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기관 매수에 2860선 회복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코스피가 개인과 기관투자자들의 매수에 힘입어 0.7% 상승해 2860선을 회복했다. 지수는 5거래일 연속 하락을 마치고 상승 마감했다.

20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842.28) 대비 20.40포인트(0.72%) 오른 2862.68에 마감했다. 지수는 전일과 같은 2842.28에 보합 출발해 장중 상승폭을 키우며 거래를 마쳤다. 지수가 상승 마감한 것은 지난 12일 이후 6거래일 만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은 각각 1447억원, 1061억원어치를 사들였다. 반면 외국인은 2746억원을 매도했다.

업종별로는 대체로 올랐다. 의료정밀(3.39%), 화학(2.39%), 섬유의복(1.61%), 서비스업(1.56%), 비금속광물(1.26%), 종이목재(1.20%), 건설업(1.11%) 등이 상승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SK하이닉스(-1.57%)를 제외하고 모두 올랐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00원(0.26%) 오른 7만6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네이버(0.75%), LG화학(6.58%), 삼성SDI(4.08%), 현대차(0.75%), 카카오(2.10%), 기아(0.25%) 등이 상승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증시는 LG에너지솔루션 기업공개(IPO)에 따른 수급 불안이 해소되고 반발 매수가 들어오며 상승했다"며 "장중 중국 LPR(최우량대출금리) 인하 효과로 중국과 홍콩 증시가 강세를 보여 투자심리를 회복하며 상승폭을 늘렸다"고 분석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933.90)보다 24.80포인트(2.66%) 오른 958.70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0.01% 오른 934.00에 출발해 장중 상승폭을 크게 늘리며 마감했다. 지수가 상승한 것은 지난 12일 이후 6거래일 만에 처음이다.

코스닥시장에서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1728억원, 1555억원을 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홀로 3236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은 셀트리온헬스케어(-1.35%)를 제외하고 모두 상승했다. 에코프로비엠(5.35%), 펄어비스(4.84%), 엘앤에프(3.86%), 카카오게임즈(5.00%), 위메이드(7.03%), HLB(4.11%), 셀트리온제약(0.67%), 천보(4.95%), 씨젠(9.78%) 등이 강세로 마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키타무라 아사미·백승우, 듀오 리사이틀 ‘Dialog’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하는 듀오 리사이틀 ‘Dialog’가 오는 11월 15일(토) 오후 3시 서울 일신홀에서 열린다. 이번 공연에서는 일본 피아니스트 키타무라 아사미와 한국 피아니스트 백승우가 처음으로 함께 무대에 올라 특별한 음악적 순간을 선사한다. 이 리사이틀은 두 아티스트가 하나의 피아노 앞에서 호흡을 맞추며 존중과 배려의 조화를 이루는 ‘대화’의 장이 될 예정이다. 공연 중간에는 두 피아니스트가 관객과 직접 소통하는 ‘Dialog’ 코너도 마련돼 부부이자 동료로서의 그간의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는다. 서로 다른 음악적 환경에서 배운 점과 공감의 순간들을 공유하며, 연습실의 작은 일화부터 무대에서의 특별한 경험까지, 두 사람의 이야기는 음악 속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다듬어온 시간을 담고 있다. 이번 무대는 두 나라의 음악가가 피아노를 통해 ‘공감과 대화’를 이어가며 앞으로의 문화교류가 더욱 깊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한다. 프로그램은 글린카의 ‘루슬란과 루드밀라 서곡’, 슈베르트의 ‘네 손을 위한 환상곡 F단조’, 일본 작곡가 사사키 쿠니오의 ‘Ocean Beat’, 라흐마니노프의 ‘6개의 소품, Op.11’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