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접종완료율 80% 돌파…내일 18~49세 부스터샷 예약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국내 코로나19 백신 기본접종 완료율이 1일 80%를 넘어섰다.

추가접종(부스터샷)을 끝낸 인원은 321만9138명이다. 오는 2일부터는 그간 추가접종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18~49세의 추가접종 사전 예약이 시작된다. 정부는 추가접종률도 80% 수준으로 높이겠다는 목표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백신별 권장 접종 횟수를 모두 맞은 접종 완료자는 총 4108만4744명이다.

이는 전체 인구(5134만9116명·2020년 12월 주민등록 거주자 인구) 대비 80.0%에 해당한다. 18세 이상 성인 인구 대비로는 91.5%다.

국내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한 지난 2월26일 이후 279일, 2차 접종을 시작한 3월20일 이후 257일 만이다.

추진단은 "국민의 높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로 2차 접종률 80%를 달성할 수 있었다"면서 "접종 효과를 높이고 보다 안전하게 일상으로 나아가기 위해 3차 접종까지 반드시 받고 미접종자도 본인과 주변의 안전을 위해 서둘러 접종을 받아달라"고 말했다.

전날 4만8509명이 2차 접종을 완료해 이날 0시 기준으로는 누적 4106만1655명이다. 이날 0시부터 오전 11시까지 11시간 동안 2만3089명이 추가로 2차 접종을 마쳤다.

이날 0시 기준 2차 접종을 마친 신규 4만8509명을 백신별로 보면 화이자 3만8668명, 모더나 8347명, 아스트라제네카 1189명, 얀센 305명이다. 모더나 접종 완료자 중 2807명과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완료자 중 528명은 교차 접종한 이들이다.

백신별 누적 2차 접종자는 화이자 2213만789명, 아스트라제네카 1103만1372명(교차접종 176만8598명 포함), 모더나 640만52명(교차접종 3만6563명 포함)이다. 나머지는 얀센 접종자다.

백신 접종 완료자를 성별로 보면 여성이 2574만6790명 중 2061만6605명이 접종을 마쳐 80.1%, 남성은 2560만2326명 중 2044만5050명이 완료해 79.9%를 각각 기록했다. 1차 접종률은 남녀 모두 82.9%이다.

연령대별 접종 완료율은 50대가 95.0%으로 가장 높다. 뒤이어 60대 94.8%, 70대 93.1%, 80세 이상 82.6%이다.
  
상대적으로 접종이 늦게 시작된 청장년층 연령대 중에서는 40대가 91.0%를 기록했다. 18~29세 90.2%, 30대 87.5%, 17세 이하 24.9%이다.

소아·청소년 접종 현황을 보면 16~17세 64만7901명이 1차 접종을 마쳤고 이 중 54만6891명은 접종을 완료했다. 12~15세 중에서는 64만9339명이 1차 접종을 끝냈고 14만2567명이 완료했다.

임신부는 1955명이 1차 접종을 끝냈으며 이 중 917명이 접종 완료했다.

전날 1차 접종은 2만1448명이 참여해 누적 4256만7865명이다. 전 국민의 82.9%, 18세 이상 성인 기준으로는 93.5%이다.

백신별 누적 1차 접종자는 화이자 2325만6369명, 아스트라제네카 1111만8652명, 모더나 669만3402명이다. 얀센 백신은 1회 접종만으로 끝나므로 1·2차 접종 수치에 모두 반영하는데 그 누적 인원은 149만9442명이다.

추가접종 예약자는 총 632만965명이다. 60세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은 419만8837명, 얀센 접종자 95만3403명, 면역 저하자 62만9579명, 우선접종 직업군 36만9355명, 50대 연령층 16만4364명, 18~49세 기저질환자 5427명이다.

이 가운데 전날 18만4517명이 추가접종을 끝내 누적 321만9138명이 됐다.

신규 추가접종자 18만4517명이 맞은 백신 종류는 화이자 16만442명, 모더나 2만3384명, 얀센 691명이다.

누적 추가 접종자는 60세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은 136만6228명, 얀센 접종자 79만5067명, 코로나19 치료병원 종사자 58만2338명, 면역 저하자 38만2157명, 우선접종 직업군 7만3597명, 50대 연령층 1만8558명, 18~49세 기저질환자 1193명이다.
 
