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차기 정부에서 과학기술강국 도약을 위한 '과학기술부총리'직이 신설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대통령 후보 시절 '과학기술대통령'을 표방했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장으로 임명된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안 위원장의 과학기술공약을 상당 부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과기부총리직의 전례가 있다는 점, 당초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후보도 과기부총리제 도입 공약이 포함돼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국회 정부조직 개편 관련 동의 과정에서 현 여권의 반발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국민의힘 등에 따르면 윤 당선인과 안 위원장 등이 참석한 전날 차담회에서는 차기 정부에서의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언급이 나왔다. 안 위원장의 후보 시절 핵심 공약 중 하나였던 과기부총리직 신설 등이 골자다.
안 위원장은 후보 시절 10대 공약의 1순위 공약으로 5·5·5 신성장 전략과 과학경제강국을 위한 정부조직 개편 등을 내세운 바 있다. 과기부총리직을 신설할 뿐만 아니라 대통령 직속 국가미래전략위원회를 설치하고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을 수석비서관급으로 격상하는 등 과학기술 정책에 힘을 싣는다는 구상이었다.
윤 당선인은 공약에 부총리직 등을 언급하진 않았으나 역시 10대 공약을 통해 '기술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내세운 만큼 과학기술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법률 제·개정, 대통령 직속 민관 과학기술위원회 신설 등이 대표적이다.
전날 진행된 차담회에서도 두 사람의 후보 시절 과학기술 공약들이 합치하는 면이 있는 만큼 안 위원장의 공약들도 차기 정부 조직 구성 및 정책과 관련해 면밀하게 살펴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과기부총리직 신설의 경우 민주당과의 합의도 비교적 원활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윤 당선인과 0.7% 차 접전 끝에 낙선한 이재명 후보는 10대 공약 중 하나인 '과학기술 5대 강국 실현'의 일환으로 '과학기술혁신부총리제' 도입을 공약한 바 있다.
차기 정부에서 여야 합치가 중요한 과제로 언급되는 만큼 정부 조직을 구성하는 정권 초기부터 야당과 협의를 이끌어내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과기부총리직 신설은 매력적인 카드로 여겨질 수 있다.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여정부 시절 과기부총리직이 존재했었다는 점도 민주당과의 합의를 이끌어내기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축을 국정과제로 내세웠던 참여정부 시절엔 오명·김우식 전 과학기술부 장관이 과기부총리직을 겸임했다. 과기부총리제는 국가과학기술 체계화·R&D(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성 제고 등의 성과를 내며 참여정부 내내 유지되다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과학기술부가 교육부와 통폐합(교육과학기술부)되며 폐지됐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대한민국 의전서열에서 통상적으로 부총리직을 겸임하는 기획재정부 장관과 교육부 장관 바로 다음의 3순위 서열 장관으로 여겨지고 있다.
기재부 장관이 경제부총리로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경제정책을 전담하고, 교육부 장관이 사회부총리로서 사회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사회·교육·문화 정책 등을 총괄하듯 과기부총리도 신설될 경우 이러한 역할을 맡게 된다. 그간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일반적으로 과기정통부 장관의 주재로 진행돼왔는데, 주재자가 부총리로 바뀔 경우 그 중요성과 영향력이 보다 격상될 전망이다.
현직 과기정통부 장관이 임혜숙 장관도 과기부총리 신설에 적극적인 환영의 뜻을 밝히고 있다. 임 장관은 지난 1월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과기부 장관으로서 일하면서 보니까 과기혁신부총리라는 게 굉장히 의미가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범부처적으로 협조 받아야 되는 사항, 공동으로 추진해 나가야 되는 사안에 있어서 부총리가 생긴다면 훨씬 더 추진력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