소 등에 관한 업무 처리 지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서울 중랑구갑, 법제사법위원회, 성평등가족위원회, 4선)은 11일 국회에서 개최된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예규를 제시하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정당한 것임을 강조했다. 이 예규에 따르면 선고형량이 구형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백석문화대 RISE사업단과 학생들, 다가오는 겨울, 나눔으로 지역에 온기 전해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백석문화대학교(총장 이경직) RISE사업단 사회가치실현센터는 11일(화)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천안시 봉명동에 위치한 하늘씨앗교회에서 ‘좋은씨앗공동체 무료급식소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봉사활동은 지역사회의 취약계층에게 따뜻한 한 끼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지원하고, 대학이 가진 인적·교육적 자원을 지역 복지에 환원하기 위해 마련되어,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운영대학으로 선정된 백석문화대의 추진과제 중 ‘대학 연계 사회서비스 고도화’의 휴먼케어(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봉사활동에는 백석문화대 RISE사업단 사회가치실현센터 임재문 센터장, 단위과제 황성우 책임교수, 미디어영상학부 박미경 학과장 등 교수 3명을 비롯해 재학생 14명(간호학과 11명, 미디어영상학부 3명)이 함께 참여해 저소득 다문화가정, 독거노인, 오·벽지 주민 등 지역 내 취약계층 300여 명에게 체력 회복과 건강에 좋은 삼계탕을 손수 만들고, 배식 봉사에 나서며 따뜻한 나눔을 실천했다. 백석문화대 임재문 사회가치실현센터장은 “이번 봉사활동은 영양식 제공을 통해 취약계층의 건강을 증진하고, 학생들에게는 지역사회 섬김의 가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