이들이 추가 접종한 백신별로는 화이자 243만6424명, 모더나 76만8223명, 얀센 1만4491명이다.

정부는 추가접종률도 80% 수준으로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그간 추가접종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18~49세에 대한 추가접종 사전 예약을 2일 0시부터 시작한다. 현재는 18~49세 중 우선접종 직업군, 얀센 백신 접종자,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 등만 추가접종 대상에 포함해왔다.

18~49세 사전예약자는 이틀 뒤인 4일부터 접종받을 수 있다. 잔여백신으로는 2일부터 당일 접종이 바로 가능하다.

홍정익 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은 기자단 설명회에서 "2차 접종 80% 달성은 끝이 아니라 과정이다. 추가접종률도 80%를 달성해야 하고 미접종자 20%도 기본접종과 추가접종을 완성해 나가야 한다"면서 "18~49세에 대한 추가접종 사전예약은 2일 0시에 기본접종을 완료한 지 5개월이 지난 분들부터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날 0시 기준 국내에 남아 있는 백신 물량은 총 1449만 회분이다. 화이자 749만7000회분, 모더나 516만9000회분, 얀센 156만7000회분, 아스트라제네카 25만7000회분이다.

전날 각 의료기관에서 관리하는 예비명단이나 민간SNS 당일 신속예약을 통해 잔여백신을 접종한 사람은 1차 접종 기준 1만6102명, 2차 접종 기준 7002명이다. 이로써 지난 5월27일부터 누적 잔여백신 접종자는 1차 접종 623만4818명, 접종 완료 237만9230명이 됐다.

잔여백신으로 전날 추가 접종한 인원은 1만9528명 늘어 누적 28만2501명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국회, 경제 대정부 질문…확장 재정·상법 개정안·노란봉투법·소비쿠폰 '부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오늘(17일)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을 실시한다. 정부의 경제 정책 기조 등을 놓고 여야 격돌이 예상된다. 국회는 이날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 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을 실시한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권칠승·정태호·이언주·주철현·허성무·김영환 의원이 질의자로 나선다. 민주당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이재명 정부 정책 성과를 조명하면서 윤석열 정부 당시 세수 결손 사태 등을 지적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이번 대정부 질문을 사실상 '청문회' 성격으로 규정하고 정부 정책을 송곳 검증할 계획이다. 4선인 김상훈·이헌승·조은희·조승환 의원이 질문자로 나서 정부의 확장 재정 기조와 상법 개정안·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 등의 문제점을 부각할 예정이다. 비교섭단체에서는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대정부질문에 참여한다. 정부 측에서는 국무총리, 기획재정부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국토교통부 장관, 해양수산부 장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공정거래위원장, 금융위원장 등이 출석한다. 여야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놓고도 공방을 벌일 전망이다. 여권은 "밭에 씨를 뿌려야 하

경제

더보기
이노비즈협회-조달청, 중기 공공조달 규제개선 간담회 개최... “현장 소통으로 조달 혁신”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노비즈협회는 17일 성남 판교 협회 대회의실에서 조달청과 함께 ‘현장 소통 간담회’를 개최하고,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조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번 간담회는 중소기업들이 조달 참여 과정에서 겪는 불합리한 제도와 규제를 개선하고, 현장 중심의 정책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이노비즈협회 정광천 회장을 비롯해 △유니온씨티 임동욱 대표(이노비즈 전북지회 회장) △보광아이엔티 차순자 대표 △에니텍시스 홍사혁 대표 △하이테커 백성욱 대표 △아이지 김창일 대표 등 혁신·우수·G-PASS기업 및 공공조달 참여기업 5곳이 참석했다. 조달청에서는 백승보 청장과 주요 정책부서 과장 등 4명이 함께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간담회에서 이노비즈기업의 조달 참여 활성화와 공정한 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실질적 정책 개선 방안이 진행됐다. 정광천 이노비즈협회 회장은 △공공조달형 납품대금 연동제 확대, 임동욱 ㈜유니온씨티 대표이사는 △조달청 인증제품의 개별 매각 제도 도입을 제안했으며, 차순자 ㈜보광아이엔티 대표이사는 △다수공급자계약 진행 기간 단축과 기업 보호 제도 마련 △다수공급자계약 물품 등록 시 가격 조정의 투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